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Christian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기독교교육 논총
약어 : KSCRE
2022 no.72, pp.293 - 316
DOI : 10.17968/jcek.2022..72.014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연구분야 : 기독교신학
Copyright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7 회 열람

연구 목적 : 본고는 오늘날의 기후환경 및 생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지속가능발전’(SD)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그것이 가진 모순을 드러내고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이 자족과 청빈, 나눔과 정의의 영성을 함양하는 영성교육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이를 위해 먼저 심화되는 환경문제와 이를 타개하기 위한 국제적 공조의 노력과 한계를 고찰한다. 실제로 기후환경과 관련된 국제협약들은 경제적 이익을 포기하지 못하는 강대국들의 탐욕으로 인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녹색혁명’의 이상과 현실 간의 차이로 인해 지속가능한 사회는 요원해졌다. 이런 상황에 직면해 기독교 신학은 그동안 인간 중심적이고 영과 육의 이원론에 근거한 내세 중심적인 고전 신학의 한계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신학적 패러다임을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런 신학적 성찰들을 통해 기독교교육은 창조 세계의 회복을 위해 본질적으로 인간의 탐욕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 영성교육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결론 및 제언 : 이에 본고는 자족과 청빈, 나눔과 정의의 영성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이를 훈련하기 위해 인간의 탐욕에 대한 깊은 신학적 성찰과 회개, 피해자 목소리의 경청, 소비의 절제, 대안적 사례 연구, 피해자 입장에서 진실을 밝히는 결단력 있는 행동을 제안한다.

This paper argues that Christian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should be a spiritual education that fosters the spirituality of contentment, poverty, sharing, and justice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SD), which emerged to overcome today’s climate and ecological crisis.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efforts and limitation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overcome the deepening environmental problems will be considered. That is, economic interests have been prior to the environmental issues. When it comes to the ‘Green Revolution,’ there has been a hug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so a sustainable society has become distant. Faced with this situation, Christian theology has been trying to build a new theological paradigm, breaking away from the limits of anthropocentric and afterlife-centered theology based on the dichotomy between the physical and the spiritual. Through such theological reflections,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carry out spiritual education focusing on how to deal with the problem of human gre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created world.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the spirituality of contentment, poverty, sharing, and justice. For developing it, this article suggests deep theological reflection and repentance on human greed, listening to the victim’s voice, moderation in consumption, investigation of alternative cases, and decisive action to reveal the truth from the victim's point of view.

지속가능한 발전(SD), 지속가능성, 기독교교육, 영성, 생태위기
sustainable development (SD), sustainability, Christian education, spirituality, ecological crisis

  • 1. [인터넷자료] 고재민 / SPC 불매운동 장기화 조짐
  • 2. [학술지] 김균진 / 2021 / 기독교 영성의 유형들과 통합적 이해. / 신학과 교회 / 15 : 364 ~
  • 3. [학술지] 김난예 / 2017 / 아미쉬의 신앙과 삶이 현대에 주는 메시지 / 기독교교육 논총 (50) : 11 ~ 50 kci
  • 4. [인터넷자료] 김태봉 / 비(非)정부기구 목소리만 높았다
  • 5. [단행본] 김회권 / 2019 / 희년과 하나님 나라 / 홍성사 : 19 ~
  • 6. [학술지] 류삼준 / 2021 / '생명 위기'의 시대, 기독교의 안식, 그리고 기독교교육 / 기독교교육 논총 (67) : 339 ~ 67 kci
  • 7. [단행본] 박명희 / 2006 / 생각하는 소비문화 / 교문사
  • 8. [학술대회] 박상진 / 2022 / 이호영 박사의 “ESG와 기독교”에 대한 논찬 / 2022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18 ~
  • 9. [기타] 박세진 / 2019 / 제대로 된 옷을 만드는 데는 돈이 든다 / 한국일보
  • 10. [단행본] 신익상 / 2021 / 21세기 이후의 기독교교양 /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 124 ~
  • 11. [학술지] 유은주 / 2020 / 주빌리 정의를 위한 주빌리 교육의 내용 / 기독교교육 논총 (62) : 285 ~ 62 kci
  • 12. [학술지] 유은주 / 2021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정의 실천을 위한 탈인습적 기독교 성인 교육 ― 정의에 대한 기독교적 재개념화를 중심으로 / 신학사상 (195) : 381 ~ 195 kci
  • 13. [학술지] 유은주 / 2022 / 기독교적 전환학습의 구성에 대한 고찰 / 신학논단 / 108 : 95 ~ kci
  • 14. [단행본] 유은주 / 2022 / 미래세대와 기독교교육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269 ~
  • 15. [학술지] 유진영 / 2004 / 바울로의 모금 운동에 대한 연구. / 신학과 철학 / 6 : 1 ~
  • 16. [단행본] 윤지로 / 2022 / 탄소로운 식탁 / 세종
  • 17. [인터넷자료] 이동훈 / ‘죽음의 아우슈비츠?!’ 한국타이어 여직원 “검은 생리가...”
  • 18. [학술지] 이범진 / 2018 / ‘죽음의 공장’ 20년 무슨 일이 있었나: 노동자 ‘집단 사망’ 알리는 한국타이어 산재협의회 / 복음과 상황 / 327 : 6 ~
  • 19. [학술지] 이인미 / 2022 / 기후변화에 대한 ‘집합적 책임’과 기독교교육 / 기독교교육 논총 (71) : 155 ~ 71 kci
  • 20. [학술대회] 이호영 / 2022 / ESG와 기독교 / 2022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11 ~
  • 21. [학술지] 임희숙 / 2010 / 먹거리 문화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성찰 / 기독교교육 논총 (23) : 273 ~ 23 kci
  • 22. [학술지] 장윤재 / 2016 / 경제양극화 극복을 위한 화해의 선교-교회의 공식문서에 나타난 신앙고백을 중심으로 / 대학과 선교 (31) : 73 ~ 31 kci
  • 23. [단행본] 장윤재 / 2020 / 코로나19와 한국교회의 회심 / 동연 : 43 ~
  • 24. [인터넷자료] 장현은 / SPC 산재, 당한 시간대 같았다... 꼬박 밤샘 근무한 끝이었다
  • 25. [학술지] 전철 / 2018 / 종교와 과학의 거울로서의 생태문명 / 신학연구 / 55 (2) : 7 ~ 2 kci
  • 26. [학술지] 조미영 / 2021 / 기후변화의 위기와 기독교 생태교육의 방향 모색 / 기독교교육 논총 (67) : 415 ~ 67 kci
  • 27. [학술지] 조은하 / 2007 / 생태적 삶을 위한 기독교교육:매튜 팍스(M. Fox)의 창조영성을 중심으로 / 기독교교육 논총 (15) : 171 ~ 15 kci
  • 28. [인터넷자료] / 지속가능발전포털. 지속가능성
  • 29. [인터넷자료] 최미랑 / 방글라데시 ‘라나플라자’ 의류공장 붕괴사고, 3년만에 책임자들 기소
  • 30. [단행본] 최원기 / 2012 / 기후변화: 25인의 전문가가 답하다 / 지오북 : 116 ~
  • 31. [단행본] 한국교회사학회 / 2011 / 사막교부들의 금언집 / 두란노 아카데미
  • 32. [단행본] 홍은실 / 2022 / 지속가능사회와 소비생활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 33. [인터넷자료] 황응구 / 은폐 의혹 10년, 한국타이어 노동자들의 죽음
  • 34. [단행본] Blomberg, C. L. / 2013 / Christians in an age of wealth : A biblical theology of stewardship / Zondervan
  • 35. [학술지] Bringezu, S. / 2015 / Possible target corridor for sustainable use of global material resources / Resources / 4 (1) : 25 ~ 1
  • 36. [인터넷자료] Broder, J. M. / Climate talks yield commitment to ambitious, but unclear actions
  • 37. [단행본] Brown, L. R. / 1996 / State of the world / Norton : 3 ~
  • 38. [단행본] Brueggmemann, W. / 2014 / Sabbath as resistance / Westminster John Knox
  • 39. [인터넷자료] Cha, J. H. / SPC 758 injured in 5 years: higher than the manufacturing average accident rate
  • 40. [학술지] 존캅 / 2018 / 생태문명의 전환을 위한 종교와 과학의 대화 / 신학연구 / 55 (2) : 55 ~ 2 kci
  • 41. [단행본] Coleman, J. A. / 1989 / Education for citizenship and discipleship / Pilgrim : 35 ~
  • 42. [단행본] Daly, H. E. / 1996 / The case against the global economy and for a turn toward the local / Sierra Club Books : 192 ~
  • 43. [단행본] Dowie, M. / 1996 / Losing ground / MIT
  • 44. [단행본] Flavin, C. / 1996 / State of the world / Norton : 21 ~
  • 45. [인터넷자료] Ford, L.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ll you need to know
  • 46. [단행본] Fox, M. / 1983 / Original blessing / Bear
  • 47. [단행본] Fox, M. / 1991 / Creation spirituality / Harper
  • 48. [단행본] Groody, D. G. / 2009 / Globalization, spitiruality, and justice / Orbis
  • 49. [단행본] Groome, T. H. / 1980 /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Jossey-Bass
  • 50. [학술지] Gupta, J. / 2010 / A history of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policy /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 1 (5) : 636 ~ 5
  • 51. [단행본] Harvey, D. / 2021 / 자본주의는 당연하지 않다 / 선순환
  • 52. [인터넷자료] Hickel, J. / The SDGs fail to offer the new economy we so desperately need
  • 53. [학술지] Hickel, J. / 2020 /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dex: Measuring the ecological efficiency of human development in the anthropocene / Ecological Economics / 167 : 1 ~
  • 54. [단행본] Hickel, J. / 2021 / 적을수록 풍요롭다 / 창비
  • 55. [인터넷자료] Jackson, T. / Let's be less productive
  • 56. [학술지] Jackson, T. / 2011 / Productivity and work in the 'green economy' / Environmental Innovation and Societal Transitions / 1 (1) : 101 ~ 1
  • 57. [인터넷자료] Kerr, R. A / Can the Kyoto climate treaty be saved from itself?
  • 58. [단행본] Klein, N. / 2016 / 이것이 모든 것을 바꾼다: 자본주의 대 기후 / 열린책들
  • 59. [인터넷자료] Lee, J. S. / Hankook Tire factory has killed 168 workers in a 20-year period
  • 60. [단행본] Lomborg, B / 2003 / 회의적 환경주의자 / 에코리브르
  • 61. [단행본] McFague, S. / 2006 / 어머니, 연인, 친구: 생태학적 핵 시대와 하나님의 세 모델 / 뜰밖
  • 62. [단행본] McFague, S / 2008 / 기후변화와 신학의 재구성 / 한국기독교연구소
  • 63. [단행본] McMichael, P. / 2012 / 거대한 역설: 왜 개발할수록 불평등해지는가 / 교양인
  • 64. [단행본] Mies, M. / 2020 / 에코 페미니즘 / 창비
  • 65. [인터넷자료] Morgan, A. / The true cost
  • 66. [단행본] Payne, R. J / 2017 / 글로벌 이슈: 정치·경제·문화 / 시그마프레스
  • 67. [단행본] Shellengerger, M / 2021 /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 부키
  • 68. [학술지] 신익상 / 2019 / Ecological Theology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A Preliminary Proposal for Evolutionary Conservation and Un-sustainability /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32) : 115 ~ 32 kci
  • 69. [단행본] Snarr, M. T. / 2018 / 세계화와 글로벌이슈 / 명인문화사
  • 70. [단행본] Soper, Kate / 2021 / 성장 이후의 삶 / 한문화
  • 71. [단행본] Sung, J. M. / 2007 / Desire market and religion / SCM
  • 72. [인터넷자료] WCED / Our commo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