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기본소득은 복지국가를 보완하고 강화시킬 수 있을까? 이 논문은 기본소득론자의 기대와 달리, 기본소득은 1/n 방식 때문에 소득보장제도로서 실효성이 낮고, 재정문제 때문에 기존 사회보장제도를 구축(驅逐)할 우려가 있음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기본소득의 다섯 가지 핵심 요건(개인대상, 무조건성, 정기성, 현금급여, 보편성)을 사회보장 원리와 비교분석함으로써, 기본소득이 사회보장을 위한 정책수단으로써 내재적인 한계를 갖고 있음을 드러낸다. 결론적으로 기본소득론자들의 주장과 달리, 기본소득으로는 한국복지국가를 발전시키기 어렵고, 오히려 저해할 가능성이 있음을 주장한다.

Can a universal basic income be an engine for the welfare state development? This study reveals how basic income would operate and adversely affect the wellbeing of citizens, especially the least advantaged who are the main target of social provisions. After analysing the five characteristics of basic income (periodic regular payment, cash payment, payment to individuals, universality, and unconditionality) in comparison with current social welfare provis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basic income is not likely to be a stepping stone for the welfare state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사회보장의 정책수단으로서 기본소득의 내재적 한계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