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지, 그 긍정적 영향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과학수업 계획(안)과 실행으로 구성된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수업분석 프로그램을 한 학기동안 적용하였으며 과학교수효능감 자료와 수업분석에 대한 심층면담과 저널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 계획안 작성에 대한 인식 변화, 계획안 구성요소에 대한 재인식, 교육과정과 계획안의 관련성 이해, 수업일관성 경험,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계획(안) 분석과정에서 나타났으며,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과학교수방법에 대한 이해,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관심, 과학수업 자료 및 매체의 중요성 인식, 과학수업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이 수업실행 분석과정에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수업분석 경험이 효과적인 교사교육내용 및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키워드

유아과학수업(Children Sciencing lesson), 과학교수효능감(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수업분석도구(Lesson Anlysis Tool)

Ⅰ. 서 론open

최근 교사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면,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함께 우수한 교사를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에 관심이 모아지면서 교원양성교육 역시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특히 수업전문성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Fleer, 2009; Wills & Sandholtz, 2009). 이는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추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현직교사의 수업전문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아과학교육 역시 예비교사의 과학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적 모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들의 공통적인 시사점은 유아과학교육의 효과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교사이며, 유아교육 현장 실제의 과학교수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부터 효과적인 교사교육방법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양수영, 2014; 이은진, 조부경, 2010; 조형숙, 2012; Fleer, 2009; Greenfield, 2009; Larsson, 2013; Pamela등, 2013).

예비유아교사는 나중에 현직 교사가 되었을 때 과학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교사역할 및 현장에 관한 실제적인 지식과 기술 중심으로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Korthagen, 2001; Lewin, 1993). 즉, 현장 교사의 실제적 과학수업을 위해 필수적인 과학수업 계획안 작성과 이에 근거한 과학수업 실행이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접근되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대부분의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과학교육 이론을 다루고 이를 토대로 수업 계획안 작성을 포함한 수업시연의 경험을 제공하는 이유도 이에 근거한다고 할 수 있다. 유아과학수업을 위해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대표적 교육방법인 수업시연은 시연 전 계획안 작성과 시연 후 평가의 과정을 포함하며, 전 과정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해 예비교사는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더불어 과학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Shulman, 1986). 즉, 유아과학수업의 계획 단계인 계획 설계와 실행단계인 수업실행은 유기적이며 순환적인 관계 하에 역동적 상호작용이 필요함(Gunter, Estes, Schwab, 2003)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수업계획 능력은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가능하게 해준다(Gunter등, 2003). 수업계획 능력은 단기간에 쉽게 획득되기 어려우며 예비교사교육과정의 경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하므로, 수업 계획안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더불어 계획안 작성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전략 제시를 통한 접근이 필요하다(성지훈, 김태인, 2013; Gunter 등, 2003; Beaty, 2004). 그러나 실제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는 수업계획안 작성 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으며, 계획안 작성에 대한 정보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보다 체계적인 수업계획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양찬호 외, 2013; 조희정, 이대균, 2012; Alexander, 1992).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수업계획 및 계획안 작성도 비슷한 실정이므로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수업실행은 주로 수업시연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수업시연 은 앞서 작성한 계획안을 토대로 최대한 계획과 실행이 일치되도록 실제 수업을 이끌어나가는 과정으로서(노태희 외, 2010; 성지훈 외, 2013), 일반적으로 도입, 전개, 마무리 절차별로 각 단계별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여 전개해 나간다(신은수 외, 2008; 권은주, 최윤정, 2010). 이러한 수업시연을 통한 수업실행 관찰 및 분석 경험은 수업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 교수기술을 향상시키며 수업반성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김경철, 김안나, 2010; 박은영, 2009). 최근 과학수업 계획과 더불어 실행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수업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세분화된 기준 또는 준거를 가지고 수업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정가윤, 배성아, 2011; Bausmith. & Barry, 2011).

앞서 언급하였듯이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는 대부분 예비교사의 과학수업능력 향상을 위하여 과학수업 시연의 기회가 주어진다. 과학수업 시연은 크게 준비, 실행, 평가 및 반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현재 이러한 과정 각각에 대한 안내나 지침이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지 않다(성지훈, 김태인, 2013; John, 2006). 선행연구에서는 과학수업을 시연하는 전체 과정에 대한 세밀하고 구체적인 기준이나 준거가 제시된다면 예비교사가 과학수업을 이해하고 수행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함으로써 과학수업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적절한 수업분석 도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김난희, 2013; 한재영, 윤지현, 2009; Bausmith. & Barry, 2011; Darling-Hammond & Brandsford, 2005). 이에 본 연구자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유아과학수업의 질 향상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과학수업에 대한 전문적인 시각과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Hudson, 2002; Greenfield 등, 2009), 과학수업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요소가 고루 습득되도록 체계적인 훈련프로그램이 마련되고 실시되어야 한다(김현진 등, 2010)는 전제 하에 체계화된 수업분석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수업분석 프로그램은 에비유아교사 양성과정의 과학수업에서 일반적으로 다루는 과학수업 계획안 작성과 과학수업 시연에 필요한 구체적 요소 및 내용을 각각 15개씩 추출하여 결과적으로 이들 요소들을 토대로 계획안 작성 방법과 과학수업 시연의 방법을 정확하게 익힐 수 있도록 의도함으로써 기존의 유아과학 교사교육방법에 보다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접근을 보완적으로 시도한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예비교사의 과학교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체계화된 수업분석을 제안하면서 그 효과를 입증한 연구들이 주목을 끌고 있다. 김현진 등(2010)은 예비교사는 수업의 다양한 요소가 고루 습득되도록 체계적인 훈련프로그램이 마련되고 실시될 때 미래의 교실수업에서 자신들이 수행했던 수업을 실제로 적용해보려는 의지를 더 많이 갖게 된다고 하였다. Okhremtchouk 등(2009)과 Orland-Barak(2002)는 예비유아교사에게 실제 현장의 수업사례와 더불어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기회를 더 다양하고 빈번하게 제공할 때 예비교사들의 자신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고 하였으며, Veenman 등(2010)은 예비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실제 과학수업에 대한 계획 및 실행 분석을 활용하면 예비교사들은 장차 자신들이 교실 수업을 할 때 이에 대해 더 강력하게 동기화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예비교사교육에서의 체계적인 과학수업 계획 및 실행에 대한 분석 경험이 예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Sanger, 2007).

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은 유아과학교육의 실제와 효과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뿐만 아니라 예비교사들도 다른 교과에 비해 과학에 대한 자신감 부족을 드러냄으로써(안부금, 2003; 신은수, 김현진, 2008; 조형숙, 2012) 과학에 대한 불안과 부담을 해소시키고 과학교수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전략이 교사양성 기관에서부터 필요하다. 그동안 수업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초중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노태희 외, 2010; 양찬호 외, 2013; 장명덕, 2006)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며, 특히 과학이라는 특정 교과에 초점 맞추어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과학수업분석을 계획과 실행 두 가지 측면에서 체계적이고 절차화된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접근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를 위한 수업분석도구를 활용한 과학수업 분석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한 학기동안 제공하고 이러한 방법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영향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인가?

2.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의 긍정적 영향의 내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Ⅱ. 연구방법open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교육과에서 유아과학교육을 수강한 3학년 학생 30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를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사전, 사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들 학생들을 프로그램 효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자료 수집의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도구 및 자료 수집

수업분석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Enochs와 Riggi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조부경, 서소영(2001)이 번역, 수정한 것을 사전, 사후에 사용하였다.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는 자신이 과학을 잘 가르칠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 정도에 대한 과학교수 개인 효능감(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PSTE) 13문항과 자신의 과학교수 행동이 기대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믿는 정도에 대한 과학교수 결과 기대감(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STOE)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경우 검사의 모든 문항을 미래형 문장으로 수정하였으며, 각 문항은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α 로 구한 신뢰도 계수는 .85이었다.

과학교수효능감 검사 점수는 긍정 문항일 경우 5단계 평정척도의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을 부여하고 부정 문항일 경우 역으로 환산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과학교수효능감 검사지 구성체계는 ’표 1‘과 같다.

<표 1>. 과학교수효능감 검사지 구성체계

프로그램 효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자료로써 학기 말에 이루어진 심층면담자료와 학생들이 작성한 저널쓰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외 과학수업 계획안, 과학수업 시연 동영상 자료, 계획 및 실행 분석지, 수업 분석 및 시연 토론 동영상 자료, 수업시연 평가표 등을 수집하여 보조자료로 활용하였다. 특히 심층면담은 과학수업 13주차에서 15주차까지 총 3주에 걸쳐 개별 혹은 2-4명의 소집단으로 수업 시간 외에 실시되었으며 면담시간은 참여 인원수에 따라 30분-1시간 30분가량 소요되었다. 면담내용은 주로 과학수업을 통해 느낀 어려운 점, 좋았던 점, 배운 점 등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물었으며, 그 외 학생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자유롭게 하도록 하였다. 저널쓰기는 수업 8주부터 13주까지 자신의 과학수업 계획을 토대로 수업시연을 한 후 동료 예비교사에 의한 수업실행 분석결과와 교수의 피이드백 결과, 그리고 자신의 수업을 녹화한 동영상 자료를 보며 이를 과학수업분석도구에 의해 다시 분석해 본 결과 등을 반영하여 과학수업 계획과 실행전반에 걸쳐 자신이 느끼고 배운 점을 자유롭게 기술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3. 연구절차

1) 과학수업 분석도구 개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과학수업 분석도구는 안부금(2014a)의 연구에서 개발한 것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유아교육 현장의 과학수업 컨설팅 시 과학수업 개선과 질 향상을 위해 컨설턴트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과학수업 분석도구로 계획(안) 및 실행을 위한 각각 25개, 29개의 분석요소로 구성된 것을 본 연구의 예비유아교사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의 절차를 거쳐 최종 15개씩의 분석요소를 추출하여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계획(안) 분석도구는 실제 과학수업 계획안 작성 절차를 반영하여 활동선정, 수업목표, 주요내용, 교육과정 관련요소, 교수학습방법, 수업자료 및 매체, 평가의 7개 영역별로 총 15개의 요소를 선정하였으며,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분석준거 및 기준은 실제 과학수업이 이루어지는 구체적 절차에 따라 도입, 전개, 마무리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총 15개의 요소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수업계획(안) 15문항과 수업실행 15문항으로 구성된 과학수업 분석도구에 대해 특히 예비유아교사에게 필요하고 적합한 요소들이 적절하게 선정되었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과학교육 전문가 2인과 교육방법 전문가 1인의 검토가 이루어졌다. 전문가 검토 결과 예비교사 대상의 과학수업 분석도구는 예비교사의 과학수업능력 향상에 필요한 계획(안)과 실행요소를 계획안 작성 절차별, 수업실행 절차별로 교육과정, 과학교과, 학습자 등의 요소를 적절하게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업설계와 수업일관성의 측면에서도 필요한 요소를 정학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기존의 유치원 수업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개발된 과학수업 분석도구와 달리 예비유아교사의 수준과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한 분석도구라는 평가를 받았다.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분석을 위하여 ‘수업계획 분석지’와 ‘수업실행 분석지’를 제작하여 제공하였다. 수업 분석지는 총 30문항 각각에 대해 5점 척도로 평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이한 사항이나 의견이 있을 경우 공란에 간단한 의견을 기록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분석도구는 수업 분석을 위한 일종의 틀로써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어야 할 최적의 요소들을 포함시켜 수업목표에서 의도하는 바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한 틀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과학수업 계획 및 실행 분석도구는 ‘표 2’, ‘표 3’과 같다.

<표 2>.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도구

<표 3>. 과학수업 실행 분석도구

2) 사전검사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사전 평가하기 위해 첫 수업 시간에 과학교수효능감 질문지를 개별적으로 작성하였으며, 작성 시간은 15-25분 소요되었다.

3) 프로그램 적용

본 연구는 유아과학교육을 수강하는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매주 3시간씩 10주간 실시되었다. 총 15주간 이루어지는 수업에서 처음 3주간(9시간)은 4주부터 7주까지 1시간은 계속해서 과학교육에 대한 이론 강의가 이루어졌으며, 나머지 2시간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과학수업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8주부터 13주까지는 3시간 모두 과학수업 계획안 작성 및 분석과 수업시연 및 실행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는 유아과학교육 이론 강의,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도구 소개 및 설명, 현장교사의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 과학수업실행 분석도구 소개 및 설명, 현장교사의 과학수업 사례 비디오 관찰 및 분석, 수업시연을 위한 계획안 작성, 동료 계획안 크로스 분석 및 평가, 수업시연 실행, 동료 수업시연 분석 및 평가의 체계적인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① 유아과학교육 이론 강의

유아과학교육의 목적,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 강의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이 시간에 누리과정 자연탐구 영역의 세부내용 각각에 대한 심도있는 탐색과 분석을 통해 과학교육의 내용을 누리과정에 제시된 세부내용보다 더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고 설명하는데 강의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 더불어 세부적인 과학교육 내용을 어떤 생활주제와 통합적으로 연계하는지에 따라 생활주제 관련 소주제별 주요내용을 고려해야 하며 이 두 가지 사항을 염두에 두고 과학활동을 선정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에 제시된 과학활동 탐색을 통해 과학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추후 예비교사들이 실제로 진행할 과학수업 계획 및 실행에 대한 분석, 작성, 시연이 올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②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도구 소개

활동선정, 활동목표 선정, 내용 선정, 교육과정 관련요소 선정, 교수방법 선정, 수업자료 및 매체 선정, 평가 선정 등의 7개 요소로 구성된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도구를 소개하고 실제 계획안 작성 절차에 따라 7개 구성요소 각각에 해당하는 분석준거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통해 과학수업과 계획안을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또한 계획안을 각 분석준거별로 계획안 분석지에 어떻게 작성하는지 구체적인 기록방법을 설명하였다.

③ 유아교육현장 교사의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

기존에 작성된 지도안이나 현장 교사의 계획안을 분석해 보는 기회는 예비교사들의 계획안 작성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김현정, 2010; 성지훈 외, 2013).

는 전제 하에 실제 유아교육현장 교사의 과학수업 계획안을 구하여 계획안 분석도구에 의거하여 각 항목별로 직접 분석해 보는 기회를 가졌으며, 분석 후 그 결과에 대해 토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④ 과학수업실행 분석도구 소개

과학수업 실행 순서인 도입, 전개, 마무리의 3단계로 구성된 수업실행 분석도구를 소개하고 도입, 전개, 마무리의 수업단계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각 단계별 분석준거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계획안 분석도구와 마찬가지로 실행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때 과학교육이론 강의 시 이루어졌던 과학교수-학습방법과 교사역할에 대해 반복적으로 설명하였다.

⑤ 유아교육현장 교사의 과학수업 동영상 시청 및 분석

유아교육현장 교사의 실제 과학수업을 동영상으로 촬영한 자료를 시청한 후 수업실행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각 분석 항목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조별 토의과정을 거쳐 발표 및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⑥ 계획안 작성 및 분석

누리과정 자연탐구영역의 내용 1가지와 이를 어떤 생활주제와 통합적으로 연계할지 결정한 후 생활주제 관련 소주제별 주요내용을 고려하여 과학활동을 선정하도록 하였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내용을 토대로 계획안 양식을 제공하였으며, 계획안 작성능력을 길러주지 위하여 개별적으로 작성 및 경험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의문점이나 궁금한 점은 동료예비교사나 교수와 의논 및 토의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 과정은 수업시간 이후에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개별 작성한 계획안은 동료 예비교사와 바꾸어 크로스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분석결과와 교수의 의견 등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수정된 계획안을 다시 작성하도록 하였다.

⑦ 수업 시연 및 분석

앞서 작성한 과학수업 계획안을 토대로 개별적으로 수업시연을 실시한다. 동료예비교사는 도입, 전개, 마무리별로 각 분석준거들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그 결과를 발표한다. 발표는 시간 제약 상 대표적인 몇 개의 분석준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 때 교수의 분석결과도 함께 이야기 나눈다. 수업시연을 마친 예비교사는 동료분석결과, 교수 분석결과와 자신의 수업을 녹화한 동영상 자료를 보며 자기수업 분석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반성적 저널쓰기를 하였다. 이를 도식화하면 ‘표 4’와 같다.

<표 4>.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과학수업 분석프로그램 내용

4) 사후 검사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사후 평가하기 위해 수업 마지막 시간에 과학교수효능감 질문지를 개별적으로 작성하였으며, 작성 시간은 20분가량 소요되었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함께 수행하는 통합적 접근 연구(Johnson & Onwuegbuzie, 2004)로 진행되었다. 양적연구에서는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통계적 근거로써 효과를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질적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의 심층면담과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과학수업 분석에 대해 경험한 것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전, 후에 과학교수효능감을 반복 측정한 자료를 SPSS 18.0을 이용하여 사전, 사후의 차이를 알아보는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질적접근 방법으로 과학교수효능감의 구체적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 자료가 3주에 걸쳐 수집되었으며 총 9시간 30분 분량의 녹음자료를 모두 전사하였으며, 저널쓰기 역시 A4 용지 120장 분량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결과분석 및 해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분석이 애매한 경우에는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과학수업 계획안, 과학수업 시연 동영상 자료, 계획 및 실행 분석지, 수업 분석 및 시연 토론 동영상자료, 수업시연 평가표 등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내용분석은 개방적 코딩방식(김영천, 2008; Guba & Lincoln, 1985)을 이용하여 계속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자료 속에 함축된 의미뿐만 아니라 그에 맞는 주제나 용어를 연구자가 직접 찾아내거나 만들어 내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예비교사들이 구체적이고 체계적이고 절차화된 수업분석도구를 활용하면서 과학수업 계획(안) 측면과 실행 측면에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 어떤 어려운 점이 있었는지, 그에 대해 느낀 점은 무엇인지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류한 후 유사한 내용끼리 묶어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Ⅲ. 연구 결과open

1.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변화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t 검증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과학교수효능감 사전, 사후 차이

** p<.01 * p<.05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사후 평균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51, p<.01). 구체적으로 과학교수 결과에 대한 신념이 과학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보다 각각 4.16(p<.05), 5.51(p<.01)로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2.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의 내용

본 연구는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과학수업 계획과 실행에 대한 교사교육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이 예비교사들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긍정적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과학수업 계획

① 계획안 작성에 대한 인식 변화

학생들은 이미 지난 여러 학기를 통해 계획안작성과 수업시연의 기회를 다수 가졌기 때문에 계획안 작성이 특별히 힘들거나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계획안작성을 위한 원칙이나 원리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다.

지난 학기 00수업을 들으면서 역시 계획안 짜고 연시수업 했어요. 계획안 짤 때는 누리과정 지도서나 인터넷에 있는 수학활동을 찾아서 그것을 참고하여 대략 목표정하고.. 자료 만들고... 도입, 전개, 마무리별로 교사-유아 나누어 세안 짜고... 크게 힘들지는 않았어요. 교수님의 피이드백도 계획안보다는 주로 연시수업 때 이야기 해 주세요. 다음 학기에 다른 교과목 할 때도 이전에 했던 것과 대략 비슷하게 하면 되겠다 라는 생각을 해요. -예비교사 5 심층면담-

그러나 많은 학생들의 수업 계획안 및 작성에 대한 인식은 이번 학기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안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계획안을 작성하고 분석하는 경험을 통해 그 인식이 많이 변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처음에는 계획안 작성에 필요한 14개..15개인가? 그것이 무슨 뜻인지도 잘 모르겠고..그것을 순서대로 다 따르자고 하니 여간 어려운게 아니었다. 그러나 하나씩 자세히 읽어보고 교수님 설명을 들어보니 조금씩 이해가 되었고... 이제는 이 원칙을 하나씩 지키면서 계획안 짜면 되겠구나 싶어 오히려 계획안 짤 때 걱정되기 보다는 믿고 의지한다는 느낌...까지 든다. -예비교사 21 심층면담 -

계획안 작성하는데 저렇게 많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미처 몰랐다. 따지고 보면 다른 수업 시간에 짰던 계획안도 자세히 생각해 보면 이런 요소들이 있었던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이렇게 순서대로 한 곳에 모아 놓고 계획안 짤 때 바로 옆에 두고 하나씩 체크하면서 짜보니 그동안 내가 짰던 계획안에 대한 반성이 되면서 앞으로 다른 수업 시간에도 활용할 수 있겠다 싶어 오히려 좋은 것 같다.

-예비교사 2 저널쓰기-

위와 같은 내용은 여전히 계획안 작성과정이 쉽지는 않지만 체계적인 계획안 작성 방법에 관심을 가지게 되며 계획안 작성의 원리를 다른 수업 시간의 계획안 작성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② 계획안 구성요소에 대한 재인식

학생들은 다른 수업 시간에 작성했던 계획안에도 생활주제, 목표, 교육과정 관련요소, 자료, 도입, 전개, 마무리 등등이 포함되었었다고 회상하였다. 그러나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해 그 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그 각각의 구성요소에 관한 이해를 정확하게 하게 되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사실은 교수님마다 계획안 양식이 다 다르다. 그리고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지 않는다. 주로 작년에 선배가 짰던 계획안 샘플을 보여주면서 거기에 맞추어 짜오라고 하고 바로 연시수업으로 들어간다. 지금은 그런 방식에 익숙해진 것 같다. 그래서인지 이 수업에서 처음 기준들을 제시했을 때 어렵게 느껴졌고 굳이 이렇게 짜야하나 그런 생각도 들었다...이제는 목표가 얼마나 중요하며 내용은 무엇이며 활동은 무엇인지 조금 이해가 가면서 계획안 작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가 너무 많으며 그런 것들이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어렴풋이라도 알겠다.

-예비교사 3 심층면담-

그런데 교수님이 하나하나를 자세히 설명해 주면서 왜 중요한지 강조하니까 이제는 좀 알 것 같다. 다음부터 계획안 짤 때 구성요소 하나하나를 잘 따져볼 수 있을 것 같다. 교육과정 관련요소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목표를 어떻게 선정하는지 생각하면서 계획안을 짜보았더니 내가 계획안을 좀 잘 짠 것 같은 생각도 든다.

-예비교사 30 심층면담-

이번 학기에 가장 많이 배운 것이 평가이다. 계획안 짤 때부터 평가에 대한 계획도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았지만 유아를 대상으로 무엇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어렵게 느껴진다,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하지 않을까?...

-예비교사 29 심층면담-

이와 같이 과학수업 계획안 작성을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절차 형식의 접근은 계획안 구성요소 각각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므로 결과적으로 계획안 작성의 전문성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에도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③ 교육과정과 계획안의 관련성 이해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학기 초 각 교과수업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인지하지 못하였으며, 유아교육과정은 그 수업 시간에만 이루어지는 협의의 개념으로만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수업을 들으며 많은 학생들은 과학수업과 더불어 유아교육과정(누리과정)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게 된 시간이었음을 말하고 있다.

이전 수업 시간에 계획안 짤 때는 교육과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그래도 그 수업 성적이 좋았는데... 이번 수업을 들으면서 지난번 계획안을 다시 찾아보게 되고 반성도 하게 된다. 이번 수업은 더 어렵게 느껴지지만 웬지 제대로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유치원교사가 무엇을 하는 사람인지 이제 정확하게 알게 되었다. -예비교사 6 저널쓰기-

이번 수업을 통해 누리과정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결국 과학수업도 유아교육과정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는 것도..... 누리과정의 자연탐구영역의 내용을 활동으로 바꾸어서 가르쳐야 한다는 것은 알겠는데, 이것을 다시 생활주제와 연결시키는 부분은 좀 어려운 것 같다. 계속해서 알아나가야 할 것 같다. -에비교사 15 심층면담-

누리과정의 과학내용을 근거로 활동을 선정하고 목표를 선정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렵다. 시중에 나와 있는 자료들이 그렇게 되어 있지 않아 시간도 많이 들고 그것을 다 따져가며 계획안을 짜는 것이... 이것은 아무나 할 수 없구나. 공부 엄청 잘해야 겠구나...느낀다. 자꾸 하다보면 조금 쉬워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전에는 지도서나 월간유아에 있는 것 그대로 가져와서 계획안 짜고 연시수업 했는데...조금 다른 것 같다. -예비교사 8 심층면담-

이상의 내용들은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과학수업 내용 및 목표선정하기, 활동 선정하기 등이 상당히 생소하고 힘든 작업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육과정과 과학을 비롯한 교과의 연계 그리고 유치원교사의 역할까지 연결되어 있는 중요한 개념임도 어렴풋이 짐작하고 있음이 잘 나타나고 있다.

④ 수업일관성 경험

학생들은 수업일관성에 대한 용어를 교직과목을 통해 이미 접했지만 이를 유아 대상의 수업에 실제로 적용시키는 경험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에는 다소 어렵고 생소한 경험으로 받아들였다.

지난 학기 교직 시간에 수업 일관성에 대해 배우면서도 다소 어렵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유아과학 수업에 이 원칙을 정확하게 지키면서 계획안을 짜야 된다고 하니 처음에는 어려웠다. 어려운 점은 구체적으로.... 판단하기가 힘들었다. 일관성이 있는지 없는지... 중요한 것은 목표가 무엇인지 얼마나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목표를 자꾸 보면서 하나씩 하나씩 자세히 보니 조금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이제는 계획안 다 짜고 꼭 하나씩 맞는지 확인해 본다.

-예비교사 14 저널쓰기-

내가 짠 계획안을 목표, 내용, 방법, 평가대로 하나씩 맞추어 보면서 점검해 보니 수업이 정확하게 다가오는 듯한 느낌이다. 그 전에는 유아가 재미있어하는 수업을 해야 되고 수업자료를 만드는데 많은 시간을 들였는데... 사실 이번 시간은 머리가 좀 아프긴 하다. 그러나 정확하게 아는 듯한 느낌... 제대로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 다행이다. -예비교사 25 심층면담-

이상과 같은 결과는 수업일관성의 원칙에 의거하여 목표와 내용의 일관성, 목표와 교수방법의 일관성, 목표와 자료 및 매체의 일관성, 마지막으로 목표와 평가의 일관성에 대해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계속적으로 분석하는 경험을 통해 점차 그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변화되어 감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장교사의 수업계획안을 분석하고 자신과 동료에비교사의 계획안을 연속적으로 분석해 보는 경험을 통해 점차 익숙해지고 이해가 깊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⑤ 수업에 대한 자신감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계획안 작성을 위한 보다 명확한 근거제시, 이전보다 더 구체적이고 세밀한 작성,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계획안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 수업일관성에 대한 원칙 등은 실제적인 수업실행을 잘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안을 잘 짜놓고 보니 수업도 잘 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전에는 계획안을 무조건 외우고 수업했는데 이번에는 외우지 않아도 대략 순서가 쉽게 생각날 것 같다. 그리고 교수님이 유아의 반응에 차별화된 피이드백을 주어야 한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알 것 같다. 그런데 대학생이 아니라 실제로 유아들에게 수업한다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 그 때는 더 어렵지 않을까 생각되기도 하지만..... -예비교사 26 심층면담-

실제로 연시수업에서 계획안의 덕을 본 것 같다. 그 전에는 연시수업하다가 기억이 안나면 머리가 하얗게 변해서 아무 말도 못했는데 이번에는 임기응변이 금방 생각나고 어떤 방향으로 수업의 가닥을 잡아야 할지도 수업하는 중간에 생각이 나서 도움이 되었다. -예비교사 11 저널쓰기-

연시수업 후에 친구들이 분석한 것에 대해 내 생각을 뚜렷하게 말 할 수 있어 좋았다. 그 전에는 친구의 평가를 자존심 상해하면서 받아들였는데 이제는 그 근거도 말 할 수 있고 이유도 설명할 수 있어 좋았다. 계획안 짤 때 요소 하나씩 꼼꼼히 생각하면서 책도 찾고 고민도 하고... 했던 것들이 도움되는 것 같다. 웬지 모르게 수업에 자신감도 생긴다. -예비교사 9 심층면담-

수업계획과 실행이 일치할 때 좋은 수업을 할 가능성은 커진다(Danielson, 2002).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한 학기동안 15개의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요소를 중심으로 현장교사의 계획안을 분석해보고 그것을 토대로 자신의 계획안을 직접 작성해보고 다른 친구가 작성한 계획안도 분석해보는 경험을 통해 계획안 작성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경험하였다 그 결과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도구를 활용한 계획안 분석 경험은 예비교사들에게 추후 현직교사가 되었을 때 과학수업을 잘 할 수 있는 자신감과 효능감을 길러주었다고 할 수 있다.

2) 과학수업 실행

①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학기 초 학생들은 과학수업이 유아의 수준에 재미있고 흥미로운 것이면 충분하며, 그래서 교육잡지나 인터넷 자료를 뒤져 신기하고 흥미로운 활동을 찾는 것이 수업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였다.

처음에 교수님이 과학수업에서 계획안 작성과 시연수업을 한다고 생각해서 다른 과목처럼 유아들에게 흥미롭고 신기한 과학활동을 잘 찾으면 되겠구나 생각했다. 특히 과학이기 때문에 신기하고 마술같은 요소가 들어간 활동을 잘 찾아봐야 겠구나 생각했는데, 수업이 진행될수록 내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예비교사 10 저널쓰기-

과학수업이어서 주로 실험활동을 중심으로 활동을 찾았다. 아이들이 신기해하고 재미있어하는 활동을 찾기가 너무 어려웠다. 실험활동에 포함된 과학적 개념이나 원리보다는 신기하고 재미있는 실험에 치중했던 것 같다.

- 예비교사 18 저널쓰기-

이러한 예비교사의 생각들은 수업이 진행될수록 서서히 변화되기 시작하였으며 결국에는 과학수업이 매우 복합적인 인지적 과정으로서 이론과 지식이 뒷받침되어야 수업을 잘하는 교사, 즉 유치원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대해 눈뜨기 시작했음이 나타나고 있다.

사실 유치원교사는 아이를 좋아하고 아이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좋으면 할 수 있겠다 싶었다. 그러나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해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으며 유치원교사도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특히 수업에서 전문성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사실은 배웠지만 과연 내가 그것을 잘 할 수 있을까 걱정되기도 한다. -예비교사 28 저널쓰기-

수업을 잘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유치원교사가 해야 할 일이 너무 많지만 이제는 유치원교사가 전문성을 가져야 하고 그 전문성이 수업에서 나타나야 한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 같다. 전문성을 갖춘 수업, 수업전문성... 어려운 것 같다. 졸업할 때쯤 잘 할 수 있을까? -예비교사 17 저널쓰기-

예비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관점이나 인식의 변화는 동영상으로 촬영된 자신의 수업을 보면서 반성적으로 평가하거나 분석해 보는 경험이 도움이 되었으며, 수업 후 동료와 교수의 평가를 통해 자신의 학습경험을 재구성해보는 경험이 결과적으로 과학수업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② 과학교수방법에 대한 이해

학생들 대부분은 유아교육의 대표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유아주도의 수업’, ‘유아 중심 교수법’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실제와 연결될 때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잘 알지 못하여 피상적, 대략적 이해에 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수업이든, 어떤 교수님이든 연시수업 할 때 유아중심으로 해야 된다고 강조하셨다. 그래서 당연히 그래야 한다는 생각은 가지고 있었지만 이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실제 수업할 때 어떤 모습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솔직히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다. 막연히 알고 있다고 착각했던 것 같은 느낌.... 그런데 이 수업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았다는 느낌... -예비교사 29 저널쓰기, 심층면담-

과학수업은 유아들이 직접 실험해보고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니까 당연히 아동중심 수업이 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실제 수업을 하면서 자꾸 교사가 설명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이럴 때 어떻게 유아주도적으로 수업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지 어려웠는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 같다. 유아가 주인공이 되는 수업, 유아주도의 수업, 유아 스스로 배워나가는 수업...을 위해서

-예비교사 18 저널쓰기-

...구성주의 교수방법... 말은 좀 어려웜다. 이 때까지는 이야기나누기처럼 교사가 자료를 다 준비하고 어려운 것은 교사가 설명해 주고 도와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야기 나누기 수업과 과학수업의 차이를 확실하게 알게 된 것 같다. 오히려 교사 주도의 수업은 쉬운 것 같다. 그러나 과학은 좀 어려운 과학적 개념이나 사실을 유아에게 어떻게 구성주의 방법으로 알 수 있게 해야 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된다. 많이 나아진 것은 없지만 이런 고민을 심각하게 한다는 사실이 이제 조금씩 수업에 눈을 뜨는 것 같다. 나중에 현장에 나가서 꼭 이런 교사가 되었으면 좋겠다.

-예비교사 22 심층면담-

예비교사들은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수업을 바라보면서 좀 더 바람직한 수업을 운영할 수 있는 교수방법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이론으로만 듣다가 실제 적용해 보면서 구성주의 교수법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하게 된 계기가 되고 교사가 되었을 때 꼭 구성주의 교수법을 적용해 보겠다는 다짐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③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관심

예비교사들은 유아라는 존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잘 알아야만 교사의 역할을 잘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좋은 수업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해 관심가지기 시작하였다.

실제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유아가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된 것 같다. 아무리 내가 수업을 잘 준비해도 유아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지에 따라 좋은 수업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니까... 계획안을 짜고 시연할 때 이 정도면 유아에게 맞는 건지, 유아의 입장에서 쉬운 건지 어려운건지... 판단하기가 힘들었다.

1학기 때 했던 아동발달 수업 때 좀 더 열심히 했어야 했는데... 아쉽다. 그 때는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중요한지 잘 몰랐던 것 같다. -예비교사 10 저널쓰기-

수업에서 내가 하는 질문이나 설명을 유아들이 알아들을 수 있을까? 내가 계획한 수업이 유아의 수준이나 흥미에 적합할까? 예기치 목한 유아들의 반응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등에 대해 고민하면서 계획안 짜고 수업에도 임했던 것 같다. 쉽게 답은 나오지 않았지만... 그 동안 유아라는 존재에 대해 너무 내 중심적으로 생각해 왔던 것 같다. 내가 5-6살 때 아마 그렇게 했겠지? 라는 막연한 추측으로만 아이들을 생각하고 수업을 준비한 것 같다. -예비교사 27 심층면담-

유아의 존재와 그들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좋은 수업을 할 수 있는 핵심적 역할을 한다. 예비교사들은 자신이 선정한 활동이 유아에게 적합한지, 그들이 선정한 수업목표는 과연 유아들이 쉽게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과정에서 ‘유아 존재’에 대해 구체적으로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④ 과학수업 자료 및 매체의 중요성 인식

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유아교육 수업에서 자료 및 매체가 중요하며 그 이유는 유아들의 발달적 특성에 기인한다는 사실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해 수업에서 자료나 매체가 갖는 의미를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이들은 교사 준비한 자료를 통해서 배우게 되므로 수업에서 자료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전 수업에서는 계획안 짜는 것보다 자료 찾고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했다. 유아들이 보고 매력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자료를 직접 만드는데... 그 자료가 왜 필요한지, 유아들에게 제시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등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 보지 않았다. -예비교사 26 저널쓰기-

그러나 이제는 자료를 직접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것을 왜,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직접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의 자료에 무엇이 있는지,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예비교사 16 심층면담-

이번 수업을 통해 자료가 목표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전에는 예쁘게 잘 만들어서 아이들의 시선을 확 끌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그것이 수업목표가 관계가 있는지, 수업 전체적인 차원에서 자료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실제 수업의 목표와 내용에 관심갖지 못했던 것 같다. 자료뿐만 아니라 수업의 모든 것을 목표와의 관련성 속에서 수업을 체계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사실이 어렵기도 하지만 신선하기도 했다. -예비교사 17 저널쓰기-

예비교사들은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하여 수업자료 및 매체뿐만 아니라 수업을 전체적인 맥락에서 좀 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보아야 하며, 목표와의 일관성 차원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⑤ 과학수업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

예비교사들은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하여 과학과 과학수업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향후 현직교사가 되었을 때 과학수업에 좀 더 자신감을 갖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번에 과학수업이 다른 수업과 차이는 무엇이며 유아과학수업에서 무엇이 중요한지도 어느 정도 깨닫게 되었다. 내가 처음에 과학을 너무 어렵게 생각했던 것 같다. 내가 중고등학교 때 배웠던 과학만 생각하면서 그 때 과학이 어려웠으니까 그 기억에 많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뭐든지 유아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면 과학수업이 성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내 생각만큼 그렇게 어렵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예비교사 13 저널쓰기-

계획안을 자세히 짜니까 실제 수업에 도움이 많이 되었다. 수업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목표, 내용)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인식하게 되고.... 수업 진행 중에도 계획안이 구체적으로 떠올라 도움이 되었다. 이렇게 조금만 더 훈련하면 과학을 잘 가르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길 것 같다. -예비교사 22 심층면담-

수업하는 중간에 순간 순간 이 수업의 목표가 뭐지?를 일깨우며 수업하니까 유아의 대답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판단이 섰으며, 유아들의 반응도 목표와 관련시켜 적극적으로 해 줄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게 되었다. 계획안을 철저히 짜고 수업하니까 수업에 자신이 생겼다. 전에는 맞는지 틀렸는지 확신이 서지 않았는데... 이제는 조금 나아진 것 같다. 빨리 실제 유아들을 만나서 과학수업을 해보고 싶다.

-예비교사 4 심층면담, 저널쓰기-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과학수업 계획 및 실행 분석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에게 보다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수업분석 경험을 통해 이전의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향후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과학수업에 자신감을 가지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성지훈, 김태인, 2013; 장승희, 2012).

Ⅳ. 논의 및 결론ope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이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계획 및 실행에 대한 일종의 보완적 접근으로써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수업분석 준거를 통하여 과학수업을 분석하는 경험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수업 전과 후에 실시한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를 통해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계화된 PBL 수업모형을 적용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이 향상되었다는 김선구, 이대균(2011)의 연구결과와 ASSURE 모형을 이용한 세부적인 모의수업 절차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길러주었다는 조희정(2013)의 연구결과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교육내용 및 방법 경험이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있다(신은수, 김현진, 2008; 조형숙, 1998, 2012; Darling-Hammond & Brandsford, 2005). 이러한 의미에서 과학수업 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계획 및 실행분석 경험은 과학교수효능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과학수업 계획과 실행에 대한 교사교육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향상에 양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의 여부만을 아는 것은 예비교사 교육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마련하기 위한 경험적 아이디어를 얻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분석 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어떤 긍정적 영향을 끼쳤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본 결과, 먼저 과학수업을 위한 계획안 분석을 통해서는 계획안 작성에 대한 인식 변화, 계획안 구성요소에 대한 재인식, 교육과정과 계획안의 관련성 인식, 수업일관성의 중요성 인식, 수업에 대한 자신감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안 작성이 수업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해주며, 특히 기존에 작성된 지도안이나 현장 교사의 계획안을 분석해 보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수업계획에 도움이 된다(정가윤, 배성아, 2011; 조희정, 2013; Alexander, 1992; Smith & Ragan, 1999)는 사실을 지지한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계획안 작성 경험이 실제 현장 교사의 과학수업능력 향상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성지훈, 김태인, 2013; 이경철, 김안나, 2010)는 지적과도 일치한다. 그러나 현재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수업계획을 작성하게 되며 예비교사에 따라 상당히 개인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John, 2006), 예비유아교사들이 수업 계획안을 작성하는 것 자체에 부담을 느끼며, 계획안 형식에 대해서도 낯설게 생각한다(양찬호, 이지현, 노태희, 2013)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활용한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도구는 과학수업 계획 및 계획안 작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과학수업 실행분석을 통해서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과학교수방법에 대한 이해,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대한 관심, 과학수업 자료 및 매체의 중요성 인식, 과학수업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에 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체적인 수업시연 및 이에 대한 분석경험은 교사로서의 수업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수업에 대한 안목도 높아지며(성지훈, 김태인, 2013; 장승희, 2012), 과학수업과 교수방법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김경철, 김안나, 2010; 박계신, 2011)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예비교사의 경우 실제로 수업 계획 및 실행에 있어서 유아의 발달적 특성이나 수준을 고려하는 것, 유아의 현재 관심이나 흥미를 교육적으로 연결하는 것, 하나의 활동을 다양한 활동으로 확장시키는 것 등에 대우 매우 어려워하는 것(엄은아, 서동미, 2009)이 사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수업분석 도구의 활용을 통하여 접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이러한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인식 및 이해 변화는 유아교육 현장교사의 실제 과학수업 계획안과 수업실행 사례를 분석한 경험을 가진 점(성지훈, 김태인, 2013; 곽영순, 2003; 이경철, 김안나, 2010; Darling-Hammond & Bransford, 2005),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분석틀을 활용한 점(김영신, 2003; 노태희 외, 2010), 자신의 수업 동영상을 보고 반성적으로 분석하는 기회를 가진 점(김현정 외, 2013) 등의 효과적인 교사교육 방법 및 접근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향후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의 과학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과학수업 뿐만 아니라 각 교과목의 수업계획 및 실행에 대한 교육 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바이다.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비롯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계획안 작성 실태가 근거없는 자료를 활용한 관행적,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장명덕, 2006; 김태인 외, 2013)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예비교사가 현직교사가 되었을 때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사교육 방법 및 접근이 필요하며(조부경, 이은진, 2007; 조형숙, 2012; Suhawwoto & Lee, 2005), 이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수업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분석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예비교사 양성과정의 수업 계획 및 실행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이 오해하고 있거나 잘 못 인식하고 있는 부분에 대한 명확한 수정이 필요하며, 이 시기의 올바른 인식과 이해가 현직교사까지 연결되어 유치원교사의 수업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초석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즉 수업 계획 및 실행에서 예비교사는 교육과정 내용을 가르치는가 아니면 생활주제를 가르치는가, 목표를 먼저 선정해야 하는가 활동을 먼저 선정해야 하는가? 등에 대해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수업의 목표보다 활동을 먼저 선정하는 경향이 있으며(권은주, 최윤정, 2010; 김희진, 2008), 교육과정의 내용이 아닌 생활주제 관련 활동을 가르친다고 잘 못 이해하고 있는 교사들이 많음(이성희, 박은혜, 2012)을 고려해 볼 때 이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이해는 반드시 예비교사 시기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과학수업 계획안 작성 시 누리과정 자연탐구영역의 내용과 생활주제별 소주제에 따른 주요내용을 고려한 통합적 과학활동 선정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철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성지훈(2013)은 내용과 주제에 대한 충분한 연구과정을 거쳐 이에 대한 개요를 작성해 보도록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를 통해 활동에서 다루는 내용이 단순하거나 피상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제안은 결과적으로 교육과정 자연탐구 영역의 과학교육 내용이 좀 더 세분화되고 위계화 되어야 하며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한 내용의 깊이와 넓이가 정확하게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의미한다. 이점은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보다 심층적으로 다루어야 될 문제이지만, 현재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올바른 과학수업 계획 및 실행을 위하여 수업 시간에 과학교육 내용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수업은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매우 의도적인 행위이기 때문에 수업에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들의 명확한 기술과 준거가 필요하다(Alexander, 1992). 수업에 대한 대표적인 준거로써 수업 일관성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수업의 목표 및 내용, 방법, 평가의 일관성 추구를 통해 유아들에게 이 수업 시간에 무엇을, 왜 교육하는가에 때한 정확하고 명확한 인식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즉 수업의 목표가 분명하게 진술될 때 비로소 목표달성에 가장 알맞은 수업내용 및 활동, 교수방법, 수업매체와 자료를 선택할 수 있고 수업이 끝난 후의 평가도 객관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현재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누리과정은 그동안의 유아교육에 대한 돌봄의 비중보다 교육의 비중을 높이고 강조하고 있다(신은수, 2012)는 측면에서 수업 일관성을 비롯한 교육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언점을 밝히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수업 계획 및 실행능력을 통한 현장과학수업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예비교사 대상의 수업컨설팅이나 멘토링 활용을 제안하는 바이다. 예비교사교육과정에서 담당교수가 예비교사의 수업계획 및 실행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와 지도, 피이드백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시도와 그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과학교육의 일반적 접근에 대한 계획 및 실행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향후 구성주의 교수-학습 모형이나 탐구적 교수-학습모형 등 특정 수업모형에 대한 세분화된 수업분석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불어 과학 외에 다른 교과목에 적용 가능한 수업분석도구 개발 역시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실제 유아교육 현장 교사들의 수업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교사재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체계화된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예비교사의 과학교수지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연구도 유의미 할 것이다.

참고문헌(51)open

  1. [참고문헌]

    강, 민정, 이, 연승, 유, 희.

    (2009)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양성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유아교육연구

    29(6) : 301 - 319

    KCI

  2. [참고문헌]

    권, 은주, 최, 윤정.

    (2010)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 분석: 유치원 하루 일과 모의수업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2) : 57 - 83

    KCI

  3. [학위논문]

    김, 난희.

    03"> 좋은 수업 활동을 위한 수업분석도구 개발.

    (2013)

    안동대학교 / 박사학위 논문

  4. [참고문헌]

    김, 선구, 이, 대균.

    (2011)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PBL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1(2) : 283 - 310

    KCI

  5. [참고문헌]

    김, 자현, 하, 경용.

    (2010)

    자연관찰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 149 - 178

    KCI

  6. [참고문헌]

    김, 주연, 정, 정희.

    (2010)

    블랜디드 러닝에 기초한 과학연수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2) : 71 - 96

    KCI

  7. [참고문헌]

    김, 해리.

    (2013)

    과확에 대한 태도 및 과학교육지식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 281 - 296

    KCI

  8. [보고서]

    김, 현진, 김, 진수, 최, 성욱, 박, 영민, 이, 광호, 이, 혁규.

    08">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2010)

    연구보고 RRI: 2010-16

  9. [참고문헌]

    노, 태희, 윤, 지현, 김, 지영, 임, 희준.

    (2010)

    초등예비교사들이 과학수업 시연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 지식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 350 - 363

    KCI

  10. [참고문헌]

    박, 계신.

    (2011)

    체계적인 수업실연과 분석활동을 통한 예비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기술의 변화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3) : 1 - 23

    KCI

  11. [참고문헌]

    성, 지훈, 김, 태인.

    (2013)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계획안 작성경험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7(6) : 449 - 477

    KCI

  12. [단행본]

    신, 은수, 안, 경숙, 김, 은정, 안, 부금.

    (2007)

    12"> 생활과 환경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13. [참고문헌]

    안, 부금.

    (2014)

    유아과학수업의 효과적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34(5) : 5 - 29

    KCI

  14. [참고문헌]

    안, 부금.

    (2003)

    협동적 개념도 전략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과 태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3(2) : 119 - 143

    KCI

  15. [참고문헌]

    이, 대균, 김, 선구.

    (2009)

    교육실습 기간 중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수업의 특징.

    유아교육학논집

    13(3) : 313 - 338

    KCI

  16. [단행본]

    이, 상수, 강, 정찬, 이, 유나, 오, 영범.

    (2012)

    16">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컨설팅.

    학지사

  17. [참고문헌]

    이, 성희, 박, 은혜.

    (2012)

    유치원교사의 교육과정 계획, 실행, 평가에 나타난 실천적지식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 319 - 353

    KCI

  18. [보고서]

    임, 찬빈, 곽, 영순.

    18"> 수업평가 매뉴얼-과학과 수업평가 기준.

    (2006)

    연구자료 ORM 2006-24-7

  19. [학위논문]

    양, 수영.

    19">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뇌기반 과학교육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효과

    (2014)

    중앙대학교 / 박사학위논문

  20. [참고문헌]

    윤, 혜경, 정, 용재, 김, 미정, 박, 영신, 김, 병석.

    (2012)

    모의수업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과학탐구수업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교육

    31(3) : 334 - 346

    KCI

  21. [참고문헌]

    장, 승희.

    (2012)

    초등도덕과에서 ‘좋은수업의 의미’와방향

    초등도덕교육

    38 : 235 - 265

  22. [참고문헌]

    장, 명덕.

    (2006)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계획안 작성.

    초등과학교육

    25(2) : 191 - 205

    KCI

  23. [참고문헌]

    정, 가윤, 배, 성아.

    (2011)

    예비교사의 과학수업개발을 위한 협동적 수업연구의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5(4) : 1059 - 1078

  24. [참고문헌]

    조, 부경, 서, 소영.

    (2001)

    유치원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교수실제 및 유아의 과학행동.

    유아교육연구

    21(4) : 5 - 27

  25. [참고문헌]

    조, 형숙.

    (1998)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유아교육연구

    18(2) : 283 - 301

  26. [참고문헌]

    조, 희정.

    (2013)

    예비유아교사의 수업목표 인식에 따른 수업실행 및 반성.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 125 - 150

    KCI

  27. [참고문헌]

    조, 희정, 이, 대균.

    (2012)

    ASSURE 모형에 기초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 283 - 311

    KCI

  28. [참고문헌]

    Abell., S. K..

    (2008)

    Twenty years later: Doe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main a useful ide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 1405 - 1416

    10.1080/09500690802187041

    CrossRef

  29. [참고문헌]

    Agee, J.

    (1997)

    Readeres becoming teachers of literature.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29(3) : 397 - 431

    10.1080/10862969709547966

    CrossRef

  30. [단행본]

    Alexander, R..

    (1992)

    Good practice: More than a mantra? In A. Pollard, (Ed.), Readings for reflective teaching in the primary school.

    Casell

  31. [참고문헌]

    Arsal., Z..

    (2010)

    The effects of diaries on self-regulation strategi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 Science Education.

    5(1) : 85 - 103

  32. [참고문헌]

    Bausmith., J. M., Barry., C..

    (2011)

    Revisi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increase college readiness.

    The importanc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ducationnal Researcher.

    40(4) : 175 - 178

  33. [단행본]

    Beaty, J. J..

    (2004)

    Skills for preschool teachers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7th ed.

  34. [참고문헌]

    Berry., A., Loughran., J., van Driel., J. H..

    (2008)

    Revisiting the roo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 1271 - 1279

    10.1080/09500690801998885

    CrossRef

  35. [단행본]

    Bogdan, R., Biklen, S.

    (2007)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Merrill

    5th ed.

  36. [단행본]

    Bryn., B..

    (2013)

    Special Issue of Science Explores the Grand Challenges in Education.

    AAAS

  37. [단행본]

    Creswell, J H..

    (2009)

    37">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Qualitative inquiry and reseasrch design].(조홍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학지사

  38. [단행본]

    Darling-Hammond., L., Bransford., J..

    (2005)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Jossey-Bass

  39. [참고문헌]

    Fleer., M..

    (2009)

    Understanding the dialectical relations between everyday concepts and scientific concepts within play-based program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9(2) : 281 - 306

    10.1007/s11165-008-9085-x

    CrossRef

  40. [참고문헌]

    Gokhale, A., Brauchle, P., Machina, K..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Technology.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8(5) : 66 - 75

  41. [참고문헌]

    Greenfield, D. B., Jirout., J., Dominguez., X., Greenberg., A., Maier., M., Fuccillo., J..

    (2009)

    Science in the preschool classroom. a programmatic research agenda to improve science readiness.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20(2) : 238 - 264

    10.1080/10409280802595441

    CrossRef

  42. [단행본]

    Gunter, M. A., Estes, T. H., Schwab, J..

    (2003)

    Instruction : A Models approach.

    Allyn and Bacon

  43. [기타]

    Korthagen, F. A. J..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44. [참고문헌]

    Larsson., J..

    (2013)

    Contextual and conceptual inter-subjectivity and opportunities for emergent science knowledge about sound.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45(1) : 101 - 122

    10.1007/s13158-012-0078-6

    CrossRef

  45. [단행본]

    Martin, D. J..

    (2008)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5th Edition.

    Cengage Learning

  46. [단행본]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ies Press

  47. [참고문헌]

    Pamela., J. H., Jeffrey., M., Melissa., M., Brad., W..

    (2013)

    Plenty of challenges for all

    Science.

    340(6130) : 290 - 291

    10.1126/science.340.6130.290

    CrossRef

  48. [참고문헌]

    Sanger, M. J..

    (2007)

    Is inquiry-based instruction good for elementary teaching majors? The effects on chemistry content knowledge and view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AIP Conference Proceedings

    883(1) : 7 - 10

  49. [참고문헌]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 knowledge gro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 4 - 14

    10.3102/0013189X015002004

    CrossRef

  50. [참고문헌]

    Stage., E. K., Asturias., H., Cheuk., T., Daro., P. A., Hamptom., S. B..

    (2013)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next generation standards.

    Science.

    340(6130) : 276 - 277

    10.1126/science.1234011

    CrossRef

  51. [참고문헌]

    Wills, F. J., Sandholtz, E. G..

    (2009)

    Effect of a cooperative learnin program on the elaborations of students during help seeking and help given.

    American Educational Reserch Journal

    42(1) : 115 -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