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모바일 증강현실 영화콘텐츠에 대한 연구 - 모바일 증강현실 영화 ‘You were here'를 중심으로 -

Study on Mobile Augmented Reality Cinema Contents -Mainly with Analysis on the mobile AR Cinema 'You were here'-

디자인지식저널
약어 : KDKJournal
2015 no.33, pp.391 - 400
DOI : 10.17246/jkdk.2015..33.037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72 회 열람

오늘날 스마트 폰은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모바일 산업의 화두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콘텐츠이며 이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의 발전은 콘텐츠 사용자의 흥미 유발과 지속적인 참여에 달려있다. 현재 모바일 증강현실은 다양한 콘텐츠로써 산업별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콘텐츠에 맞는 증강현실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콘텐츠에 적합한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을 도출을 위하여 현재 증강현실 기술을 분석하였다. 도출된 증강현실 기술을 사용하여 영화콘텐츠의 상호작용성과 개인화에 집중하였다. 사용자와 영화콘텐츠와의 상호작용을 확장된 형태로 제공하고, 지속적인 이용과 몰입을 가능하게 하는 증강현실 영화 콘텐츠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모바일 영화 콘텐츠들이 가지고 있는 단점들은 극장 개봉용 영화의 단순 축소판이거나 인터랙티브한 요소가 없는 단순히 플랫폼만 바뀐 콘텐츠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영화콘텐츠는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하여 개인성, 상황정보성, 상호작용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새로운 형태의 몰입도 있는 인터랙티브한 모바일 증강현실 영화를 체험하게 될 것이다.

Today, smart phones ara daily necessities in our daily life. In this mobile industry, the key is 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the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is depend on how to catch the users' interests and continuos participation. In present, mobile Augmented Reality is used for many industries as various contents. And, Augmented Reality technique is used suitably. However, it is not yet used for film industry. In this study, we analyse the present Augmented Realty technique to get a suitable mobile AR technique. By using the mobile AR technique, we focused on the interactivity and personification of cinema contents. We offer mobile augmented reality cinema with expended form of interaction and continuos using and immersion of users. The weaknesses of present mobile cinema are its common transformation of format or reduction of original movie without any interaction. However, suggested cinema content in this study offers individuality, context awareness and interactivity to the users to improve the user's immersion. Through this, users can experience new format of interactive mobile Augmented Reality cinema.

Mobile Augmented Reality, Mobile Cinema, Cinema Contents

  • 1. [학술지] 강지영 / 2013 / 디지털 시네마의 인터랙티브성이 관람자에게 미치는 영향 -개인형 인터랙티브 시네마를 중심으로- / 디자인지식저널 / 25 (25) : 133 ~ 25 kci
  • 2. [학위논문] 계보경 / 2007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Presence), 학습몰입(Flow),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 3. [학술지] 김준호 / 2013 / 모바일 게임을 위한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 구현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 26 (3) : 17 ~ 3 kci
  • 4. [학술지] 김하진 / 2010 / 증강현실시각화에 대한 고찰 / 한국정보과학회지 / 28 (8)
  • 5. [학술지] 박화정 / 2009 / 증강현실 기반 E Learning 기술동향 / 인터넷정보학회지 / 10 (2)
  • 6. [학술지] 오지현 / 2007 / 휴대형 프로젝션 기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 방송공학회 논문지 / 12 (2) : 137 ~ 2 kci
  • 7. [보고서] 오영아 / 2014 /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현황과 전망
  • 8. [단행본] 이상호 / 2011 / 김선진 디지털미디어스마트혁명 / 엠에스디미디어
  • 9. [학술지] 장영균 / 2010 /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동향 / OSIA Standards & Technology Review / 38 (1)
  • 10. [학술지] 전종홍 / 2011 / 모바일증강현실기술표준화동향 / 전자통신동향분석 / 6
  • 11. [학위논문] 주완건 / 2004 / Mobile을 통한 영화서비스의 현황과 발전방안 : 휴대폰 사용자들의 만족도 및 관심도를 중점으로
  • 12. [학술지] 황재인 / 2013 / 모바일 증강현실 연구 동향 및 전망 / 한국정보기술학회지 / 11 (2)
  • 13. [단행본] C. S. Jensen / 2008 / User-Generated Content: The Case for Mobile Services / Invisible Computing
  • 14. [학술대회] J. Rekimoto / 1995 / The World through the Computer: Computer Augmented Interaction with Real World Environments / UIST ‘95
  • 15. [단행본] Lavroff, N / 1994 / Virtual Realuty Playhouse / Waite Group Press
  • 16. [학술대회] Richard A. Newcombe / 2011 / DTAM: Dense Tracking and Mapping in Real-Time /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 17. [학술대회] Takuji Narumi / 2011 / Augmented Reality Flavors: Gustatory Display Based on Edible Marker and Cross-Modal Interaction / CHI 2011
  • 18. [인터넷자료] / http://www.gartner.com/newsroom/id/2575515
  • 19. [인터넷자료] / http://www.khaiyang.com/1636
  • 20. [인터넷자료] / http://www.koreanclick.com/information/newsletter.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