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일본에서의 ‘잊힐 권리’와 관련한 판례분석 및 향후 과제 - 최고재판소 평성 29년 1월 31일 결정을 중심으로 -

Case analysis and future tasks related to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Japan

외법논집
약어 : -
2019 vol.43, no.1, pp.169 - 198
DOI : 10.17257/hufslr.2019.43.1.169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160 회 열람

2014년 유럽사법재판소(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CJEU)의 곤잘레스 판결 이후, 인 터넷을 통한 ‘표현의 자유’와 ‘국민의 알권리’그리고 ‘잊힐 권리(the right to be forgotten)’가 전세계 적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일본에서도 검색엔진에 대해, 검색결과의 비표시(삭제)를 요구하는 소송 이 제기되었고, 구글이 제공하는 검색엔진의 결과표시에 대한 금지를 인정한 동경지법 평성 26년 (2014년) 10월 9일 결정이래, 사회적으로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잊힐 권리’를 둘러싼 일본 최고재판소의 결정을 중심으로 일본에서의 ‘잊힐 권 리’에 관한 판례의 경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고민해 보았다. 먼저 최고재판 소 결정에 이르기까지의 일본의 동향 및 검색엔진의 삭제를 둘러싼 법원의 판단을 개관(Ⅱ)하였다. 다 음으로, 최고재판소의 결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Ⅲ 및 Ⅳ), 잊힐 권리와의 관계 등 향후 과제 (Ⅴ)를 살펴보았다

Since the Gonzalez case of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in 2014, the freedom of expression, the right of the people to know and the right to be forgotten through the Internet have received worldwide attention. In Japan, a lawsuit has been filed against the search engine to require the search results to be hidden (deleted). Since the decision of October 9, 2014, the Tokyo District Court forbid a ban on the display of search engine results provided by Google.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the tendency of judicial precedents on the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Japan, focusing on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f Japan over the “The right to be forgotten”. First, I will outline the judgment of the court over the trend of Japan to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deletion of the search engine (II). Next, I will examine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 and ) in detail, and examine the future task ( ) such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right to forget.

잊힐 권리, 잊혀질 권리, 삭제청구권, 검색엔진의 표현행위, 전달된 범위, 시간의 경과, 명백성, 정보의 가치 상실, 확산방지
The right to be forgotten, Right to erasure, Expression behavior of the search engine, Range passed, Time lapse, Loss of information value, Prevention of information spread

  • 1. [단행본] 권영성 / 2010 / 헌법학원론 / 법문사
  • 2. [단행본] 김철수 / 2008 / 헌법학(상) / 박영사
  • 3. [단행본] 문재완 / 2016 / 잊혀질 권리 : 이상과 실현 / 집문당
  • 4. [단행본] 유일상 / 2007 / 언론윤리법제론 / 박영사
  • 5. [단행본] Viktor Mayer-Schönberger / 2011 / 잊혀질 권리 / 지식의 날개
  • 6. [기타] / 2016 / 정보인권 가이드북 Ⅲ : 정보인권의 이해 / 정보인권연구소⋅진보네트워크센터
  • 7. [학술지] 구본권 / 2016 / 표현의 자유와 인터넷 자율성 위축 우려 ‘잊힐 권리’ 가이드라인이 언론⋅인터넷에 끼칠 영향 / 신문과 방송
  • 8. [학술지] 김배원 / 2002 / 정보기본권(하) / 고시계 / 47 (10)
  • 9. [학술지] 김훈범 / 2016 / 유럽연합과 미국의 잊힐 권리에 관한 입법 소고 / 유럽헌법연구 (20) : 39 ~ 20 kci
  • 10. [학술지] 문재완 / 2011 / 프라이버시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인터넷 규제의 의의와 한계 -‘잊혀질 권리’ 논의를 중심으로- / 언론과 법 / 10 (2) : 1 ~ 2 kci
  • 11. [학술대회] 문재완 / 2012 / 잊혀질 권리의 입법 현황 및 향후 과제 / 한국정보법학회 정기세미나 발표자료
  • 12. [학술지] 민윤영 / 2011 / 인터넷 상에서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고려법학 (63) : 287 ~ 63 kci
  • 13. [학술지] 박용숙 / 2015 /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 헌법학연구 / 21 (1) : 311 ~ 1 kci
  • 14. [학술지] 박용숙 / 2016 / 한국에서의 잊혀질 권리에 관한 소고 - 논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 모색을 중심으로 - / 강원법학 / 49 : 49 ~ kci
  • 15. [학술지] 양소영 / 2016 / 일본에 있어서 「잊혀질 권리」에 관한 판례 및 논의상황 / 강원법학 / 49 : 25 ~ kci
  • 16. [학술지] 曽我部真裕 / 2018 / 日本における情報通信分野の個人情報保護 / 법학논총 / 38 (2) : 293 ~ 2 kci
  • 17. [단행본] 宇賀克也 / 2013 / 個人情報保護法の逐条解説 / 有斐閣
  • 18. [단행본] 佐藤幸治 / 2011 / 日本国憲法論 / 成文堂
  • 19. [단행본] 我妻榮 / 1983 / 新訂物權法(民法講義Ⅱ) / 岩波書店
  • 20. [단행본] DANIEL J. SOLOVE / 2007 / THE FUTURE OF REPUTATION: GOSSIP, RUMOR, AND PRIVACY ON THE INTERNET
  • 21. [학술지] 石井夏生利 / 2015 / 『忘れられる権利』をめぐる議論の意義 / 情報管理 / 58 (4)
  • 22. [학술지] 宇賀克也 / 2016 / 『忘れられる権利』について―検索エンジン事業者の削除義務に焦点を当てて / 論究 ジュリスト (18)
  • 23. [학술지] 宇賀克也 / 2017 / 検索サービス事業者の削除義務―最決平成29⋅1⋅31民集71巻1号63頁を契機に / 情報公開⋅個人情報保護 (66)
  • 24. [단행본] 奥田喜道 / 2015 / ネット社会と忘れられる権利―個人データ削除の裁判例とその法理
  • 25. [단행본] 神田知宏 / 2015 / ネット検索が怖い― 「忘れられる権利」の現状と活用
  • 26. [학술지] 神田知宏 / 2017 / 本件判批 / 判時 (2328)
  • 27. [학술지] 木下昌彦 / 2017 / 本件判批 / 重判
  • 28. [학술지] 棟居快行 / 2017 / 「検索エンジンと 『忘れられる権利』の攻防― 最高裁平成29年1月31日第三小法廷決定を契機として / 法教 (441)
  • 29. [학술지] 棟居快行 / 2017 / 最高裁平成29年1月31日決定の検討と 題 / LIBRA / 17 (10)
  • 30. [학술지] 佐々木秀智 / 2017 / インターネット上の私的事実公表型プライバシー侵害とアメリカ合衆国憲法修正 第1条 / 法律論叢 / 89 (6)
  • 31. [학술지] 宍戸常寿 / 2017 / 検索結果の削除をめぐる裁判例と今後の 題 / 情報法制研究 (1)
  • 32. [학술지] 宍戸常寿 / 2015 / インターネットにおける表現の自由とプライバシー―検索エンジンを中心として / ジュリスト (1484)
  • 33. [학술지] 鈴木秀美 / 2016 / 『忘れられる権利』と表現の自由―ドイツ連邦通常裁判所の判例を手がかりに / メディア⋅コミュニケーション (66)
  • 34. [학술지] 谷上健次 / 過去の著名人とプライバシー- 「時の経過」論への一つのアプローチ / 日本大学大学院法学研究年報 (39)
  • 35. [학술지] 角本和理 / 2017 / サイバー時代におけるプライバシーの法理論(2) : 私法上の問題を中心に / 北大法学論集
  • 36. [학술지] 朴容淑 / 2009 / アメリカ⋅日本⋅韓国におけるプライバシー権の比較法的研究 / 九州大学大学院法学府
  • 37. [학술지] 村田健介 / 2017 / プライヴァシー侵害による差止請求権と 「忘れられる権利」―最決平29⋅1⋅31を踏まえて― / 岡山大学法学会雑誌 / 67
  • 38. [학술지] 宮下紘 / 2016 / 忘れられる権利と検索エンジンの法的責任 / 比較法雑誌 / 50 (1)
  • 39. [학술지] 山本敬三 / 1997 / 前科の公表によるプライバシー侵害と表現の自由 / 民商 / 116 (4=5)
  • 40. [학술지] 古田啓昌 / 2017 / 本件判批 / 判時 (2328)
  • 41. [학술지] 吉野夏己 / 2010 / 民事名誉毀損訴訟における 『公的人物』と 『時の経過』 / 岡山大学法学会雑誌 / 60 (2) : 19
  • 42. [보고서] Franz Werro / 2009 / The Right th Inform v. the Right ti be Forgotten: ATransatlantic Clash 286
  • 43. [학술지] James Q. / 2004 / Whitman The Two Western Cultures of Privacy: Dignity versus Liberty / Yale Law Journal / 113 : 1151
  • 44. [학술지] Jeffrey Rosen / 2011 / Free Speech, Privacy, and the Web That Never Forgets / J. ON TELECOMM. & HIGH TECH. L. / 9
  • 45. [학술지] Meg Leta Ambrose / 2013 / IT’S ABOUT TIME: PRIVACY, INFORMATION LIFE CYCLES, AND THE RIGHT TO BE FORGOTTEN / Stan. Tech. L. Rev / 16 : 3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