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각 업계의 글로벌 기업들은 최신기술과 융합한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기업은 더 이상 기존 방식으로는 생존할 수 없으며 패션업체도 예외는 아니다. 본 논문은 해외 글로벌 패션기업의 디지털전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패션기업에서 활용 가능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디지털 신기술 중에서 패션산업 분야에 많이 적용된 인공지능,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데이터 클라우드, 빅데이터, 블록체인 기술을 중심으로 기술현황을 정리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중심의 동향연구로 진행하였으며 기술보고서와 기업의 연구보고서, 기업 및 연구소 홈페이지의 공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범위는 해외 글로벌 패션기업에서 디지털 전략을 시도한 2009년부터 2018년까지로 한정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디지털 전환을 이끈 디지털 기술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디지털 신기술의 범위는 방대하므로 패션산업에 적용된 기술로 한정하였다. 동향분석은 디지털지수가 높은 해외 글로벌 패션기업으로 알려진 버버리, 루이비통, 샤넬, 구찌, 랄프 로렌 등을 선정하였다. 각 기업의 동향 수집은 디지털전환 전략을 처음으로 시도한 2009년부터 2018년까지를 연구범위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기업의 디지털 전환 전략은 소비자 중심의 데이터 분석으로 브랜드의 핵심가치를 반영한 성장을 시도하여야 한다. 둘째, 센서를 이용한 소비자의 분석으로 소비자 경험을 반영한 디지털 체험을 제안한다. 셋째, 온오프라인의 경계가 무너진 현실을 반영하여 개인화된 상품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고객의 데이터 분석에 의한 맞춤형 가상착장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가치창출을 시도하여야 한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companies in each industry are trying to innovate with the newest technology. Companies can no longer survive in the traditional way, and fashion companies are no exception. This study analyz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trends of global fashion companies and suggests strategies that can be used in domestic fashion companies. Among the various new digital technologies, the current state of the fashion industries is organized around A.I,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data cloud, big data, and blockchain technologies. The research method was a case study based on literature. And the technical reports, corporate research reports, and public data on the corporate and research institute website were used. The scope of research is limited to the range from 2009 to 2018 when digital transformation was attempted by a global fashion companies. Theoretical background analyzes the trend of digital technology that led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range of new digital technologies is huge and limited to those applied to the fashion industry. Trend analysis selected by Burberry, Louis Vuitton, Chanel, Gucci, and Ralph Lauren who are known as global fashion companies with high digital index. The trends of each company were studied from 2009 to 2018 when the digital conversion strategy was first attempted through n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of fashion companies should try to grow by reflecting the core values of brands through consumer-oriented data analysis. Second, we propose a digital experience that reflects consumer experiences by analyzing consumers using sensors. Third, a personalized product strategy is needed to reflect the reality that the boundaries between online and offline are broken. Fourth, it should try to create value for consumers by tuilizing customized virtual try-on based on customer data analysi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패션디지털 전환
Ⅳ. 결론
Reference

참고문헌 (5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