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도보관광 공간구조의 변화에 따른 공간위상학적 특성 분석

서울로 7017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도보관광의 관점에서 서울로 7017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고가도로가 보행화되기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고 그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해 공간위상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대상지 유동인구와 공간위상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 고가도로가 보행화되기 이전과 이후에 대한 공간위상학적 변화를 도출하여 서울역 인근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역 고가도로 보행화 사업을 통해 고가도로 주변에 대한 접근성은 상승될 것으로 보이며, 고가도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지역을 중심으로 공간사용 밀도나 보행밀도가 크게 상승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울역 서쪽 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공간위상학적 변수가 하락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서울역 고가도로 보행화 사업으로 인해 동서 연결이 수월해 진다고 하더라도 서울역 고가도로와 인근지역에 대한 불균형적인 도보 접근성의 개선은 유동인구가 영향력이 큰 지역으로 흡수되는 상황으로 이어져 서쪽지역의 지역 경제가 악화되는 부정적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two cases – to demolish or to pedestrianize Seoul Station elevated promenade –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sult in terms of walking tourism. To achieve this goal, correlations between foot traffic in that area and top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by applying topological analysis, and then its characteristics were drawn to analyze the influence on Seoul Station in the cases of either demolishing the elevated promenade or pedestrianizing 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rough the Seoul Station Elevated Promenade Plan, the overall accessibility would be raised, and space-use density or pedestrian density also would be considerably increased. However, the overall topological variances of the western area of Seoul Station would decline, which may lead to lower effectiveness of developing the undeveloped region, which is the target of the Seoul Station 7017 project.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 east-west connection can be easier due to the plan, unbalanced pedestrian accessibility to the Seoul Station elevated promenade and the surrounding area could be absorbed to larger regions with a considerable amount of foot traffic, thus creating a “straw effect” that makes the western area’s economy worse.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