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950년대 한국대중영화는 주체 구성과 관련한 사회적 실천을 보여준다. 전후 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미국문화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적 풍요를 상징하는 것 으로 욕망되었다. 그러나 대중, 특히 남성은 이러한 욕망에 매혹되는 경험이 주는 쾌락과 함께 함께 사회구조의 급변에 따른 혼란을 느꼈을 것이다. 따라서 남성들은 상징적 차원에서나마 문제해결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여성을 성적으 로 대상화해 온 상업적 산물로서의 영화를 통해 여성을 미국적 산물과 함께 물신화함으로써 거세불안을 극복하고자 한다. 이런 관점에서 자유부인은 여 성을 자본주의적 교환체계 속에 위치시킨 후 타자화하는 장면을 보여주며 지옥화}역시 양공주를 괴물적으로 재현함으로써 당시 남성들이 두려워하던 것이 무엇인지를 짐작케 한다. 그러나 여성을 공적 영역으로부터 축출하려는 상징적 시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변화의 요구는 긴급한 것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1950년대 대중영화 속의 여성은 성차화라는 의제를 둘러싼 정당성 경쟁이 역사적으로 실재했음을 증거하는 존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1950년대, 주체구성, 거세불안, 자본주의적 교환체계, 물신/화, 성차화

참고문헌(18)open

  1. [학술지] 모윤숙 외 / 1955년10월 / 학생시대의 연애가부론 좌담회

  2. [학술지] 이태영 / 1955년10월 / 현대여성은 지성을 상실했는가 - 현대여성의 정조관념을 토론한다

  3. [학술지] 거다 러너 / 2006 / 왜 여성사인가

  4. [학술지] 김경일 / 2004 /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5. [학술지] 김동윤 / 2007.6 / 1950년대 신문소설의 위상 (17) : 7 ~ 41

  6. [학술지] 김연숙 / 2005 / 국가의 경계에 있는 여성의 섹슈얼리티 : 201 ~ 226

  7. [학술지] 오영숙 / 2005 / 1950년대, 한국영화와 문화담론

  8. [학술지] 윤조원 / 2005 / 여성의 교환과 상징적 폭력 : 95 ~ 115

  9. [학술지] 윤진화 / 2002 / 1950년대 후반기, 한국영화산업형성의 생성메카니즘 연구

  10. [학술지] 위르겐 슐롬봄 / 2001 / 미시사와 거시사

  11. [학술지] 이선미 / 2006 / ‘미국’을 소비하는 대도시와 미국영화 / 상허학보 18 : 51 ~ 72

  12. [학술지] 제리 밀러 / 2006 / 자본주의의 매혹

  13. [학술지] 조지 모스 / 2004 / 내셔널리즘과 섹슈얼리티

  14. [학술지] 주유신 / 2005 / 자유부인과 지옥화:1950년대 근대성과 매혹의 기표로서의 여성섹슈얼리티 : 13 ~ 45

  15. [학술지] 주진숙 / 2001 / 여성영화인사전

  16. [학술지] 최정무 / 2000 / 불가사의한 식민주의와 매혹된 관객들 : 59 ~ 100

  17. [학술지] 피터 브룩스 / 2000 / 육체와 예술

  18. [학술지] 황혜진 / 2003 / 1970년대 유신체제기의 한국영화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