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아내 폭력 생존자가 폭력을 벗어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Change Processes in Women Who Left Their Abusive Husbands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약어 : -
2011 vol.16, no.1, pp.69 - 96
DOI : 10.18205/kpa.2011.16.1.004
발행기관 : 한국여성심리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여성심리학회
246 회 열람

본 연구에서는 아내 폭력을 경험한 여성들이 폭력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남편의 폭력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왔고 현재 폭력 관계를 중단한 것으로 보이는 6명의 경험을 연구하였다. 각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남편에 의한 폭력에서 벗어나게 된 과정 중 경험한 변화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14개의 하위 주제와 이를 포괄하는 5개의 상위 주제를 구하였다. 아내 폭력을 벗어나는 경험에서 떠오른 주요 상위 주제는 ‘힘을 내서 지속적으로 폭력을 단절함’, ‘자기 탐색/수용/이해’, ‘주변으로 인해 힘을 얻거나 상실함’, ‘친밀한 관계의 재구성’, ‘남겨진 과제와 희망’이었다. 각 상위 주제와 관련되는 하위 범주에 대하여 기술하여 각 상위 주제와 관련되는 경험들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위 주제들 간의 관계와 하위 범주에서 발견된 주제들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폭력 경험을 보고하는 여성들을 이해하고 상담하기 위해 고려할 점들을 논의하였다.

This phenomenological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women who left their abusive husbands. Participants were 6 women who made an effort to cope with the domestic violence and seemed to have stopped the painful relationship with husbands.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the 6 participants with semi-structured interview protocol to ask their experience of leaving husband-to-wife violence. Main themes, with 14 sub-themes, which emerged from the data were “keeping severing the violence with strength”, “self-exploring/ accepting/ understanding”, “strength gained/ lost by outer factors”, “reconstruction of intimate relationship”, and “lingering problems and new hopes.” Each sub-theme was described with related main themes. Discussion as to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the domestic violence survivors follow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아내폭력, 가정폭력, 현상학적 연구, 변화 과정, 아내폭력 상담
abusive relationship, domestic violence survivors, phenomenological study, change process, domestic violence counseling

  • 1. [학술지] 김광은 / 2006 / 생존자 치료 관점에서 본 쉼터 거주 내담자들의 아내 폭력 상담 사례 연구 / 여성연구 / 2 (71) : 43 ~ 71 kci
  • 2. [학술지] 김광일 / 1985 / 구타당하는 아내 50예의 정신의학적 연구 / 정신건강연구 / 3 : 2235 ~
  • 3. [학술지] 김선아 / 2003 / 가정폭력으로 쉼터에 입소한 여성의 피해실태와 정신건강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33 (8) : 981 ~ 8 kci
  • 4. [보고서] 김승권 / 2008 / 2007년 전국 가정폭력 실태조사
  • 5. [단행본] 김영천 / 2006 / 질적연구방법론Ⅰ / 문음사
  • 6. [학술지] 김예정 / 2006 / 가정폭력의 세대간 전달에 관한 연구 / 대한가정학회지 / 44 (6) : 141 ~ 6 kci
  • 7. [학위논문] 김주현 / 2006 / 가정폭력피해여성이 폭력에서 벗어나는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8. [학술지] 김주현 / 2008 /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비폭력적 결혼관계 유지 경험에 관한 연구 - 공식적 보호체계 이용경험이 있는 피해여성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 23 (23) : 5 ~ 23 kci
  • 9. [단행본] 김혜련 / 1995 / 남자의 결혼,여자의 이혼 / 또하나의 문화
  • 10. [학술지] 박혜원 / 2006 /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영성 및 외상관련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상담학연구 / 7 (1) : 201 ~ 1 kci
  • 11. [학술지] 손정남 / 2007 / 가정폭력 경험 여성들의 심리적 결과 예측에 대한 모형 구축 / 정신간호학회지 / 16 (4) : 398 ~ 4 kci
  • 12. [단행본] 양승애 / 2004 / 질적연구 방법론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13. [학술지] 심영희 / 1998 /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정체성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심층면접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논총 / 17 : 389 ~
  • 14. [학술지] 이수정 / 2006 / 가정폭력에 기인하여 배우자를 살해한여성 재소자의 심리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0 (2) : 35 ~ 2 kci
  • 15. [학술지] 전철은 / 2003 / 심리적 피학대 여성의 수치심, 죄책감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 22 (4) : 763 ~ 4 kci
  • 16. [학위논문] 정희진 / 2000 / 아내폭력’경험의 성별적 해석에 대한 여성학적 연구: 가족 내 성역할 규범을 중심으로
  • 17. [단행본] 정희진 / 2001 /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가정 폭력과 여성 인권 / 또 하나의 문화
  • 18. [단행본] 조흥식 / 2006 / 여성복지학 2판 / 학지사
  • 19. [학술지] 홍창의 / 2001 / 남편의 폭력이 아내의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자아 탄력성,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를 중재변인으로 / 심리과학연구 / 2 (1) : 1 ~ 1
  • 20. [단행본] Abrahams, Hilary / 2007 / Supporting women after domestic violence: loss, trauma and recovery / Jessica Kingsley Publishers
  • 21. [단행본] Allen, Jon G / 2005 / Coping with Trauma: hope through understanding, 2nd ed / American Psychiatric Pub
  • 22. [학술지] Andrews, Bernice / 2003 / Gender, Social Support, and PTSD in Victims of Violent Crime / Jounral of Traumatic Stress / 16 (4) : 421 ~ 4
  • 23. [학술지] Creswell, John W / 2007 / Qualitative Research Designs: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 The Counseling Psychologist / 35 (2) : 236 ~ 2
  • 24. [학술지] Farrell,M.L / 1996 / Healing: A qualitative study of women recovering from abusive relationship with men /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 32 (3) : 23 ~ 3
  • 25. [단행본] Hammersley, M / 1995 / Ethnography: Principles in Practice / Routledge
  • 26. [단행본] Herman, Judith / 2007 / 트라우마 / 플래닛
  • 27. [학술지] Linley, P. A / 2004 /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 Journal of Traumatic Stress / 17 : 11 ~
  • 28. [학술지] Morris, B. A / 2005 / Multidimensional nature of posttraumatic growth in an Australian population / Journal of Traumatic Stress / 18 : 575 ~
  • 29. [학술지] Park, C. L / 1996 /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 Journal of Personality / 64 : 71 ~
  • 30. [학술지] Senter, K. E / 2002 / Spirituality and the Maintenance of Change: A Phenomenological Study of Women who Leave Abusive Relationships / Contemporary Family Therapy / 24 (4) : 543 ~ 4
  • 31. [단행본] Strauss, A / 1998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 Sage Publications
  • 32. [단행본] Tedeschi, R. G / 1998 /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Issues. In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s in the Aftermath of Crisis / Lawrence Erlbaum : 1 ~
  • 33. [학술지] Tedeschi, R. G / 1996 /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 Journal of Traumatic Stress / 9 : 455 ~
  • 34. [학술지] Tedeschi, R. G / 2004 /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 Psychological Inquiry / 15 (1) : 1 ~ 1
  • 35. [단행본] Walker / 2000 / Abused women and survivor therapy : A practical guide for the psychotherapist (3rd ed.)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