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과보호와 초기 청소년기 사회불안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강원도에 소재해 있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61명을 대상으로 과보호, 자기개념 명확성,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수준을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SPSS 25.0, AMOS 2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부모의 과보호는 청소년의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개념 명확성 및 자아존중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자기개념 명확성과 자아존중감은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자기개념 명확성과 자아존중감은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부모의 과보호와 초기 청소년기 사회불안 경로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은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부모의 과보호와 초기 청소년기 사회불안 경로에서 자기개념 명확성과 자아존중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키워드

사회불안, 과보호, 자기개념 명확성, 자아존중감, 초기 청소년

참고문헌(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