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에서 상처 받은 사람이 경험하는 용서과정에 근거하여 용서과정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이경순의 용서과정 모형을 근거로 총 60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연구에서 내용타당도 점검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요인이 추출되었다. 6개 요인은 증오기, 고투기, 안정기, 재정의기, 용서기, 성숙기로 명명하고 각 요인 당 5문항씩 총 30개의 최종문항을 확정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전체문항과 하위요인들 모두 양호한 신뢰도를 보였다. 개발된 용서과정 척도의 타당도 분석은 네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용서과정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6요인 구조는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수렴타당도 분석 결과, 용서과정 척도의 하위요인은 Rye 용서 척도(FS) 및 한국인 용서 척도(KFS)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용서과정 척도의 점수는 용서 수준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준거관련타당도 분석 결과, 용서과정 척도의 하위요인들은 분노, 불안,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용서과정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지닌 도구임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키워드

용서, 용서과정, 척도개발, 타당화

참고문헌(31)open

  1. [단행본] 권석만 / 2006 /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 학지사

  2. [학술지] 김지영 / 2009 / 용서특질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8 (1) : 239 ~ 261

  3. [학술지] 박종효 / 2003 / 용서와 건강의 관련성 탐색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 (2) : 301 ~ 321

  4. [학술지] 박종효 / 2006 / Enright 용서심리검사(EFI-K)의 타당화 연구 / 교육심리연구 20 (1) : 265 ~ 282

  5. [단행본] 성태제 / 2007 /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 학지사

  6. [단행본] 손운산 / 2008 / 용서와 치료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7. [학술지] 신재은 / 2010 /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와 상황적 용서의 관계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4) : 699 ~ 710

  8. [학술지] 오영희 / 2006 / 한국인의 상처와 용서에 대한 조사 / 교육심리연구 20 (2) : 467 ~ 486

  9. [학술지] 오영희 / 2008 / 한국인 용서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 (4) : 1045 ~ 1063

  10. [학술지] 이경순 / 2008 / 용서 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 (1) : 237 ~ 252

  11. [학술지] 이아롱 / 2009 / 용서와 성격 특성의 관계: 누가 용서를 하는가?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3 (3) : 89 ~ 105

  12. [학위논문] 이주일 / 1988 / 이분척도와 Likert형 7점척도의 신뢰도,타당도,반응 양식의 비교: 자기검색척도와 자기의식척도를 대상으로

  13. [학술지] 전겸구 / 2001 / 통합적 한국판 CES-D개발 /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6 (1) : 59 ~ 76

  14. [학술지] 전겸구 / 1997 /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 분노와 혈압 /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2 (1) : 60 ~ 78

  15. [학술지] 정성진 / 2011 / 대학생의 특성용서, 상태용서, 용서 결정요인의 관계 / 청소년학연구 18 (6) : 147 ~ 169

  16. [학술지] 한덕웅 / 1996 /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의 개발 /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 (1) : 1 ~ 14

  17. [학술지] 홍세희 / 2000 /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9 (1) : 167 ~ 177

  18. [학술지] Baskin, T. W. / 2004 / Intervention studies on forgiveness : A meta-analysis /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2 : 79 ~ 90

  19. [단행본] Enright, R. D. / 2006 / Helping clients forgive: An empirical guide for resolving anger and restoring hope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 [학술지] Enright, R. D. / 1996 / Counseling within the forgiveness triad : On forgiving, receiving forgiveness, and self-forgiveness / Counseling and Values 40 : 107 ~ 126

  21. [학술지] Knutson, J. / 2008 / Validating the developmental pathway of forgiveness /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6 : 193 ~ 199

  22. [단행본] McCullough, M. E. / 2000 / The psychology of forgiveness: History, conceptual issues, and overview, In Forgivenes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 Guilford Press : 1 ~ 16

  23. [학술지] McCullough, M. E. / 1998 / Interpersonal forgiving in close relationships. II. Theoretical elaboration and measurement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 1586 ~ 1603

  24. [학술지] Rye, M. S. / 2001 /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wo forgiveness scales / Current Psychology : Developmental·Learning· Personality·Social 20 : 260 ~ 277

  25. [학술지] Subkoviak, M. J. / 1995 / Measuring interpersonal forgiveness in late adolescence and middle adulthood / Journal of Adolescence 18 : 641 ~ 655

  26. [학위논문] Trainer, M. F. / 1981 / Forgiveness: Intrinsic, role-expected, expedient, in the context of divorce

  27. [학위논문] Truong, K. T. / 1991 / Human forgiveness: A phenomenological study about the process of forgiving

  28. [학위논문] Wade, S. H. / 1989 /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forgiveness

  29. [학술지] Walker, D. F. / 2004 / Dimensions underlying sixteen models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32 : 12 ~ 25

  30. [단행본] Worthington, E. L. Jr. / 2005 / More questions about forgiveness: Research agenda for 2005-2015, In Handbook of forgiveness / Routledge : 557 ~ 573

  31. [단행본] Worthington, E. L., Jr. / 2006 / 용서와 화해 / I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