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신발의 특성은 민족이나 인류 전체의 문화에 대한 식별소로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 신발의 형태와 재료, 문양에 따른 색채 특성을 규명하여 전통 신발의 조형적 가치를 현대 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한 자료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신발 관련 문헌과 유물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조선시대로 제한하였다. 문헌을 통해 신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대학 박물관과 지방, 시 박물관에서 보전 중인 유물의 실물사진 자료를 토대로 신발의 형태, 문양, 재료에 따른 색채 특성을 규명하였다. 선정된 유물은 총 172점이며, 각각의 유물에 사용된 색채 팔레트를 측정하여 최종 조사대상의 674개의 색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색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혜(鞋)의 경우는 YR>R>Y의 색상 순으로 빈도가 높았으며, deep, pale, soft, dark의 색조 분포를 보였고, 화(靴)의 경우 Y>R>PB의 순으로 빈도가 높았고, pale, vivid, dark의 색조 분포를 보였다. 문양에 따른 색채는 대부분 유채색이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YR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부가적으로 조선시대 신발은 착용자의 신분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 색채를 분석한 결과, 양반의 신발은 서민의 신발보다 다양한 색상, 색조 분포가 나타났으며, 남성과 여성을 비교해 보면 색상의 차이는 없었으나 남성의 신발에 더 어두운 색조가 사용된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조선시대 신발의 조형요소에 따른 대표색 팔레트를 제안하였다. 신발의 배색 특성 결과는 신발의 바탕색인 주조색과 문양에 나타난 강조색에서 보색배색과 명도차가 큰 무채색배색이 가장 많이 보이며, 유사색상배색, 근접보색배색과 명도차가 큰 동일색상배색이 사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우리나라 전통 신발의 조형적 가치와 색채 특성을 현대 디자인에 적용하고 과학적 기술에 의한 기능적인 면을 도입한다면 전통을 현대의 새로운 디자인으로 재창조하는 제안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조선시대 신발의 조형 요소, 신발의 색채

참고문헌(25)open

  1. [학위논문] 金芝嬉 / 1988 / 우리나라 신에 관한 연구

  2. [학술지] 김영인 / 2006 / 한·중·일 전통 복식색채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복식 56 (8) : 35 ~ 44

  3. [단행본] 김영숙 / 1987 / 조선조말기왕실복식 / 민족문화문고

  4. [단행본] 김영자 / 1992 / 한국의 복식미 / 민음사

  5. [학위논문] 곽경희 / 2003 / 조선시대 남자용 혁·포제 신에 관한 연구

  6. [기타] 국립민속박물관 / 1996 / 국립민속박물관 50년 / 국립민속박물관

  7. [단행본] 국립민속박물관 / 1995 / 한국복식2천년 / 신유

  8. [인터넷자료] 국립민속박물관 / 국립민속박물관소장품

  9. [기타] 광주민속박물관 / 1997 / 광주민속박물관도록 / 광주민속박물관

  10. [기타] 담임복식박물관 / 1999 / 담임복식박물관도록 / 이화여자대학교

  11. [학위논문] 朴晩仁 / 1983 / 우리나라 나막신(木履)에 관한 고찰: 朝鮮王朝를 中心으로

  12. [단행본] 박경자 / 1983 / 한국복식논고 / 신구문화사

  13. [학위논문] 박수자 / 1968 / 우리나라 신의 변천에 대한 연구

  14. [인터넷자료] 신구대학 박물관 / 신구대학 민속박물관 소장품

  15. [기타] 성균관대학교 / 1998 /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 성균관대학교박물관

  16. [단행본] 안명숙 / 2007 / 우리옷 이야기 / 예학사

  17. [단행본] 이팔찬 / 1991 / 리조복식도감 / 동문선

  18. [단행본] 이경자 / 2003 / 우리옷과 장신구 / 열화당

  19. [기타] 이화여자대학교 / 1995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사진자료 / 이화여자대학교

  20. [학위논문] 禹永敏 / 1997 / 조선조 후기의 신발을 응용한 도자조형 연구

  21. [기타] 온양민속박물관 / 1983 / 온양민속박물관도록 / 온양민속박물관

  22. [학위논문] 趙鎭愛 / 1987 / 우리나라 신에 관한 考察

  23. [단행본] 조효순 / 1996 / 복식 / 대원사

  24. [단행본] 조효순 / 1992 / 한국 복식 풍속사 연구 / 일지사

  25. [단행본] 최성자 / 1993 / 한국의 미 / 지식산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