초록

‘문학소녀’는 해방후 문화정치의 핵심적 표상이다. 1950년대 ‘문학소녀’가 교양주의를 문화론적 기반으로 한 학원세대 문학독자의 기호라면, 1960년대 ‘문학소녀’는 역사적 주체로 표상된 ‘청년’과 의미론적으로 대립하며 탈역사적인 적대의 기호로 전락한 아류와 부정의 기호이다. 해방 이후 ‘문학소녀/소년’이 1960년대 ‘문학적인 것’의 토양을 이룬 한글세대 문학독자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선취한 다양한 민주주의적 역동과 흐름이 1960년대 공론장 속에서 배제 폄하되는 과정 속에 문학소녀의 표상이 놓이는 것이다. 이는 1960년대 민족주의적 기반 속에서 역사적 주체로서의 ‘청년’의 의미가 과잉 설정되었기 때문이다. ‘청년’이 국내/국외, 신체/정신, 노동/유희의 의미론적 대립항을 통해 역사적 주체로 재구성된 데 비해 문학소녀는 그 대극의 위치에 놓인다. 이 속에서 ‘불란서 시집을 읽는’ 문학소녀는 민족의 발전을 저해하는 적폐의 기호로 담론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문학장 안에서 ‘문학아류’로 폄하되었다. 1960년대에 이르러 ‘문학소녀’는 단지 ‘문학작품을 읽고 좋아하는 소녀’의 기술적 정의에서 더 나아가 이들이 읽고 선택하는 책들까지 저평가되었으며 이에 따라 전후의 역동적인 실존주의적 흐름까지 외면되었다. 이에 따라 1950년대 문학소년/소녀들이 선취했던 자유주의적 흐름과 지향들이 배제되었으며 결과적으로 1960년대 ‘문학/청년’의 보수성과 엄숙성에 일조했다.

키워드

문학소녀, 문학청년, 한글세대, 1960년대, 문학독자, 4.19/5.16, 불란서 시집, 실존주의, 어린학생

참고문헌(23)open

  1. [기타] / 경향신문

  2. [기타] / 동아일보

  3. [기타] / 학원

  4. [기타] / 사상계

  5. [기타] / 여학생

  6. [기타] / 여원

  7. [단행본] 권명아 / 2013 / 음란과 혁명:풍기문란의 계보와 정념의 정치학 / 책세상 : 272 ~ 275

  8. [단행본] 권보드래 / 2013 / 1960년을 묻다 / 천년의 상상 : 58 ~ 59

  9. [학술지] 김건우 / 2009 / 1964년의 담론 지형 :반공주의, 민족주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성장주의 / 대중서사연구 (22) : 71 ~ 90

  10. [학술지] 김복순 / 2008 / 소녀의 탄생과 반공주의 서사의 계보 -최정희의 『녹색의 문』을 중심으로- / 한국근대문학연구 1 (18) : 203 ~ 234

  11. [학위논문] 김윤경 / 2012 / 1950년대 여성독자의 형성과 문학규범의 변화

  12. [학술지] 김현주 / 2007 / 1950년대 여성잡지 <여원>과 ‘제도로서의 주부’의 탄생 / 대중서사연구 (18) : 387 ~ 416

  13. [학술지] 남재희 / 2008 / 68혁명 40주년과 청년문화론 / 관훈저널 : 97

  14. [학술지] 박숙자 / 2014 / 100권의 세계문학과 그 적들- 식민/탈식민 세계문학전집의 조건과 가능성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8 (1) : 77 ~ 113

  15. [단행본] 박승훈 / 1954 / 여학생문예작품집 / 평문사 : 14

  16. [학술지] 박지영 / 2011 / 번역된 냉전, 그리고 혁명; 사르트르, 마르크시즘, 실존과 혁명 / 서강인문논총 (31) : 89 ~ 135

  17. [학술지] 소영현 / 2010 / 대학생 담론을 보라 / 문학과 사회 : 266 ~ 268

  18. [학술지] 오영숙 / 2009 / 아빠와 소녀: 70년대 한국영화의 표상 연구 / 영화연구 (42) : 435 ~ 458

  19. [학술지] 오혜진 / 2013 / 카뮈, 마르크스, 이어령- 1960년대 에세이즘을 통해 본 교양의 문화정치 / 한국학논집 (51) : 137 ~ 178

  20. [학술지] 이선미 / 2011 / 공론장과 ‘마이너리티 리포트' / 대중서사연구 (26) : 111 ~ 150

  21. [단행본] 이중한 / 1975 / 청년문화론 / 현암사

  22. [학위논문] 정미지 / 2011 / 1960년대 '문학소녀' 표상과 독서양상 연구

  23. [단행본] 한완상 / 1973 / 현대사회와 청년문화 / 법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