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청소년 가출경험을 예측하는 변인들에서의 성차

Gender Differences on Predicting Variables of Runaway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약어 : -
2011 vol.16, no.3, pp.379 - 400
DOI : 10.18205/kpa.2011.16.3.007
발행기관 : 한국여성심리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여성심리학회
254 회 열람

이 연구는 청소년 가출경험을 예측하는 변인들에 있어서 남녀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부산, 울산, 대구) 남녀 중학생 3,430명을 대상으로 ABAS-S 청소년행동평가척도(청소년용)를 실시하였다. 가출경험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ABAS-S의 8개 문제척도와 10개의 중요문항을 준거변인으로 삼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결과에서 가출경험을 예측하는 변인들에서 남녀 차이가 있었다. 먼저 남자청소년의 경우, 가출경험을 예측하는 영향력있는 변인은 10개(R2=.51)로 나타났다. 지위비행이 가장 영향력이 높았고 그 다음으로 무단결석, 임신, 낙태, 교사관계문제, 범죄성비행, 성폭력, 청소년성매매, 집단괴롭힘가해, 학교중퇴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자청소년의 경우, 가출경험을 예측하는 영향력있는 변인은 13개(R2=.52)로 나타났다. 지위비행이 가장 영향력이 높았고, 그 다음으로 무단결석, 폭력학대피해, 낙태, 교사관계문제, 집단괴롭힘피해, 청소년성매매, 범죄성비행, 집단괴롭힘가해, 학업문제, 가족관계문제, 학년, 임신의 순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gender difference on predicting variables on runaway experience among adolescents. Total 3,430 middle school students in Gyungnam area completed ABAS-S, the scale consisted of eight problem behaviors and ten critical items of adolescents. The results of a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also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irst in male adolescents the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s influence on runaway experience showed 10 variables(R2=.51). In that, the biggest influence on runaway experience was status delinquency, followed by playing truant, pregnancy, abortion, teacher relations problem, criminal delinquency, sexual violence, prostitution, bulling bullies experience, drop out of school. In female adolescents the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s influence on runaway experience showed 13 variables(R2=.52). In that, the biggest influence on runaway experience was status delinquency, followed by playing truant, violence/abuse victims experience, abortion, teacher relations problem, bulling victims experience, prostitution, criminal delinquency, bulling bullies experience, learning prolems, parent relations problem, grade, pregnancy. In discussion were discussed mean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가출, 가출경험, 비행, 청소년문제, 성차
runaway, runaway experience, delinquency, adolescent problem, gender difference

  • 1. [단행본] 국가청소년위원회 / 2007 / 2007청소년백서 / 국가청소년위원회
  • 2. [학위논문] 김민정 / 1999 / 여학생의 상습적인 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3. [학술지] 김은영 / 2009 / 단기쉼터이용 가출청소년의 귀가 결정요인에 관한 생존분석 / 청소년학연구 / 16 (1) : 343 ~ 1 kci
  • 4. [학술지] 김지혜 / 2003 / 가출 청소년의 비행 경험에 대한 해석적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54 : 99 ~ kci
  • 5. [학술지] 김지혜 / 2005 / 가출 청소년의 노동시장 참여와 비행 / 한국청소년연구 / 16 (2) : 207 ~ 2 kci
  • 6. [학술지] 남미애 / 1998 / 여성가출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청소년학연구 (3) : 63 ~ 3
  • 7. [학술지] 남영옥 / 2001 / 청소년의 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경계선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 청소년학연구 / 8 (2) : 143 ~ 2
  • 8. [학술지] 노혜련 / 2005 / 가출청소년의 자살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에 관한 연구 / 한국청소년연구 / 16 (1) : 5 ~ 1 kci
  • 9. [학술지] 박명숙 / 2006 / 청소년 가출의 잠재적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학연구 / 13 (1) : 85 ~ 1 kci
  • 10. [보고서] 백혜정 / 2009 / 2009 한국 아동청소년 가출 실태조사
  • 11. [보고서] 백혜정 / 2009 / 청소년 가출현황과 문제점 및 대책 연구
  • 12. [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 2008 / 2008년도청소년유해환경접촉 종합실태조사
  • 13. [학술지] 오승환 / 2010 / 청소년 가출에 대한 생태체계적 영향 요인 -가출충동과 가출경험을 중심으로 / 청소년복지연구 / 12 (4) : 301 ~ 4 kci
  • 14. [학술대회] 이상준 / 2011 / 가출청소년의 사회적 탄력성과 위험․보호요인의 효과-가출청소년 쉼터를 중심으로 / 2011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117 ~
  • 15. [학위논문] 이종화 / 2004 / 10대 여학생의 임신경험 관련요인에 관한 예측모형
  • 16. [학술지] 이종화 / 2006 / 여자 고등학생 가출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 청소년학연구 / 13 (3) : 157 ~ 3 kci
  • 17. [학술지] 이해경 / 2004 / 청소년 자기보고형 문제행동평가척도의 개발: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 /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 17 (1) : 147 ~ 1 kci
  • 18. [단행본] 이해경 / 2008 / ABAS-S 청소년행동평가척도(청소년용): 상담을 위한 활용 / 학지사심리검사연구소
  • 19. [보고서] 장필화 / 2002 / 성매수 대상 청소년 심층조사연구
  • 20. [학술지] 정경은 / 2008 / 청소년가출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미래청소년학회지 / 5 (1) : 219 ~ 1 kci
  • 21. [학위논문] 정혜경 / 2000 / 청소년 가출에 관한 예측모형
  • 22. [학술지] 주동범 / 2009 / 청소년의 문제행동 경험이 가출경험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학연구 / 16 (1) : 51 ~ 1 kci
  • 23. [학술지] 한상철 / 2000 / 가출 청소년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계 / 한국청소년연구 / 32 : 29 ~
  • 24. [학술지] Athey,J.L / 1991 / HIV Infection homeless adolescent / Childwelfere / 70 (2) : 591 ~ 2
  • 25. [학술지] Adams,D.M / 1985 / Stressful life events associated with adolescent suicide attempts / Candian Journal of Psycobiaty / 39 : 43 ~
  • 26. [학술지] Kidd.S.A / 2007 / Youth Homeless and Social Stigma /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 36 (3) : 291 ~ 3
  • 27. [학술지] Ferguson,D / 1995 / Suicide Attempts and Suicidal Ideation in a Birth Cohort of 16-year-old New Zealanders / The American Journal of Academy Psychiatry / 34
  • 28. [학술지] Plass,P.S / 1995 / The inter generational transmission of running away:Childhood experience of the parents of runaway /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 24 (3) : 335 ~ 3
  • 29. [학술지] Reilly,P.P / 1977 / What make adolescents girls free from their home / Clinical Pediatric / 17 (2) : 241 ~ 2
  • 30. [학술지] Rew,L.M / 2001 / Correrates of resilience in homeless adolescents /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 33 (1) : 33 ~ 1
  • 31. [단행본] Robertson,J.M / 1992 / Homeless and Runaway Youths:A Review of the Literature.In Homelessness:A National Perspective / Plenum
  • 32. [학술지] Voydanoff,P / 1999 /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grades among adolescents / Journal of Family Issues / 20 (3) : 328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