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04.238
18.119.104.238
close menu
KCI 등재
온라인 학교 학생들의 합법적인 주변참여에서 완전한 참여로의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Study of the Process by Which Online School Students Move From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nts to Full Participants
윤순경 ( Soonkyoung Youn )
DOI 10.17232/KSET.22.3.57
UCI I410-ECN-0102-2016-370-000478888

21세기로 접어들면서,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에 초점을 두는 대표적인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한 형태로 온라인 학교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교가 급성장하고 있는 미국의 한 온라인 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정하고, 온라인 학교에 처음으로 들어오는 학습자가 합법적인 주변 참여 과정과 실천공동체에 의해 상황학습을 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기술의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4개월 반 동안 심도 있게 수행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온라인 학교의 8학년에 재학 중인 16명의 학생과 4명의 8학년 교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참여관찰, 면담, 문서 분석에 의해 수집되었고,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가들이 많이 사용하는 컴퓨터 보조 질적 자료 분석 응용프로그램인 NUD*IST 버전 6.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OVS에 처음 들어오는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공부한다는 점에서 학습에 대한 기대감이나 흥분을 하기도 한 반면, 다수의 연구 참여자들은 건물 학교가 아닌 가상공간에서의 학습이라는 점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걱정을 많이 하고 낯선 학습 환경에 대해 불편함을 가졌던 것으로 밝혀졌다. OVS 학교 체제에 익숙해지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은 OVS에 등록하자마자 하루에도 여러 번 학교에 접속하여 학교 체제를 익히고자 하였거나, 교사에게 잦은 안부 메일을 보내는 의사소통을 시도하였거나, 또는 친구를 만드는 노력을 하였다. OVS에서 합법적인 주변참여에서 완전한 참여를 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수의 연구 참여자들은 개별적으로 OVS 체제를 탐색하였고,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가족이나 이웃의 도움을 받았으며, 한 연구 참여자만이 OVS 내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흥미롭게도 OVS는 교사와 학생이 존재하는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약한 실천 공동체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별화 학습에 초점을 두고 있는 OVS 체제의 특성과 가상공간에서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OVS 학생들이 학교에 대해 갖는 기대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온라인 학교가 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가상공간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고, 온라인 학교의 역할 규명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With the turn to the 21st century, online schools focusing 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have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terms of online learning communities. In this light, based on an ethnographic persp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how online school students become part of an online learning community through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A qualitative research in cyberspace was conducted in an online school over four and half months. My participants were sixteen 8th grade students and four 8th grade teachers.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Using an inductive analytical approach,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NUD*IST Version 6,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first finding of the study is that when my participants entered OVS as novices, a majority of them were worried or uncomfortable whereas some of them were excited about learning with technology at OVS. The second finding is that my participants frequently went to the OVS school system even though they did not need to do, sent their teachers emails, or made friends in order to make them comfortable in the OVS system. The third one is that while many of my participants explored the OVS school system by themselves, some of them had interactions with their family member, neighbor, or the OVS teachers. In conclusion, even though OVS is a school to which teachers, students, and administrators belong, interestingly, OVS had a weak community of practice. This finding seems to be related with OVS school system focusing on individualized learning and OVS students` expectation of the school that they do not need to have social interactions with other students. This study not only suggests that online schools need to a cyber place to facilitate students` social interactions, but raises a future research question: what should or can online schools` roles b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