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비조작 자료의 조작과 사회과 비판적 사고력 형성의 관계를 밝히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조작 자료 조작 수업의 결과로 학생들은 첫째, 개념의 명료화를 통해 기준의 중요함을 이해하였고, 둘째, 근거 자료에 토대하여 사고하기를 하며, 셋째,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 비조작 자료조작 수업의 결과로 성장한 비판적 사고력은, 첫째, 과거처럼 감정적으로 의견이 대립하거나 결론 없이 끝나는 모습을 사라지게 만들었다. 둘째, 상대의 말을 듣기보다는 말의 근거를 살피고, 근거의 타당성을 추구하도록 하여, 토론과 대화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과 자료들을 맹신하던자세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서, 자료의 종류나 개인의 해석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도 있음을 인정하게 하였다. 넷째, 과거처럼‘맞다, 틀리다’의 관점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상황과 자료를 바탕으로 보다 맥락적인 해석을지향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비조작 자료의 조작 수업은 자료를 수집하고, 기준에 근거하여 정보를 추출하여 조작 자료를 만들고, 그 속의 의미들을 분석, 해석하는 과정에 사회과 탐구 능력도 육성하였다.

키워드

비판적 사고력, 반성적 사고, 비조작 자료, 조작, 조작 자료, 탐구

참고문헌(20)open

  1. [학위논문] 권창숙 / 2005 /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사회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2. [단행본] 김혜숙 / 2005 / 고차적 사고력 교육 / 인간사랑

  3. [학술지] 송언근 / 2007 / 지리다운 수업의 구성: 지리 지식의 구성 대상과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 (3) : 181 ~ 193

  4. [단행본] 송언근 / 2009 / 지리하기와 지리교육 / 교육과학사

  5. [학술지] 송언근 / 2010 / 양동 마을 입지 탐구에 토대한 지리 탐구 과정의 구성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 (1) : 37 ~ 58

  6. [학술지] 송언근 / 2011 / 사회과탐구에서 지식의 의미와 역할 / 초등교육연구논총 27 (2) : 45 ~ 65

  7. [학위논문] 심소영 / 2002 / 초등 사회교과서의 학습자료 분석연구

  8. [학위논문] 심학경 / 2000 / 사회과에서 내용 및 질문제시양식이 비판적 사고력신장에 미치는 효과

  9. [학위논문] 이금이 / 2005 / 학습 자료로서의 사회과 교과서에 대한 분석 연구 : 학습가능성을 중심으로

  10. [학술지] 이명숙 / 2010 / 비판적 사고 교육의 변천과 수업 실제 / 교육학논총 31 (1) : 1 ~ 18

  11. [학위논문] 정해석 / 2003 /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활용 학습 방안 : 알라딘을 중심으로

  12. [학술지] 정혜정 / 2008 / 비조작 자료의 조작 과정이 학습자의 지식 구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사회과를 대상으로 -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 (1) : 41 ~ 61

  13. [학위논문] 정혜정 / 2007 / 비조작 자료와 사회과 지식 구성의 관계

  14. [학위논문] 崔碩珉 / 1998 / 批判的 思考槪念의 分析과 그 敎育的 正當化

  15. [단행본] Cassel, J. F / 1993 / 1993, Critical Thinking / The Scarecrow Predd, Inc

  16. [단행본] Siegel, H / 1988 / Educating Reason / Routledge

  17. [단행본] Ennis, R. H / 1996 / Critical Thinking / Prentice-Hall,Inc

  18. [단행본] Norris, S. P / 1989 / Evaluating Critical Thinking / Critical Thinking Press & Software

  19. [단행본] Norris, S. P / 1992 / The Generalizability of Critical Thinking / Teachers College Press

  20. [단행본] Van Cleaf, D. W / 2001 / 사회과 교수·학습론 /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