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DIY 취미키트 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디지털 기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SNS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과거 수동적이고 방관자 적이었던 소비자들의 소비성향이 적극적인 형태로 바뀌고 있다. 또한 제품을 기본적인 사용방식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방식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창의성을 발현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사용 만족도를 높이고 기존에 없던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조하는 창의소비자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창의소비자를 대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자원의 사용을 최대화하여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O2O서비스를 다학제적 접근방법인 사용자경험 디자인 관점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다양한 소비행태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창의소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정의를 내리고, O2O서비스에 대한 특징과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조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다양한 창의소비 행태를 보이는 참여자를 리쿠르팅하여 사용자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인사이트를 도출한 뒤, 사용자경험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퍼소나와 사용자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구체적인 해결안을 도출하였고, 최종적으로 창의소비자를 위한 O2O서비스인 취미키트 서비스 컨셉을 개발하였다. 구현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는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사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적 소비 행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O2O서비스인 취미키트서비스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 스스로 창작물을 만들고 용도를 확장하며 문제해결과 소통을 추구하는 창의적 소비의 전형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아이디어의 제안에서 그치지 않고,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수동적인 소비활동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창의적 소비 효능감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s the spread of digital devices is widening and the use of SNS becomes more common, consumption trends of passive and obsessive
consumers are actively changing. Also, creative consumers who are creating creative products or services by expressing their creativity have attracted atten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O2O service that maximizes the use of offline and online resources and provides the best experience for creative consumers of this window from the viewpoint of user experience design which i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Based on a survey of various consumer behavior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have made a basic understanding and definition of creative consumption. And we examined the features and possibilities of O2O service. Through this, we developed a framework for user research and recruited participants who showed various creative consumption behaviors, then we conducted user research.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derived problems and insights, and then conducted user experience modeling. Based on this, we developed a customized scenario with persona, and finally developed a hobby kit service concept, O2O service for creative consumers. The implemented application service was verified for usability through prototyping.
This study embodied the creative consumption style that consumers create by themselves, extend their use, and persue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by suggesting a new O2O service, a hobby kit service design.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service can increase the creative consumption efficacy practically compared with the passive consumption activity.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I. 서론
Ⅱ. 창의소비와 O2O서비스
Ⅲ. 사용자 조사 및 분석
Ⅳ. 창의소비자를 위한 O2O서비스 UX디자인 개발
V. 결론 및 제언
Reference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600-001907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