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진로 성숙도와 진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Career-Guidance Program on Career-Maturity and Career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실과교육연구
약어 : SKPAE
2008 vol.14, no.2, pp.87 - 111
DOI : 10.17055/jpaer.2008.14.2.87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18 회 열람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 지도 프로그램 적용이 진로 성숙도와 진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서 (1) 진로성숙도의 하위 영역인 진로태도와 진로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2) 진로 자기 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교육진로와 과업진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64명을 대상으로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 설계 모형을 적용하였다. 실험 집단은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은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진로 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 성숙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즉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의 학생들이 진로 지도를 받지 못한 통제 집단의 학생들보다 진로 성숙도의 태도 영역과 능력 영역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진로 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 자기 효능감 향상에 별로 효과가 없었다. 즉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의 학생들은 통제 집단의 학생들보다 하위 영역인 교육진로 자기 효능감과 과업진로 자기 효능감에의 평균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지만 두 집단을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areer-guidance program on career-maturity and career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tated and utiliz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s in the career-guidanc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in terms of career-attitude and career-ability which are the sub-domains of career-maturity, and career-skills which are the sub-domains of career self-efficacy.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 post-test was applied to 64 students in their sixth year of elementary school including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areer-guidance program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not to the control group. The data was collected and interpreted statistically by t-test using SPSS(ver. 12) at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guidanc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areer-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career-guidance program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 attitude and ability domain of career maturity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career-guidance program. Second, the career-guidance program had littl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self-efficacy.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made a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career self-efficacy and skills when compared to the average of the control group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t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career-guidanc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career-maturity.

진로지도 프로그램, 진로 성숙도, 진로 자기 효능감, 초등학생
Career-Guidance Program, Career-Maturity, Career Self-Efficacy, Elementary School Student

  • 1. [학위논문] 강영숙 / 2002 /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진로자아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2. [단행본] 강원도교육연구원 / 1993 / 초·중학생용 진로 성숙도 검사 도구 / 강원도 교육연구원
  • 3. [단행본]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 2005 / 진로와 직업 교사용 지도서 / 중앙교육진흥연구소
  • 4. [학위논문] 고정자 / 2003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에 미치는 효과
  • 5. [학위논문] 곽광선 / 2004 /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이 진로태도와 진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6. [단행본] 교육인적자원부 / 2003 / 초등학생용 양성평등한 진로 지도 프로그램 / 사회교육문화사
  • 7. [단행본] 김봉환 / 2006 / 학교진로상담 / 학지사
  • 8. [학위논문] 김옥환 / 2001 / 초등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 9. [학위논문] 김지윤 / 2001 /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 10. [단행본] 김진수 / 2005 /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 웅보출판사
  • 11. [학위논문] 김진희 / 2005 / 학급단위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 성숙도와 진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12. [학위논문] 남미숙 / 1998 / 초등학생의 진로자아효능감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연구
  • 13. [학위논문] 남승경 / 2005 /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14. [단행본] 서울특별시교육과학연구원 / 1996 / 초등학교 진로인식 프로그램 / 서울특별시교육과학연구원
  • 15. [단행본] 서울특별시교육과학연구원 / 2002 / 교과와 함께 하는 진로교육 / 지은문화사
  • 16. [학위논문] 신 철 / 1997 /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 인식과 자아 개념과의 관계
  • 17. [학위논문] 이영희 / 2004 / 활동중심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성숙,진로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18. [학위논문] 이종범 / 2005 / 초등학생 진로 발달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 19. [학위논문] 이지연 / 2004 /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 20. [기타] 정천환 / 2006 / 서울초등학교 진로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전략, 교육연구논문
  • 21. [학위논문] 조순이 / 2003 /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 22. [학위논문] 조찬성 / 2000 / 부모의 직업과 자녀의 희망 진로 분석
  • 23. [보고서] 중앙고용정보원 / 2005 / 초·중·고교생 및 대학생을 위한 직업지도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및 개정연구 보고서
  • 24. [학위논문] 천귀순 / 2002 / 초등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성격특성과 진로의식성숙의 관계
  • 25. [단행본] 한국교육개발원 / 1991 / 진로 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 26. [학술지] Gribbon, W. D. / 1964 / Relationships among measures of readiness for vocational planning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42 : 13 ~
  • 27. [학술지] Super, D. E. / 1955 /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 Teacher Colleague Record / 57 : 151 ~
  • 28. [단행본] Zunker, V. G. / 2002 / Career counseling: Applied concepts of life planning / Brooks/Cole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