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부재 척도(ACSS-FAD) 타당화 연구: 노인을 대상으로

Validation of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Scale-Fearlessness About Death for Older Adul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약어 : KJHP
2023 vol.28, no.5, pp.1051 - 1066
DOI : 10.17315/kjhp.2023.28.5.006
발행기관 : 한국건강심리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건강심리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1 회 열람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부재 척도(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Scale-Fearlessness About Death: ACSS-FAD)는 자살의 대인관계 이론에서 자살실행력의 구성요소인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부재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부재 척도(ACSS-FAD)를 노인 450명에게 실시하여 ACSS-FAD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인 450명을 대상으로 ACSS-FAD 척도의 내적 일치도를 확인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ACSS-FAD 척도의 요인구조를 살펴보았다. 또한 ACSS-FAD 척도의 성별에 따른 측정동일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살에 대한 공포, 통증 불안, 신체적 염려, 우울과의 상관 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ACSS-FAD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은 원척도와 동일하게 1 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른 측정동일성을 확인한 결과, 측정동일성 또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렴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변인들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ACSS-FAD 척도는 자살에 대한 공포와 통증 불안, 신체적 염려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변별타당도를 살펴보았던 우울과는 유의하지만 약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Scale-Fearlessness About Death(ACSS-FAD) is a measure that assesses the absence of fear of death, which is a component of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in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ACSS-FAD with a sample of 450 elderly individuals. The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CSS-FAD by assessing its internal consistency and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explore its factor structure in the elderly population. Furthermore,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ACSS-FAD across genders. Finall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xamined by correlating the ACSS-FAD with measures of fear of suicide, pain anxiety, physical concern,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ACSS-FAD demonstrat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one-factor structure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cale.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genders was also confirmed, indicating that the scale measures the same construct in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For convergent validity, the ACSS-FA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fear of suicide, pain anxiety, and physical concern. However, for discriminant validity, it exhibited a significant but weak correlation with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부재 척도(ACSS-FAD), 노인, 신뢰도, 타당도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Scale-Fearlessness About Death(ACSS-FAD), older adults, reliability, validity

* 2023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