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4)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학교 현장에서 선별하기 위해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평정척도’를 사용했을 때, 척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교사들이 단위 학교별로 동등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만약 차이가 있다면 어떠한 영역에서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교사 1,103명을 대상으로 재직 중에 지도하였던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떠올린 후 그들의 특성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고 단위학교별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초등 453명, 중등 238명, 고등 287명의 교사가 평가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네 개의 차원 중 관계적 차원을 제외하고 모두 측정동등성이 지지되었고, 측정동등성이 위배된 관계적영역은 정렬법을 이용하여 부분측정동등성을 확보한 후 잠재평균을 비교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특성으로 학습과 인지적인 면을 높게 인식한 반면 고등학교 급에서는 정서․행동적 차원을 높게 인식하여 학습에 있어 어려움을 겪지만 학습자의 단위학교 급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이 다르게 인식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렬법을 통해 관계적 영역의 요인평균을 비교한 결과 차별문항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학습자의 발달적 특징을 반영하여 단위학교 급 별 관계적 영역의 문항의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발달적 특징을 반영하여 선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척도의 활용과 연구에 있어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Teacher’s Scale used for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showed an equivalent factor structure according to school levels. This scale is a multidimensional diagnostic scale for early detection and screening of learners who need various learning and educational support. We check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atent means for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as per the Teacher’s Scale across school levels. The participants were 1,10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work all over the country, based on data from Statistics Korea. Teachers were encouraged to think about the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they taught in class and were asked to evaluate learner clinical characteristics. Overall, 978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of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453 elementary, 238 middle, and 287 high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easurement invariance was supported in all 3 domains except for the relational domain. Therefore, latent means of the learning and cognitive domain, the emotion and behavior domain, and the daily life and environmental domain could be compared, while, latent means of the relational domain were compared using the alignment method. Second, w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icult to learn are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arner’s development. Third, the latent means of the relational domain were compared with factor means through the alignment method, resulting in different modes of functioning being identified. This implies that the learner has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relational domain of the unit school level and the need for re-adjustment of the questions for adolesc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8)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