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ㅎ/의 변별적 자질 및 국어의 음운론적 제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세국어 ㅎ말음 체언의 음운론적 성격을 이해하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ㅎ/은 후두 마찰음으로 [-구강성, +유기성, +긴장성]을 지니며 다른 음소와의 연쇄에서 쉽게 탈락하는 활음적 성격이 있는 음소이다. /ㅎ/에 [+긴장성]이 있음은 ㅎ말음 용언에서 ‘녿노니, 논나다’와 같이 표기된 예와 ‘쓸싸바, 저싸바날’과 같이 후행하는 첫소리가 경음이 된 예, 방언에서 ‘수딹, 암딹, 수깨, 암깨’와 같이 /ㅎ/ 다음의 소리가 경음으로 된 예들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ㅎ/이 탈락한 것은 /ㅎ/에 활음적 성격이 있고 이 음소에 국어의 음소 배열 제약을 비롯한 여러 제약이 작용한 결과로 파악된다. 한자어계의 경우는 漢語의 /-?/에 /ㅎ/이 대응한다는 면에서 /ㅎ/의 [+긴장성]이 이용된 것으로 보았는데 입성 중 /-k/에만 /ㅎ/이 대응한 것은 /-k/만이 소실 과정에서 /-w, -y/로 대치된 것에 주목하여 /ㅎ/의 활음적 성격이 이용된 것으로 보았다. 效攝과 流攝의 모음 운미에 /ㅎ/이 대응한 것도 /ㅎ/의 활음적 성격이 이용된 것으로 보았는데, 이렇게 하여 국어의 음절 구조를 어기지 않고도 /-w/의 모음성도 드러내고자 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성조가 入聲, 上聲, 去聲에서 주로 말음 /ㅎ/이 나타나는 것을 高調와 관련된 현상으로 보았다.

키워드

/ㅎ/, [-구강성], [+유기성], [+긴장성], 활음적 성격, 음운론적 제약, /-ʔ/, 모음 운미

참고문헌(59)open

  1. [학위논문] 권혁준 / 1995 / 古今韻會擧要의 음운체계 연구

  2. [학술지] 김경아 / 1998 / 용언 어간말음 ㅎ의 교체에 대하여 / 언어 23 (1) : 1 ~ 28

  3. [학술지] 김동소 / 1995 / 고대 한국어의 종합적 연구 1․2 / 한글 227 : 5 ~ 70

  4. [단행본] 김무림 / 1992 / 국어음운론 / 한신문화사

  5. [단행본] 金芳漢 / 1983 / 韓國語의系統 / 民音社

  6. [학술지] 김완진 / 1991 / 한국어 속의 이른 시기의 중국어 차용어 / 알타이 학보 3 : 15 ~ 22

  7. [학술지] 김유범 / 2006 / ‘ㅎ’보유 한자어와 한자음 / 국어사와 한자음 23 : 239 ~ 263

  8. [학술지] 金泰慶 / 2003 / 早期 官話의 入聲에 대하여 / 중국어문학논집 23 : 43 ~ 66

  9. [학술지] 김주필 / 1988 / 중세국어 音節末 齒音의 音聲的 실현과 표기 / 국어학 17 : 203 ~ 228

  10. [학술지] 김차균 / 1985 / 음절 구조 속에서 활음의 기능 / 언어연구 2 : 1 ~ 21

  11. [학술지] 김 현 / 2001 / 활용형의 재분석에 의한 용언 어간 재구조화-후음 말음 어간으로의 변화에 대하여 / 국어학 37 : 87 ~ 113

  12. [학술지] 김형규 / 1963 / ㅎ말음 체언고 / 아세아연구 11

  13. [학술대회] 남풍현 / 1974 / 중세어에 있어서의 차용어 표기 / 제18회 전국 국어국문학연구발표대회 발표요지 : 285 ~ 287

  14. [학술지] 都守熙 / 1980 / 百濟地名 硏究(II) / 백제연구 11

  15. [학술지] 박창원 / 1982 / 자음군 분류와 자음자질(1) / 관악어문연구 7 : 127 ~ 142

  16. [학술지] 박창원 / 1984 / 중세 국어의 음절말 자음 체계 / 국어학 13 : 171 ~ 191

  17. [학술지] 배주채 / 1989 / 음절말자음과 어간말자음의 음운론 / 국어연구 91

  18. [단행본] 송철의 / 1996 / 국어의 음운현상과 변별적 자질,이기문교수 정년퇴임논총 / 신구문화사 : 342 ~ 356

  19. [학술지] 신승용 / 2003 / /k/>/h/ 變化에 對한 考察 / 國語學 41 : 93 ~ 122

  20. [단행본] 梁柱東 / 1942 / 朝鮮古歌硏究 / 博文書館

  21. [학술지] 李基文 / 1963 / 十三世紀 中葉의 國語 資料-鄕藥救急方의 價値- / 東亞文化 1 : 63 ~ 91

  22. [학술지] 이기문 / 1968 / 계림유사의 재검토-주로 음운사의 관점에서- / 東亞文化 8 : 205 ~ 248

  23. [단행본] 李基文 / 1998 / 國語史槪說 / 태학사

  24. [단행본] 이기문 / 1984 / 국어음운론 / 학연사

  25. [단행본] 李炳銑 / 1982 / 韓國古代國名地名硏究 / 螢雪出版社

  26. [학술지] 이승재 / 1980 / 구례지역어의 음운체계 / 국어연구 45

  27. [학술지] 이진호 / 2003 / 국어 ㅎ- 말음 어간의 음운론 / 국어국문학 133 : 167 ~ 195

  28. [단행본] 이진호 / 2005 / 국어 음운론 강의 / 삼경문화사

  29. [단행본] 이호영 / 1996 / 국어음성학 / 태학사

  30. [단행본] 정승철 / 1995 / 제주도 방언의 통시음운론 / 태학사

  31. [학술지] 차재은 / 2001 / /ㅎ/의 음운 자질과 음운 현상 / 어문논집 43 : 24 ~ 44

  32. [학술지] 차재은 / 2003 / 우리말 음운 자질의 설정에 대하여 / 한글 259 : 5 ~ 36

  33. [단행본] 최명옥 / 1982 / 월성지역어의 음운론 / 영남대학교 출판부

  34. [단행본] 최명옥 / 2004 / 국어 음운론 / 태학사

  35. [학술지] 황선엽 / 2008 / 三國遺事와 均如傳의 鄕札 表記字 비교 / 國語學 27 (51) : 279 ~ 311

  36. [단행본] 홍윤표 / 1983 / 增修無冤錄諺解 解題, 增修無冤錄諺解 / 홍문각

  37. [단행본] 崔鶴根 / 1990 / 增補韓國方言辭典 / 明文堂

  38. [기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 1987 / 韓國方言資料集Ⅲ-忠淸北道篇

  39. [기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 1987 / 韓國方言資料集Ⅴ-全羅北道篇v

  40. [기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 1989 / 韓國方言資料集Ⅶ-慶尙北道篇

  41. [기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 1990 / 韓國方言資料集Ⅱ-江原道篇

  42. [기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 1990 / 韓國方言資料集Ⅳ-忠淸南道篇

  43. [기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 1991 / 韓國方言資料集Ⅵ-全羅南道篇

  44. [기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 1993 / 韓國方言資料集Ⅷ-慶尙南道篇

  45. [기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 1995 / 韓國方言資料集Ⅰ-京畿道篇

  46. [기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 1995 / 韓國方言資料集Ⅸ-濟州道篇

  47. [단행본] 董同龢 / 1975 / 漢語音韻學 / 범학도서

  48. [단행본] 薛鳳生 / 1990 / 中原音韻音位系統 / 北京語言學院出版社

  49. [단행본] 薛鳳生 / 1986 / 北京音系解析 / 北京語言學院出版社

  50. [단행본] 楊耐思 / 1981 / 中原音韻音系 / 中國社會科學出版社

  51. [단행본] 王 力 / 1997 / 중국어 어음사 / 대일

  52. [단행본] 李思敬 / 2001 / 音韻 / 商務印書館

  53. [단행본] 李新魁 / 1978 / 中國聲韻學槪論 / 대광문화사

  54. [단행본] 李珍華 / 1999 / 漢語語音發展史說略, 漢字古今音表 / 中華書局

  55. [단행본] 周法高 / 1973 / 漢字古今音彙 / 中文大學出版社

  56. [단행본] 周祖謨 / 2000 / 宋代卞洛音與廣韻, 文字音韻訓詁論集 / 北京大學出版社 : 189 ~ 196

  57. [단행본] 賴惟勤 / 1989 / 中國音韻史上の問題點, 中國音韻論集 / 汲古書院 : 30 ~ 46

  58. [단행본] 三根谷徹 / 1993 / 中古漢語の韻母の體系-切韻の性格, 中古漢音と越南漢字音 / 汲古書院 : 67 ~ 83

  59. [학술지] 平山久雄 / 1993 / 邵雍 󰡔皇極經世聲音唱和圖󰡕の音韻體系 / 東洋文化硏究所紀要 120 : 49 ~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