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8.106.212
3.148.106.212
close menu
KCI 후보
비만세포 및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 동물모델에서 모로우 붉은실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능
Anti-allergic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Polysiphonia morrowii Harveyin IgE/BSA-stimulated Bone Marrow-derived Cultured Mast Cells anda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Mouse Model
한의정 ( Eui Jeong Han ) , 신은지 ( Eun-ji Shin ) , 김민주 ( Min Ju Kim ) , 허수진 ( Soo-jin Heo ) , 김은아 ( Eun-a Kim ) , 안긴내 ( Ginnae Ahn )
DOI 10.17642/jcc.24.2.4
UCI I410-ECN-0102-2019-400-001360900

본 연구에서는 모로우 붉은실로부터 제조한 추출물(PHM) 이 비만세포에서 항알러지 활성을 가지는 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IgE/BSA로 활성화시킨 비만세포에서 PHM은 세포 독성 없이 비만세포의 탈과립 지표로 사용되는 β-hexosaminidase의 분비뿐만 아니라 알러지 유발성 사이토카인(IL-4, IL-6, IL-10 및 TNF-α)의 mRNA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PHM은 IgE가 매개한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 마우스 모델에서 효과적으로 알러지 반응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이 모든 결과로부터, PHM은 IgE가 매개한 알러지 반응에 대한 항알러지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PHM이 부작용을 가지지 않는 천연소재로 서 이용가치가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allergic effect of a methanol extract from Polysiphonia marrowii Harvey (PHM) in the immunoglobulin E (IgE)/bovine serum albumin (BSA)-stimulated bone marrow-derived cultured mast cells (BMCMCs) and a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PCA) mice model. First, we identified PHM did not show the cytotoxicities at the used all concentrations. In addition, PHM reduced the β-hexosaminidase release known as a biomarker of degranulation in IgE/BSA-stimulated BMCMCs in a dose dependent manner. Also, PHM reduced the expression levels of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 (IL)-4, IL-6, IL-10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compared to the only IgE/BSA-stimulated BMCMCs. Furthermore, the treatment of PHM improved the IgE-mediat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reaction known as a type 1 allergic reaction in IgE/BSA-stimulated mice model.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M may be the natural agent with beneficial potentials for the treatment of type I allergic diseases.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 약
감사의 글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