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의 동시타당도 연구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orean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OBA) Tool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10권 제2호 (2020.08)바로가기
  • 페이지
    pp.1-9
  • 저자
    홍소영, 홍덕기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80162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orean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OBA) tool.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016 people from October 1 to October 25, 2019.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using OBA and Occupational Balance Questionnaire11(OBQ11).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three areas of OBA and the total score of OBQ11(p<.01). All three areas were analyzed with positive correlations. The time use area (r = .554) and occupation frequency area (r = .574) were found to be correlated. Most of the sub-factors in the occupation characteristics area (importance r = .582, goal achievement r = .633, enjoyment r = .649, health r = .650) were analyzed with high correlation. Conclusion : OBA has proven to be a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occupational balance. Further research needs to provide guideline on occupational balance for usefulness in clinical area.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 OBA)의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 10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OBA와 작업균 형 설문지(Occupational Balance Questionnaire11: OBQ11)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OBA의 세 가지 영역별 점수와 OBQ11의 총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세 가지 영역 모두 양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시간사용 영역(r=.554)과 작업빈도 영역(r=.574)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 업특성 영역의 하위요인(중요도 r=.582, 목표성취 r=.633, 즐거움 r=.649, 건강 r=.650)은 대부분 높은 상관관계로 분 석되었다. 결론 : OBA는 작업균형을 평가하기 위해 타당한 평가도구임을 검증하였다. 향후에는 임상적 유용성을 위해 작업균형 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과정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OBA 영역별 점수
3. OBA와 OBQ11간의 상관관계
Ⅳ. 고찰
Ⅴ.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Abstract

저자

  • 홍소영 [ Hong, So-Young | 고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 홍덕기 [ Hong, Deok-Gi | 원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건강증진연구소 교수 ] 교신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 설립연도
    2011
  • 분야
    의약학>작업치료학
  • 소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인, 노인들의 사회통합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작업치료사를 키우고 이들이 학문적으로 상호 교류하여 성공적인 재활을 이루고자 한다. 이와 관련된 각종 세미나, 토론을 통하여 지역사회작업치료의 올바른 방향을 정립하고자 한다. 특히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각종 기술들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현장에 적용하는 학문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간행물

  • 간행물명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 간기
    연3회
  • pISSN
    2234-0866
  • 수록기간
    2011~2023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514 DDC 617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제10권 제2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