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해외기술의 모방과 생산과정에의 적용을 통한 추격형 혁신시스템의 성장 잠재력이 소진됨에 따라 혁신에 기반을 둔 새로운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청되고있다. 새로운 혁신시스템은 중소·중견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경제주체의 형성,신기술지식 창출능력에 기반을 둔 급진적 혁신, 장기 사회경제적 효과 창출을위한 기초연구의 성장, 다양성 원천으로서의 지역기술혁신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이 글은 지역 차원에서의 ‘시스템 전환’의 가능성과 한계를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출발했다. 국가주도의 연구집적지로 출발한 대덕연구개발특구가 혁신클러스터 형태로 시스템 전환되는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요인과 촉발요인을 혁신시스템 구조와 기능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했다. 분석결과,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시스템 전환은 기존 추격형 레짐의 영향 하에 일부 시스템 기능을 보완하는 보완적 전략을 취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시스템 내부에 전환을 추동할 새로운 주체가 형성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체 간 협력관계를 통한 외부효과의 창출이나 새로운 시장 창출 능력, 정당성 확보 등의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전환을 추동하는 혁신주체의 육성과 산학연 협력관계 형성, 시장창출 기능 등의 정책적 보완도 중요하지만 중앙정부 중심, 공급주도적 거버넌스를 지역수요와 수요기반의 거버넌스로 바꾸는 것이 시스템 전환에 핵심적인 중요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시스템 전환, 대덕연구개발특구, 혁신시스템, 기술추격

참고문헌(31)open

  1. [보고서] 강영주 / 2012 / 통합적 지역 R&D 거버넌스체계 구축방안 :

  2. [보고서] 김기희 / 2013 / 기술집약형 중소기업 창업촉진과 성장을 위한 R&D 지원 효율성 제고방안

  3. [보고서] 김성수 / 2007 / 한국 과학기술 정책네트워크의 특성분석: 관료주도 정책결정시스템의원인과 대안

  4. [보고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2012 / 201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5. [기타] 미래창조과학부 / 2013 / 2013 지방과학기술연감

  6. [보고서] 서지영 / 2010 / 녹색기술의 시스템적 성장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7. [학술지] 송위진 / 1999 / 기술혁신에서의 위기의 역할과 과정 / 기술혁신연구 7 (1) : 78 ~ 97

  8. [보고서] 송위진 / 2004 / 새로운 국가혁신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9. [학술지] 염재호 / 2012 / 대형국가연구개발사업 정책의 제도적 분석: 정책제도의 지속과 변화 / 기술혁신학회지 15 (1) : 129 ~ 162

  10. [보고서] 정병걸 / 2014 / 네덜란드의 전환 정책

  11. [보고서] 황혜란 / 2012 / 대덕특구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지원방안

  12. [보고서] 황혜란 / 2013 / 대전지역 산학연 협력주체 협력 활성화 방안

  13. [학술지] Bergek, A. / 2008 / Analyzing the functional dynamic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s: A scheme of analysis / Research Policy 37 (3) : 407 ~ 429

  14. [학술지] Bergek,A., S. / 2008 / Legitimation and development of positive externalities: two key processes in the formation phas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s /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20 (5) : 575 ~ 592

  15. [단행본] Coe, N. M. / 2007 / Economic Geography: A Contemporary Introduction / Blackwell Publishing

  16. [학술대회] Cooke, P. / 1996 /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oncepts, analysis and typology / EU-RESTPOR Conference

  17. [단행본] Cooke, P. / 1998 / Regional Innovation Systems / UCL Press : 245 ~ 262

  18. [단행본] Edquist, C. / 2005 / The Oxford Handbook of Innova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 181 ~ 208

  19. [단행본] Fagerberg, J. / 2005 / The Oxford Handbook of Innovation / : 1 ~ 26

  20. [단행본] Lundvall, B.-A. / 1992 / National innovation system: towards a theory of innovation and interactive learning / Pinter

  21. [학술지] Markard, J. / 2008 /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s and the Multi-Level Perspective: Towards an Integrated Framework / Research Policy 37 (4) : 596 ~ 615

  22. [학술지] 황혜란 / 2013 / Towards an Innovation Policy in the Post Catch-Up Era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2 (1) : 1 ~ 19

  23. [학술지] Hekkert, M. P. / 2007 / Functions of Innovation Systems : A New Approach for Analysing Technological Change /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4 (4) : 413 ~ 432

  24. [단행본] Kline, S. J. / 1986 / The Positive Sum Strategy: Harnessing Technology for Economic Growth / National Academy Press : 275 ~ 305

  25. [기타] OECD / 1996 / The Knowledge-Based Economy

  26. [학술지] Todtling, F. / 2005 / One size fits all? Towards a differentiated policy approach with respect to regional innovation systems / Research policy 34 (8) : 1203 ~ 1219

  27. [학술지] Wieczorek, A. / 2012 / Systemic instruments for systemic innovation problems : A framework for policy makers and innovation scholars / Science and Public Policy 39 (1) : 74 ~ 87

  28. [단행본] Wolfe, D. / 1998 / Regional Innovation Systems / UCL Press : 99 ~ 135

  29. [학술지] Woolthuis, R. / 2005 / A system failure framework for innovation policy design / Technovation 25 : 609 ~ 619

  30. [단행본] R. Galli / 1997 / Systems of Innovation: Technologie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 Pinter Publishers : 342 ~ 370

  31. [학술지] B. van Mierlo / 2010 / Learning towards system innovation: Evaluating a systemicinstrument /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77 : 318 ~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