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8.34
52.14.8.34
close menu
KCI 등재
영유아 부모의 놀이참여태도 척도 타당화 연구
The Validation of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s
이소연 ( Lee So-yean ) , 위영희 ( Wui Yeong-hee ) , 유재령 ( Yoo Jae-ryoung ) , 정윤주 ( Chyung Yun-joo ) , 이영애 ( Lee Young-ae ) , 김리진 ( Kim Lee-jin )
DOI 10.17641/KAPT.21.4.4
UCI I410-ECN-0102-2021-100-000385527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질문지는 영유아 자녀의 놀이에 대한 부모의 참여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자들이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한 33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의 가독성과 의미전달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 및 인천 지역에 위치한 9곳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유아 부모 44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339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민감하게 놀기(7문항),’ ‘반응적으로 놀기(6문항),’ 그리고 ‘즐겁게 놀기(7문항)’의 3개 요인 총 20문항으로 정리되었고, 3요인 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내적일관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본 척도와 부모의 놀이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어 공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예측하는 준거타당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타당화된 영유아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는 자녀의 놀이에 참여하는데 있어 부모의 어떠한 태도가 적합한지를 제안하는 부모교육자료로 활용되거나 자녀와의 놀이 참여 태도 개선 및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나 놀이치료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s, which was developed by the Delphi survey. 447 parents of 9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Incheo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finally, data from 339 parents were used to perfor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the global fit of the sensitively play (7 items), responsively play (6 items), and delightfully play(7 items) three-factor model was good.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was good.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ent scale and the parents’ playfulness scale, indicating concurrent validity. Finally, higher scores of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and its three factors significantly predicted lower scores of parenting stress and higher scores of the preschoolers’ self-control ability.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this new measure to be both valid and reliable and specifically suggests what kind of attitude is appropriate for parents to adopt when participating in preschoolers’ pla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