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심리적인 보호/위험 요인과 가족 구조 요인 그리고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 행동간의 관계: 성별 모형에 의한 접근

The gender based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protective/risk factors and family factors to Internet use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약어 : -
2009 vol.14, no.4, pp.731 - 758
DOI : 10.18205/kpa.2009.14.4.012
발행기관 : 한국여성심리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여성심리학회
224 회 열람

이 연구는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요인과 가족 요인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인터넷 이용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남녀고등학생 657명에게 MSPIUA의 원인척도와 이용행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가족 구성 내역 및 심리적인 보호/위험 요인들이 인터넷 사용량 및 특정 인터넷 영역의 사용 여부와 관련되어 있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은 사회적 지원과 관련된 심리적인 보호/위험 요인과 언니 및 남동생을 중심으로 한 가족 구성이 일일 인터넷 이용량과 관련되었으나, 남학생의 경우는 심리적인 보호/위험 요인들과 가족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면 이들 변인들과 인터넷 사용량과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특정 인터넷 영역의 이용 여부와 관련해서는, 여학생의 경우 동거 가족의 구성은 영역 특정적 접속과 거의 관련이 없었지만, 낮은 가족 지지를 중심으로 한 일부 심리적인 보호/위험 요인은 특정 인터넷 영역의 접속과 관련을 가졌다. 남학생의 경우는 가족 구성 변인 및 심리적인 보호/위험 요인과 특정 인터넷 영역의 이용간의 관계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었다. 전체적으로, 여학생과 남학생은 개인적인 보호/위험 요인과 가족 구성, 인터넷 이용 행동간의 관계가 서로 매우 상이하였으며, 가족 구성 내역과 관련되어있는 정도 및 주요한 보호/위험 요인도 달랐고 이러한 관계가 인터넷 이용 행동과 형성하고 있는 기제도 달랐다. 인터넷 이용 행동을 설명하는 성별 모형의 함의 및 이를 반영한 예방 계획의 마련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d a gender-based differntia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protective/risk factors, family factors, and adolescent Internet use. The daily login duration, main login area, the presence of specific family members, and the level of protective/risk factors of 657 adolescents were assessed. The multiple regressions of protective/risk factors and family factors to login duration and the logistic regression of protective/risk factors and family factors to login content were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irls' Internet login dur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perceived peer support, social competence, anger control, and the existence of elder sisters in the semester. The girls' Internet login duration vacations was negatively related to peer support, family support, and the existence of elder sisters and younger brothers. The results for the boys did not display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protective/risk factors, family factors, and Internet login duration for both periods: semesters and vacations.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girls' login to specific websites was not related to any family factors, but their chatting and game use were related to low family support, their messenger use was related to the low family support and high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ir web community use was related to high self-efficacy and low family support. The results indicated complicated results for the bots'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ve/risk factors, family factors, and login content. The differential meaning and the role of Internet use based on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 gender-based apporach in the intervention and prevention of adolescent Internet use were discussed.

가족적 자원, 심리적 보호/위험 요인, 인터넷 이용량, 인터넷 콘텐츠., 성차.
family resource, protective/risk factors, daily Internet use, login contents, gender dif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