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1980년대 중후반 이후 사회과학계 전반에서 대두한 공간 담론이 이주를 설명하는데 어떤 유용성을 지니며 이주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하고 있는지를 도시 연구 및 초국가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 글이다.
이주는 근본적으로 지리적인 현상이며 공간 범주가 개입될 수 밖에 없는 영역이지만, 고전적인 이주 연구에서 공간의 문제는 이주자의 거주지가 그들의 정착지에서의 적응과 동화 및 차별의 양상과 관련하여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가를 설명하는 데에 한정되어 있었다. 그 근간에는 초기 이주를 바라보는 지배적 관점이었던 동화론과 더불어, 공간과 장소를 이미 형성이 완결된 물리적인 배경으로만 인식하는 시각이 전제되어 있었다.
신자유주의 글로벌 자본의 편재에 주목한 포스트모더니즘 학자들과 도시 연구자들에 의해 공간이 인간의 실천과 사회관계에 의해 형성되고 재구성된다는 르페브르의 공간구성론이 제고되고 발전되면서 이주 연구에도 공간의 차별적 성격과 그 구성의 역학에 대한 관심이 현대 이주의 복합적 양상을 설명하는 데 동원되었다. 도시 연구에서의 스케일 개념을 활용한 초국가주의 접근은 특히 이주로 인해 연계되는 각 로컬리티간의 관계와 글로벌 경제 재구조화에 의해 변동하는 도시 및 여타 장소들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 글은 그러한 공간담론이, 기존의 영토성이 해체되는 듯한 세계에서 이주를 통해 연관되는 로컬리티의 형성에 기여하는 이주민의 역할과 이주의 역학을 밝히는데 유용함을 점검하였다. 여전히 공간 관련 개념들은 모호하고 동의되지 않는 면이 있지만, 다양한 로컬리티에 대한 분석과 비교연구를 통해 공간 개념과 이주는 서로를 더 분명히 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discourse of space which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mid-1980s whether it has contributed to better understand migration and to expand the horizon of its study. I particularly focus on the urban studies and transnational perspectives of the West.
Migration, as a geographical phenomenon, contains categories of space as its property in its own right. In the classical discussion of migration, though, the issue of space was limited to explaining the way in which immigrants’ residences we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ir assimilation to the host society. In the basis of those discussions, there were not only the assimilation theory but also the conception of space and place as merely physical containers of human practices and events and which were out there already formed.
With the drastic global transformations which started from around the end of 1980s, the urban studies scholars and those of postmodernism tried to draw the concept of space as being produced through human practices and social relationships in explaining the complex development of modern migration. In particular, transnational approaches combined with geographical concepts such as ‘locality’ and ‘scale’ drawn from the urban studies take notes on the relations among the localities connected through migrants and the dynamics in which localities have transformed and been transformed by global restructuring. Some scholars with such approaches call attention to the migrants’ agency as one of the driving forces of constructing spaces by looking at daily lives and everyday culture in the globalizing processes.
With the remaining ambiguities in various spacial concepts, the discourse of space is still useful to clarify the particularities of immigrant localities and the immigrants’ agency that takes part in constructing those particularities.

목차

1. 머리말
2. 이주 공간에 대한 고전적 모델
3. 이주 공간의 변화와 글로벌 자본의 공간 재구성
4. 이주민 행위주체성의 환기
5.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9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31-001759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