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매실나무의 정량적인 밀원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화밀분비량, 유리당 함량 및 꿀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꽃 한 송이에서 3일 동안 분비되는 총 화밀량은 약 10.0±4.5 μL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화밀량의 약 84.1%가 오전에 집중적으로 분비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꽃 한 송이의 유리당 함량은 1.8±0.6 mg로 조사되었고, 본당 꽃 수 1,630송이를 이용하여 꿀 생산량을 추정한 결과 3.5 g/tree로 조사 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1 ha에 625본 (4×4 m)을 식재할 경우 식재 20년 후 약 2.2 kg/ha의 꿀이 생산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매실나무는 이른 봄철에 개화하고, 비교적 많은 화밀이 분비되며, 열매 생산을 목적으로 식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꿀벌의 먹이자원 및 보조 밀원자원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stimated the nectar volume, sugar content, and honey production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honey value of Prunus mume. The nectar volume secreted by a flower for three days was about 10.0±4.5 μL, of which 84.1% secreted in the morning. The nectar sugar content was 1.8±0.6 mg, and the honey production was estimated to be 3.5 g/tree using 1,630 flowers per tree. It was estimated that 2.2 kg/ha of honey could be produced from 625 trees (4×4 m) planted per 1 hectare. Although the expected honey yield from P. mume is very small, considering its early flowering period, abundant nectar secretion, and the economic value of the fruit, it is thought that they could be used as a supplementary honey plant and honeybees food resources.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