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전용서체의 형태변별력에 관한 연구 - 국내 단체들의 한글 전용서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stinguishing Forms of Identity Typefaces. - Focus on Typeface Identity of Korean Corporations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약어 : KDDA
2011 vol.11, no.4, pp.223 - 233
DOI : 10.17280/jdd.2011.11.4.023
발행기관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70 회 열람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상황 속에서 한글 전용서체의 형태변별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운 매체의 등장,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 등으로 서구 브랜드들과 지자체는 오래전부터 전용서체를 적극 활용해 왔다. 반면 2000년대 이후 국내 여러 단체들은 전용서체를 개발, 활용하고 있으나 완성도의 양극화, 차별성의 부족이라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아이덴티티 확립 차원에서 개발된 전용서체는 무엇보다 차별성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컴퓨터의 도입으로 인한 서체제작 환경의 개선, 서체 회사들의 새로운 활로 찾기와 전용서체 도입을 원하는 단체의 증가, 관련법 개정으로 인한 저작권 보호 등으로 인해 한글 전용서체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지만 개발과정은 여전히 부담스러운 작업이다.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는 전용서체들을 통합 분석한 결과, 전용서체가 형태변별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사용 빈도수를 고려한 최소 7개 이상의 자음, 3 종류 이상의 모음, 자, 모음의 6가지 대표 모임 형태 중 2가지 이상의 구조가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으며, 활용 가이드라인의 정립, 출시 전 사용자 테스트 등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형태변별력 확보를 위한 방안들이 전용서체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ractical way of developing unique Korean typeface for building an identity. By the appearance of new media and changing of communication circumstances, western brands and cities have utilized typeface identity for long time. As contrast, Korean corporations have adopted typeface identity just after 2000 and have two severe problems which are the quality and the distinguishing. The typeface for building the identity is to be unique and the uniqueness is the first thing to be considered. Development of font producing environment, font company's effort for finding new markets, increasing number of the corporations that want to own their typeface and changing the copyright law about typeface, the era of Korean typeface identity is opening. Synthesizing and analysing successful cases in Korean market lead me to conclude that to have distinguishing typeface for building an identity must have at least 7 distinguishing forms of consonants, 3 bowls and 2 types of combination structure out of six types. In addition, the usage guideline of typeface must have established and usability test has to be executed before it is shown to the public. The way of developing unique Korean typeface for building the identity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those of Korean font designers and developers.

Typeface Identity, Distinguishing typefaces, Korean typeface, Korean Font industry.
Typeface Identity, Distinguishing typefaces, Korean typeface, Korean Font industry.

  • 1. [학위논문] 고창균 / 2010 / 제주어를 이용한 제주서체 개발
  • 2. [학술지] 구자은 / 2010 / 인쇄물에서의 친환경 타이포그라피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 1 ~
  • 3. [학술지] 김두식 / 2003 / 한글 자형 대표글자 선정에 관한 소고 / 한국출판학연구 (45) : 33 ~ 45 kci
  • 4. [학위논문] 김주영 / 2004 / 한글 디지털폰트의 자, 모음 형성체계에 관한 연구
  • 5. [학술지] 김진평 / 1990 / 활자체로 보는 한글꼴의 역사 / 산업디자인
  • 6. [학술지] 안상수 / 2009 / 기업, 서체 아이덴티티에 눈뜨다 / 월간디자인
  • 7. [단행본] 윤영기 / 1999 / 한글디자인 / 도서출판 정글
  • 8. [학술지] 이종국 / 2006 / 교과용 도서 서체 적용의 발전적 지향을 위한 연구―교과용 도서 전용 서체의 발전적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출판학연구 (51) : 437 ~ 51 kci
  • 9. [기타] 최병묵 / 2009 / 한글서체의 변화와 디지털 폰트가 캘리그라피에 준 영향, TV인터넷학연구
  • 10. [학위논문] 홍승희 / 2009 / 지방자치단체의 전용서체 개발과 활용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