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남녀대학생의 동남아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에 기초하여

The factors influencing receptive behavior towards the Migrant Workers from Southeast Asia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약어 : -
2014 vol.19, no.3, pp.315 - 338
DOI : 10.18205/kpa.2014.19.3.007
발행기관 : 한국여성심리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여성심리학회
233 회 열람

본 연구는 남녀대학생의 동남아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용행동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변인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성별과 접촉에 따른 수용행동 관련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어서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안하는 변인들, 즉 태도, 주관적 규범, 계획된 행동 통제, 행동 의도 및 행동 변인과, 사회정체성이론으로부터 한국인집단정체성, 그리고 대상에 대한 태도인 고정관념과 편견(정서)이 수용행동을 설명하는 정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고정관념에서 수용적 태도, 행동의도, 및 행동으로 향하는 경로를 편견(정서)이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라 한국인집단정체성과 주관적 규범에서 차이가 있었고, 접촉에 따라서는 수용행동, 지각된 행동통제와 연민 정서에서 차이가 있었다. 제시된 모델로 동남아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용행동의도의 57%, 수용행동의 54%가 설명되었다. 또한 고정관념에서 수용행동의도와 수용행동을 각각 설명하는데 정서가 부분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동남아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용적 태도, 수용행동의도, 수용행동을 구별하여 영향 미치는 변인들을 밝히고, 동남아계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 관련 변인들에서 성별과 접촉에 따른 차이를 밝히며 그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수용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의 영향을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nform the effec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 explaining receptive behavior intention as well as receptive behavior towards the Migrant Workers from Southeast Asia, and to investigate the comparative role of Korean social identity, stereotype and prejudice(i.e. attitude about object) in the prediction of receptive behavior towards the Migrant Workers from Southeast Asia, and to study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prejudice) in effects of stereotype on receptive attitued, receptive behavior intention, and receptive behavior towards the Migrant Workers from Southeast Asia. A sample of 516 undergraduat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receptive intention was explained 57% by proposed model, while receptive behavior was explained 54% by this model. Furthermore, tests of the mediation model demonstrate that emotion(prejudice)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linkage between stereotype and receptive behavior towards the Migrant Workers from Southeast Asia.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area were discussed.

동남아계 외국인 노동자, 다문화 수용성, 고정관념, 편견(정서), 계획된 행동이론
the Migrant Workers from Southeast Asia, stereotype, prejudic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ceptive behavior

  • 1. [학술지] 금명자 / 2004 / 탈북 청소년의 문화 적응 과정 이해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16 (2) : 295 ~ 2 kci
  • 2. [학위논문] 김금미 / 2002 / 집단의 사회정체성과 지위에 따른 내집단 편애 : 성별집단과 최소집단에서
  • 3. [학술지] 김금미 / 2010 / 대학생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 수용적 행동: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15 (2) : 259 ~ 2 kci
  • 4. [학술지] 김금미 / 2011 / 대학생의 탈북자에 대한 수용적 행동의도와 행동을 설명하는 변인들: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을 적용하여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5 (3) : 1 ~ 3 kci
  • 5. [학술지] 김금미 / 2001 / 여성의 성별사회정체성과 남녀간 경쟁전략의 관계 /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 6 (2) : 15 ~ 2
  • 6. [학술지] 김동수 / 2011 / 외국인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인식:6개 외국인 집단을 대상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5 (1) : 1 ~ 1 kci
  • 7. [기타] 김명현 / 2013 / 외국인 노동자 이주현황 / 월간 빛 3월호
  • 8. [단행본] 김현미 / 2014 /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 돌베개
  • 9. [학술대회] 김혜숙 / 2000 / 북한 사람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태도 /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춘계심포지엄 : 19 ~
  • 10. [학술지] 김혜숙 / 2002 / 대학생들이 중요시하는 가치와 북한 사람 및 대북 정책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조사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16 (1) : 35 ~ 1 kci
  • 11. [학술지] 김혜숙 / 2007 /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는 가치가 소수 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1 (4) : 91 ~ 4 kci
  • 12. [학술지] 김혜숙 / 2003 / 다수 집단과 소수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의 내용: 유능성과 따뜻함의 차원에서의 분석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17 ()) : 121 ~ ) kci
  • 13. [학술대회] 김혜숙 / 2010 / 다문화 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사회정체성,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96 ~
  • 14. [학술지] 김혜숙 / 2011 /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단정체성,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5 (2) : 51 ~ 2 kci
  • 15. [학술지] 김혜숙 / 2006 / 집단지위 정당성, 지위안정성 및집단정체성이 차별지각에 미치는 영향:성차별과 학벌차별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0 (4) : 71 ~ 4 kci
  • 16. [학술지] 김혜숙 / 1999 / 북한사람에 대한 대학생과 일반인의 고정관념, 감정과 태도: 외국인에 대한 태도와의 비교 / 심리과학 / 8 (1) : 1 ~ 1
  • 17. [학술지] 맹진학 / 2009 / 한국인의 다문화 배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 사회복지정책 / 36 (3) : 323 ~ 3 kci
  • 18. [학술지] 박수미 / 2006 /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 여성연구 / 2 (71) : 5 ~ 71 kci
  • 19. [학술대회] 박신혁 / 1996 / 한국내 외국인 노동자들의 생활 실태와 직무관련 만족도 /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 779 ~
  • 20. [학술지] 송미영 / 2010 / 다문화 수용성의 원인 분석 / 민족연구 / 41 (41) : 74 ~ 41 kci
  • 21. [학위논문] 송영호 / 2009 /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 22. [학술지] 양계민 / 2009 / 한민족정체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청소년연구 / 20 (4) : 387 ~ 4 kci
  • 23. [학술지] 양계민 / 2009 /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3 (2) : 59 ~ 2 kci
  • 24. [학술지] 양계민 / 2005 /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11 (특) : 97 ~ 특 kci
  • 25. [학술지] 유연재 / 2000 / ‘한집단’ 범주의 점화가 북한사람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 14 (1) : 91 ~ 1
  • 26. [학술지] 윤인진 / 2011 /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 통일문제연구 / 23 (1) : 143 ~ 1 kci
  • 27. [학술지] 전우영 / 1999 / 남북한 고정관념에 대한 탐색 : 성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 13 (2) : 219 ~ 2
  • 28. [학위논문] 최수정 / 2009 / 다문화적 가치지향이 동남아 이주노동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29. [학술지] 한덕웅 / 2001 /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한 음주운전 행동의 설명 /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 15 (2) : 141 ~ 2
  • 30. [학위논문] 황운경 / 2012 / 외국인 이주노동자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전광역시 대학생을 중심으로
  • 31. [보고서] 황정미 / 2007 /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 32. [학술지] Ajzen, I. / 1991 /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 50 : 179 ~
  • 33. [단행본] Allport, G. W. / 1954 / The nature of prejudice / Addison-Wesley
  • 34. [학술지] Armitage, C. J. / 2001 / Efficac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 A meta-analytic review /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 40 : 471 ~
  • 35. [학술지] Arnold, J. / 2006 / How well ca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ccount for occupational intentions?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69 : 374 ~
  • 36. [학술지] Baron, R. M. / 1986 /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51 (6) : 1173 ~ 6
  • 37. [학술지] Beale, D. A. / 1991 / Predicting mothers' intentions to limit frequency of infants' sugar intake : Tes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 21 : 409 ~
  • 38. [학술지] Berry, J. W. / 1997 /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 Applied Psychology / 46 : 5 ~
  • 39. [단행본] Berry, J. W. / 2002 / Cross-cultural psychology: Research and application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40. [단행본] Brown, R. / 2000 / Group process / Blackwell
  • 41. [학술지] Cuddy, A. J. / 2007 / The BIAS Map : Behaviors from intergroup affect and stereotypes /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92 (4) : 631 ~ 4
  • 42. [학술지] Devine, P. / 1989 / Stereotypes and prejudice : Their automatic and controlled component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56 : 5 ~
  • 43. [단행본] Eagly, A. H. / 1993 / The psychology of attitudes / Harcourt Brace Jovanovich
  • 44. [단행본] Fiske, S. T. / 2004 / Social beings: A core motives approach to social psychology / Wiley
  • 45. [학술지] Fiske, S. T. / 2002 / A model of(often mixed)stereotype content : Competence and warmth respectively follow from perceived status and competition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82 : 878 ~
  • 46. [학술지] Forward, S. E. / 2009 /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 The role of descriptive norms and past behaviour in the prediction of drivers' intentions to violate /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 12 : 198 ~
  • 47. [단행본] Gleiteman, H. / 1999 / 심리학입문 / 시그마프레스
  • 48. [학술지] Hoyt, A. L. / 2009 / Integrating five-factor model facet-level traits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exercise /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 10 : 565 ~
  • 49. [학술지] Norman, P. / 2007 /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binge drinking : Assessing the impact of binge drinker prototypes / Addictive Behaviors / 32 : 1753 ~
  • 50. [학술지] Simsekoqlu, O. / 2008 / Social psychology of seat belt use : A comparis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health belief model /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 11 : 181 ~
  • 51. [학술지] Song, Z. / 2006 / Action-state orientation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A study of job search in China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68 : 490 ~
  • 52. [단행본] Weiten, W. W. / 2009 / 생활과 심리학[Psychology applied to modern life : Adjustment in the 21st century, 9th Edition](김정희, 강혜자, 이상빈, 박세영, 및 권혁철 역) / 시그마 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