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주뇨증은 깨어있는 시간 동안에 실금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기 장애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기질적, 기능적 원인으로 인해 주뇨 증상을 보이고 있는 여아 5명을 대상으로 단일 피험자 설계를 이용하여 행동치료를 실시하였다. 행동치료는 ‘특정한 시간간격으로 소변을 보는 훈련’과 정적강화를 근간으로 하여 이루어졌으며 소변을 본 시간, 소변량, 속옷 젖은 정도, 수분 섭취량이 직접관찰을 통해 측정되었다. 치료결과, 모든 참가자들이 실금 빈도와 속옷 젖은 정도에 있어 향상을 보였으며, 5명의 환아 중 3명이 수분 섭취량, 혹은 평균 소변량의 증가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주뇨증에 대한 행동치료의 효과성과 임상장면에서의 행동치료 확산의 필요성을 지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의 한계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이 논의되고 있다.

키워드

주뇨증, 행동치료, 특정한 시간간격으로 소변보는 훈련, 단일 피험자 설계

참고문헌(20)open

  1. [학술지] 강정윤 / 2003 / 야뇨증 환아에서 Imipramine과 DDAVP의 치료 효과: 무작위 전향적 연구 / Korean Journal of Urology 44 (7) : 665 ~ 671

  2. [학술지] 길건 / 2006 / 치료 시작시기에 따른 야뇨증 치료 결과에 대한 고찰 / Korean Journal of Urology 47 (10) : 1069 ~ 1073

  3. [학술지] 오미미 / 2006 / 야뇨증 치료에 대한 Two Spots 야간배뇨일지의 유용성 / Korean Journal of Urology 47 (1) : 85 ~ 90

  4. [학술지] 장익 / 2005 / 단일증상성 야뇨증의 일차치료로써 야뇨경보기-Desmopressin 복합요법 / 대한비뇨기과학회지 46 : 19 ~ 24

  5. [학술지] Allantoic,T.H. / 1989 / Fea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Reliability and generalizibility across gender, age, and nationality /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27 : 19 ~ 26

  6. [학술지] Allen,H.A. / 2007 / Initial trial of timed voiding is warranted for all children with daytime incontinence / Pediatric Urology 69 : 962 ~ 965

  7. [단행본]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 2000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Author

  8. [학술지] Butler,R. / 2005 / Nocturnal enuresis at 7.5 years old: prevalence and analysis of clinical signs / British Journal of Urology International 96 : 404 ~ 410

  9. [학술지] Chambless,D.L. / 2001 / Empirically supporte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ontroversies and evidence /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 685 ~ 716

  10. [학술지] Hansen,A.. / 1997 / Urinary tract infection, day wetting and other voiding symptoms in seven-to eight-year-old danich chlidren / Acta Paediatrica 86 : 1345 ~ 1349

  11. [학술지] Hjalmas,K. / 1992 / Functional daytime incontinence: Definitions and epidemiology / Scandinavian Journal of Urology and Nephrology 141 : 39 ~ 44

  12. [학술지] Houts, A. C. / 1994 /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and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nocturnal enuresis /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 : 737 ~ 745

  13. [학술지] Joinson,C. / 2006 / Psychological problems In children with daytime wetting / Pediatrics 118 : 1985 ~ 1993

  14. [학술지] Lee,S.D. / 2000 / An epidemiological study of enuresis in Korean children / British Journal of Urology International 85 : 869 ~ 873

  15. [기타]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 2006 / Urinary Incontinence in Children, Retrived August 20, 2007, from www.kidney.niddk.gov

  16. [학술지] Sureshkumar,P. / 2003 / Treatment of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The Journal of Urology 170 : 196 ~ 200

  17. [학술지] Sureshkumar,P. / 2000 / Daytime urinary incontinence in primary school children: A population-based survey / The Journal of Pediatrics 137 (6) : 814 ~ 818

  18. [학술지] Van Laecke,E. / 2006 / The daytime alarm: A useful device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daytime incontinence / The Journal of Urology 176 : 325 ~ 327

  19. [학술지] Vemulakonda,V.M. / 2006 / Prime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uncomplicated daytime wetting in children / Nature Clinical Practice Urology 3 : 551 ~ 559

  20. [학술지] Wiener, J. S. / 1999 / Long term efficacy of behavioral treatment of diurnal enuresis in children / The Journal of Urology 161 (4S) :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