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통계기반정책평가’ 제도는 증거기반 정책관리에 필수적인 제도로서 지난 10년간 정책의 입안과정에서 통계기반을 확충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 글은 ‘통계기반정책평가’ 제도를 둘러싼 부처간 상호작용을 게임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제도강화를 위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첫째, 통계청이 ‘통계기반정책평가’ 과정에서 해당부처 이외에도 각 부처에 산재된 공공데이터를 제시하고 활용토록 권고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상이한 공공데이터간 분류기준을 통일하고 부처간 공유기준을 완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통계청 뿐 아니라 행정안전부 등 유관 부처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둘째, ‘정책입안’시 구비된 통계가 실제 ‘정책평가’에 활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이를 부처에 피드백하고, ‘정책평가’에 사용되는 ‘성과지표’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컨설팅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제도운용을 전담하는 통계심사과 뿐 아니라 통계조정/통계대행/품질진단 업무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정책과정 전반에 ‘통계기반정책평가’를 제공하는 중장기적 시각이 필수적이다. 셋째, ‘통계기반정책평가’의 외연을 확장하여 규제영향분석·환경영향평가 등 사후관리가 법제화된 각종 영향평가의 예측치가 정책집행 후 어느 정도 현실화되었는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예측기법과 제도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통계기반정책평가제도, 상호작용, 혼합전략균형

참고문헌(37)open

  1. [기타] 감사원 / 2005 /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영향평가제도 운용실태

  2. [보고서] 감사원 / 2016 / 2015 회계연도 결산검사보고

  3. [학술지] 곽노성 / 2011 / 규제영향분석 제도 개선방안 / 입법과 정책 3 (2) : 99 ~ 126

  4. [기타] 국무조정실 / 2013 / 규제영향분석서 작성지침

  5. [보고서] 권오성 / 2014 / 재정회계정보의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6. [보고서] 김민철 / 2016 / 생애주기별 주거소비특성을 반영한 정책방안 연구

  7. [학술지] 김정해 / 2008 / 참여정부 규제개혁의 성과평가: 전문가 의견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행정학보 42 (2) : 119 ~ 148

  8. [학술지] 노화준 / 2005 / 고품질 규제발전을 위한 규제영향분석제도에 관한 연구: 미국 EPA의 사례 분석과 인프라 구축에 대한 정책적 시사 / 한국정책학회보 14 (4) : 165 ~ 192

  9. [학술지] 박장호 / 2009 / 규제영향분석의 실효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 행정논총 47 (1) : 255 ~ 275

  10. [학술지] 박지현 / 2016 /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의 발전방향 설정과 실천전략 모색 / 환경영향평가 25 (3) : 165 ~ 174

  11. [학술지] 박희정 / 2017 / 양질의 데이터에 기반한 정책 및 사업평가를 위한 도전과제 /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7 (2) : 169 ~ 199

  12. [학술지] 오철호 / 2017 / 문제제기: 데이터 기반 정책분석평가의 연구와 적용 /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7 (2) : 155 ~ 167

  13. [보고서] 윤광석 / 2016 / 정책수립시 데이터 활용 강화방안 연구

  14. [보고서] 윤서연 / 2016 / 융합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수요 추정 개선 연구

  15. [보고서] 이미숙 / 2014 / 빅데이터를 활용한 환경분야 정책수요 분석

  16. [학술지] 이윤식 / 2007 / 영향평가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통합영향평가체계 구축방안 연구 /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7 (1) : 29 ~ 60

  17. [학술지] 최진욱 / 2017 / 제4차 산업혁명이 정부 정책분석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 /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7 (4) : 223 ~ 246

  18. [보고서] 최현수 / 2015 / 사회보장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서비스 수요예측 기반 마련 기초연구

  19. [보고서] 최희선 / 2013 / 환경평가 사후관리제도 개선 및 통계 구축

  20. [보고서] 통계청 / 2016 / 2016년도 통계기반정책평가 및 활용사례집

  21. [보고서] 통계청 / 2016 / 자치법규 통계기반정책평가 대상목록 검토결과

  22. [기타] 통계청 / 2018 / 2018년도 통계기반정책평가지침

  23. [보고서] 통계청 / 2018 / 2018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24. [보고서] 황명화 / 2016 / 지역경제 정책지원을 위한 플로우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25. [보고서] Commission on Evidence-Based Policymaking / 2017 / The Promise of Evidence-Based Policymaking

  26. [단행본] Davies, Huw T.O. / 2000 / What Works? Evidence-Based Policy and Practice in Public Services / Policy Press

  27. [기타] Davies, Philip / 2008 / Making Policy Evidence-Based: The UK Experience / World Bank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Region Regional Impact Evaluation Workshop

  28. [보고서] Harrington, Winston / 2009 / Reforming Regulatory Impact Analysis

  29. [학술지] 정해일 / 2017 / Impact evaluations in South Korea and China /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5 (3) : 328 ~ 349

  30. [학술지] Kunz, Regina / 1998 / The Unpredictability Paradox: Review of Empirical Comparisons of Randomised and Non-randomised Clinical Trials / British Medical Journal 31 : 1185 ~ 1190

  31. [학술지] Laycock, Gloria / 2000 / From Central Research to Local Practice: Identifying and Addressing Repeat Victimisation / Public Money and Management 20 (4) : 17 ~ 22

  32. [학술지] Nutley, Sandra / 2000 / Editorial: Getting Research into Practice / Public Money and Management 20 (4) : 3 ~ 6

  33. [보고서] Nutley, Sandra / 2002 / Evidence-Based Policy and Practice

  34. [학술대회] OECD / 2003 / Regulatory Performance: Ex Post Evaluation of Regulatory Policies / Proceedings from the OECD Expert Meeting

  35. [기타] OECD / 2007 / Determinants of Quality in Regulatory Impact Analysis / Regulatory Division, Public Governance and Territoral Development Departmen

  36. [기타] OECD. / 2017 / Regulatory Policy in Korea: Towards Better Regulation / OECD Review of Regulatory Reform

  37. [학술지] Weiss, Carol H. / 1998 / Have We Learned Anything New About the Use of Evaluation? /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19 (1) : 21 ~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