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기업의 기술 관점에서 혁신 유형을 구분한 Henderson & Clark 프레임워크를 소비자 관점에서 신뢰성 검증을 통해 혁신유형의 의미를 분석하고, 혁신 유형에 따른 혁신성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 조사는 1902년에 창간되어 기술과 제품에 관해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독자층을 확보한 Popular Mechanics 잡지에서 2011년 6월 15일에 세상을 바꾼 101가지 혁신제품으로 선정 · 발표한 제품들을 이용하여 Henderson & Clark 프레임워크에서 제시하고 있는 점진적 혁신, 모듈러 혁신, 구조적 혁신, 급진적 혁신의 4가지 혁신유형으로의 구분이 통계적 일관성을 갖는지 검증하는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일반 소비자인 대학생 34명의 판단자들로부터 Ir과 PRL 분석을 통하여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각 혁신 유형으로 분류된 제품들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소비자 관점의 혁신 개념 체계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 조사는 소비자가 인식한 혁신성을 새로움과 유용성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측정하고 혁신 유형에 따른 측정된 혁신성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급진적 혁신, 모듈러 혁신, 구조적 혁신, 점진적 혁신의 순으로 혁신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Henderson & Clark의 혁신유형 프레임워크가 소비자의 관점에서도 신뢰할만한 유의미한 분류체계임을 확인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관점에서 각 유형별 특징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설명함으로써 혁신의 학문적 이해와 더불어 실무적 이해를 증진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Henderson & Clark framework, which distinguishes innovation types from a firm"s technology perspective, and to understand there is a difference in innovativeness according to the innovation types from a consumer perspective. The first investigation was used a selection of 101 innovative products that changed the world, which was published on June 15, 2011, by Popular Mechanics magazine, which was launched in 1902 and has a broad readership worldwide on technology and products. After that, We used a content analysis method to empirically classify the four types of innovations, incremental, modular, structural, and radical, presented by the Henderson & Clark framework. It was conducted from 34 judges who were general consumers, and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was satisfied with Ir and PRL criteria.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categorized by each innovation type, we present a concept scheme of innovation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The second investigation was measured innovativeness, which was recognized by the consumer in two dimensions: newness and usefulness, and analyzed one-way ANOVA to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 in innovativenes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nov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results that consumers strongly recognized innovativeness in the order of radical innovation, modular innovation, structural innovation, and incremental innovation.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Henderson & Clark"s innovation type framework is a meaningful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and also helps to promote both academic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innovation by suggesting and explaining a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type of inno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 1: 혁신의 유형 구분
Ⅳ. 조사 2: 혁신 유형에 따른 혁신성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24-000543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