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대학생의 외향성과 자의식이 향유신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s of Extroversion and Self-consciousness on Savoring Beliefs of University Students: Mediated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약어 : KJHP
2013 vol.18, no.4, pp.807 - 822
DOI : 10.17315/kjhp.2013.18.4.012
발행기관 : 한국건강심리학회
연구분야 : 심리과학
Copyright © 한국건강심리학회
417 회 열람

향유하기(savoring)는 긍정적인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음미하면서 즐거움이 지속되도록 의도적으로 노력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개인의 성격적 특징인 외향성과 자신에 대한 의식의 정도를 의미하는 자의식이 향유신념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각 경로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유신념 척도(Savoring Belief Inventory: SBI), NEO-PI-R(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중에서 외향성 문항, 자의식척도, 대인 유능성 질문지(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CQ)를 사용하여 서울․경기, 대전․충남, 부산 지역의 대학생들에게 배포 및 회수한 설문 중 유효한 32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의식은 하위변인인 공적 자의식, 사적 자의식, 사회불안의 개념이 상이하여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향성, 공적 자의식, 사적 자의식이 높은 사람일수록, 그리고 사회불안이 낮은 사람일수록 대인관계 유능성 및 향유신념이 높았다.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 유능성은 사적자의식과 향유신념, 사회불안과 향유신념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고, 공적자의식과 향유신념, 외향성과 향유신념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인관계 유능성이 외향성, 자의식과 향유신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ill provide the correlation of extroversion with: a part of personality feature, self-consciousness, and define mediated effect on each process related. This study used SBI (Savoring Belief Inventory), only the extroversion questions from NEO-PI-R (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Self-consciousness questions, ICQ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s had been sent to college students staying in Seoul, Gyeonggi-do, Daejeon, Chungcheongnam-do, Busan and were returned. Of the returned number, 326 were effective for this research.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says that higher savoring beliefs are related to higher extroversion and, private/public self-consciousness, and lower social anxiety. The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savoring beliefs depends on the level of extroversion or self-conscious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suggested the path that personal tendency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influences savoring beliefs, and suggested that personal tendency could be a condition for a precautionary approach as well.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외향성, 자의식, 대인관계 유능성, 향유신념
extroversion, self-consciousness, interpersonal competence, savoring beliefs

  • 1. [학위논문] 김은정 / 1994 / 우울증상 지속에 영향을 주는 인지 및 행동 변인들
  • 2. [학위논문] 김현진 / 2002 / 대학생의 우울 취약성과 자의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3. [학술지] 김현진 / 2004 / 대학생의 우울 취약성과 자의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16 (2) : 277 ~ 2 kci
  • 4. [학위논문] 문경하 / 2007 / 자기개념명확성과 자의식이 주관적 안녕감 및 평가반응에 미치는 영향
  • 5. [학술지] 문혜정 / 2005 / 성인애착 및 자의식유형에 따른 대인관계문제 수준의 차이 연구 / 學生生活硏究 / 27 : 5 ~
  • 6. [학술지] 서영석 / 2010 /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2 (4) : 1147 ~ 4 kci
  • 7. [단행본] 안현의 / 2006 / NEO 아동 및 청소년성격검사의 해석과 활용 / 한국 가이던스
  • 8. [학위논문] 이승은 / 1994 / NEO-PI-R 성격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연구
  • 9. [학술지] 조아라 / 2000 / 자의식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 MMPI프로파일 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 지 : 임상 / 19 (9) : 319 ~ 9
  • 10. [학위논문] 조영란 / 2006 / 5요인 성격특성과 대인관계성향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 11. [학위논문] 조현석 / 2008 / 향유하기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
  • 12. [학위논문] 최정아 / 1997 / 자의식과 자존감이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13. [학위논문] 한나리 / 2009 /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갈등 상황에서의 인지 및 행동 반응
  • 14. [학술지] Baron, R. M. / 1986 /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 51 : 1173 ~
  • 15. [학술지] Boven, L. V. / 2005 / Experientialism, Materialism,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 9 (2) : 132 ~ 2
  • 16. [단행본] Bronfenbrenner, U. / 2006 / The bioecological model of human development,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6(1) / John Wiley & Sons : 793 ~
  • 17. [학술지] Bryant, F. B. / 1989 / A four-factov model of perceived control : Avoiding, coping, obtaining, and savoring / Journal of Personality / 57 : 773 ~
  • 18. [학술지] Bryant, F. B. / 2003 / Savoring Beliefs Inventory(SBI) : A scale for measuring beliefs about savoring / Journal of Mental Health / 12 : 175 ~
  • 19. [학술지] Bryant, F. B. / 1984 / Dimensions of subjective mental health in American men and woman / Journal of Health & Social Behavior / 25 : 116 ~
  • 20. [단행본] Bryant, F. B. / 2007 / Savoring: A New model of Positive Experience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21. [학술지] Bryant, F. B. / 2011 / Understanding the processes that regulat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 Unsolved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ory and research on savor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 1 (1) : 107 ~ 1
  • 22. [학술지] Buhrmester, D. / 1988 /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 55 : 991 ~
  • 23. [단행본] Costa, P. T. / 1992 /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NEO PI-R) & NEO Five-Factor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 24. [학술지] Diener, E. / 1999 / Subjective well-being : Three Decades of Progress / Psychological Bulletin / 125 : 276 ~
  • 25. [학술지] Fenigstein, A. / 1975 /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 Assessment and theory / Journal of Counseling & Clinical Psychology / 43 : 522 ~
  • 26. [학술지] Fredrickson, B. L. / 1998 /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 Review of General Psychologist / 2 : 300 ~
  • 27. [단행본] Fredrickson, B. L. / 2002 / Positive emotions, In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 Oxford University Press
  • 28. [학술지] Goldberg, L. R. / 1993 / The structure of phenotypic personality traits / American Psychologist / 48 : 26 ~
  • 29. [학술지] Kraut, R. E. / 1979 / Social and emotional messages of smiling : An ethological approach /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 37 : 1539 ~
  • 30. [단행본] Lieberman, L N. / 1977 / Playfulness: Its relationship to imagination and creativity / Academic Press
  • 31. [학술지] Pavot, W. / 1990 / Extraversion and happiness / Personality & Individual Differences / 11 : 1299 ~
  • 32. [학술지] Provine, R. P. / 1989 / Laughing, smiling, and talking : Relation to sleeping and social context in humans / Ethology / 83 : 295 ~
  • 33. [학술지] Ryff, C. / 1989 /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 57 : 1069 ~
  • 34. [학술지] Scheier, M. F. / 1980 / Effects of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on the public expressive of personal belifs /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 39 : 514 ~
  • 35. [단행본] Sobel, M. E. / 1982 /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ociological methodology / Jossey-Bass
  • 36. [학술지] Turner, R. B. / 1978 / Correlates of self-consciousness on trait attribution /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 12 : 431 ~
  • 37. [학술지] Wiggins, J. S. / 1989 / Circular reasoning about interpersonal behavior / Journal of PersonalityandSocial Psychology / 56 (2) : 296 ~ 2
  • 38. [단행본] Watsons, D. / 2002 / Positive affectivity: The disposition to experience pleasurable states, In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 Oxford University Press : 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