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결론적으로 꿀에 제작된 재조합 DNA를 넣어주고 인위적으로 혼입한 재조합 DNA의 특정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유전자분리의 각 단계별 회수율을 검토하는 방법으로 꿀에서 가장 적절하게 잔류하고 있는 유전자 분리법을 정립하였다.
1. 벌꿀에서 잔류 DNA의 순수분리법
(1) 꿀 2 mL을 50 mL tube에 담고 GI buffer 10 mL을 넣고 5분간 Vortexer를 사용하여 섞어준다.
(2) GI buffer와 꿀을 잘 섞어준 용액 모두를 affinity column에 통과시킨다. 이때 column extension accessory와 column manifolder를 vacuum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좀 더 손쉽게 column을 통과시킬 수 있다.
(3) 700 μL washing buffer를 column에 넣고 13000 rpm에서 30 sec 원심분리한다.
(4) Collection tube에 담긴 washing buffer를 제거한 후 column을 collection tube와 다시 결합시킨 후 1분간 1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알코올을 날려준다.
(5) Column을 collection tube에서 분리한 후 멸균된 1.5mL microcentrifuge tube에 놓는다.
(6) 50 μL의 3차 멸균수를 column의 정중앙에 tip이 닿지 않게 하여 떨궈준 후 1분간 정치한다.
(7) 13000 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넣어준 50 μL의 DNA 용액을 회수한다. 이를 확인 후 새 멸균 microcentrifuge tube에 담고 -20℃에 보관하여 PCR에 사용한다.
2. 잔류 DNA 분리에 사용되는 시약 및 그 조성
(1) DNA binding buffer; 5 M guanidine hydrochloride (GnHCl), 30% isopropyl alcohol
(2) Washing buffer; 15 mM Tris-HCl pH 7.6, 85% ethanol
(3) Elution buffer; 3차 멸균 증류수

Stable carbon isotope ratio analysis (SCIRA) is an important technique accepted by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ry (AOAC, 1990) as the official method for the detection of honey adulterated with sugars. However, this analytical technique is not sensitive enough to detect very low concentrations of adulterating sugars. It has shown results that PCR, detecting trace amounts of specific target genes, was useful a tool to distinguish adulterated honey. The presence of sugarcane or sugarbeet specific gene in honey means that sugarcane or sugarbeet sugar was used in the honey production process. Residual DNA are distinguished from pollen DNA mixed in the honey production process. In sugar manufacturing process, the residual DNA of sugarcane or beet plants remains in the final product, which is used in honey production. This residual DNA is targeted for detection. Therefore, purification of residual DNA in honey is crucial to trace amounts of specific genes to detect using PCR. This study summariz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using DNA affinity columns to isolate residual genes quickly and easily from honey and expects to be widely used as standard method.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