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판교테크노벨리의 지속가능한 혁신 클러스터 영향요인에 관한 통합연구

Integrated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ustainable Innovation Cluster of Pangyo Techno Valley

벤처창업연구
약어 : APJBVE
2020 vol.15, no.1, pp.71 - 94
DOI : 10.16972/apjbve.15.1.202002.71
발행기관 : 한국벤처창업학회
연구분야 : 경영학
Copyright © 한국벤처창업학회
116 회 열람

우리나라의 혁신클러스터 정책은 지역균형발전을 목표로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판교테크노밸리를 사례로 혁신클러스터 입주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판교테크노밸리는 중앙정부 보다는 지자체(경기도)의 주도하에 건립되었고 ‘한국의 실리콘밸리’, ‘아시아 실리콘밸리’ 등으로 불리며 대표성이 커지고 있다. 성장하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는 2016년 대비 2017년에 입주기업 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2019년을 기점으로 판교테크노밸리의 비즈니스 생태계가 변할 수 있는 이슈(기업의 입지 이전 가능 이슈)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양적 및 질적 연구를 통합하여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양적연구를 진행하고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적용하였다. 양적 연구에서는 판교테크노밸리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였고, 질적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와 추가적인 요인을 조사하였다. 양적 연구결과 기업내부여건변화, 인적‧물적 인프라, 협력 및 시너지, 입주형태 범주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요인들이 나타났다. 영향력에 대한 구체적 이유는 질적 연구과정에선 나타났다. 지자체의 지원 범주는 양적 연구에서 의미있는 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질적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가장 크게 발휘하는 범주로 ‘판교테크노밸리의 좋은 이미지’가 제시되었다. 판교테크노밸리 내 협력네트워크 활성화에 대해서는 기업들이 수동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지자체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판교테크노밸리가 지속가능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실적인 방안과 이상적인 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Korea's innovation cluster policy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5 with the goal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ustainability of innovative cluster tenants by using Pangyo Techno Valley as an example. Pangyo Techno Valley was establish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local government (Gyeonggi-do) rather than the central government and it is called “Silicon Valley of Korea” and “Asia Silicon Valley” and is becoming more representative. The growing number of companies in Pangyo Techno Valley decreased in 2017 compared to 2016. This is because Pangyo Techno Valley's business ecosystem will change from 2019. In this pap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applied through interviews. The quantitative research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ustainability of Pangyo Techno Valley,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examined the specific reasons and additional factors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The quantitative results showed that factors affecting sustainability in terms of changes in corporate internal conditions, human and physical infrastructure, cooperation and synergy, and occupancy patterns. The specific reason for the impact appear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The support category of local governme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factors in quantitative research. In addition, qualitative research suggested 'Good image of Pangyo Techno Valley' as the category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sustainability. It is shown that companies are passive and expect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activating cooperation network in Pangyo Techno Valley.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angyo Techno Valley is presented with a realistic plan based on real estate issues and an ideal plan with a long-term perspective.

혁신클러스터, 지속가능성 영향요인, 통합연구방법
Innovation Cluster, Sustainability Factors, Mixed methods research

  • 1. [인터넷자료]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판교테크노밸리 입주업체현황정보
  • 2. [인터넷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 & ICT 정책・기술 동향. 120
  • 3. [학술지] 구양미 / 2012 /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진화와 역동성 -클러스터 생애주기 분석을 중심으로 -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8 (3) : 283 ~ 3 kci
  • 4. [인터넷자료] 국립국어원 / 지속가능성
  • 5. [학술지] 권영길 / 2016 / 지역 문화산업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지속가능성의 모색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10 (4) : 25 ~ 4 kci
  • 6. [학술지] 김명진 / 2013 / 글로벌 경쟁력을 갖는 혁신클러스터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경기도 혁신클러스터(광교테크노밸리, 판교테크노밸리, 안산사이언스밸리) 중심으로 - / 국토지리학회지 / 47 (2) : 143 ~ 2 kci
  • 7. [보고서] 김세원 / 2014 / 혁신 클러스터 성공요인과 개도국 클러스터 지원 사례(2014-737)
  • 8. [학술지] 김영락 / 2018 /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교육 공급자 관점: 농식품 분야 창업교육 현상의 탐색연구 / 벤처창업연구 / 13 (5) : 73 ~ 5 kci
  • 9. [학술지] 김영준 / 2018 / 우리나라 기업 특성별 성장성 및 고용역량 분석 / 경영경제연구 / 40 (2) : 211 ~ 2 kci
  • 10. [학술지] 김현창 / 2018 / 제1판교테크노밸리 창업생태계 사례연구 / 한국창업학회지 / 13 (4) : 166 ~ 4 kci
  • 11. [학술지] 남기범 / 2004 / 클러스터 정책실패의 교훈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7 (3) : 407 ~ 3 kci
  • 12. [인터넷자료] 네이버 국어사전 / 지속가능성
  • 13. [학술지] 박상혁 / 2018 / 사회혁신분야에서 근거이론 기반 질적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디자인 씽킹 방법론 / 벤처창업연구 / 13 (4) : 169 ~ 4 kci
  • 14. [보고서] 복득규 / 2003 / 클러스터:한국산업과 지역의 생존전략 클러스터
  • 15. [보고서] 산업연구원 / 2016 /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현황 및 이전요인 분석
  • 16.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 / 2017 / 새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
  • 17. [학술지] 설병문 / 2014 / 근거이론에 따른 창업교육 인식에 관한 고찰 / 벤처창업연구 / 9 (3) : 23 ~ 3 kci
  • 18. [학술지] 설병문 / 2016 /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축산업분야 기술이전현상에 관한 탐색연구: 후방연관산업을 중심으로 / 벤처창업연구 / 11 (1) : 97 ~ 1 kci
  • 19. [인터넷자료] 설성인 / 실리콘밸리 같은 산학 연구개발 시스템 구축해야 / 이코노미조선
  • 20. [보고서] 성영조 / 2018 / 판교테크노밸리, 정책 수출 상품으로 확산
  • 21. [보고서] 소진광 / 2015 / 판교테크노밸리 성장 원동력 분석
  • 22. [학술지] 송태규 / 2014 / 판교테크노밸리 입주기업의 기업지원 만족도 분석 / 주거환경 / 12 (4) : 119 ~ 4 kci
  • 23. [학술지] 신재호 / 2018 / 서비스업의 혁신 목적으로서 지속가능 혁신이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SCM학회지 / 18 (2) : 1 ~ 2 kci
  • 24. [보고서] 와이즈포스트 / 2018 / 판교테크노밸리 조성평가 및 발전방안 용역보고서
  • 25. [단행본] 이상우 / 2018 / 대한민국 아파트 부의 지도 / 한빛비즈
  • 26. [학술지] 이상욱 / 2014 / 판교테크노밸리 창조 생태계 활성화방안 연구 / 지역사회논문집 / 39 (1) : 11 ~ 1
  • 27. [보고서] 이상훈 / 2014 / 판교테크노밸리의 성공과 시사점
  • 28. [단행본] 이원영 / 2008 / 기술혁신의 경제학 / 생능출판사
  • 29. [보고서] 이원일 / 2011 / 판교테크노밸리의 현황과 조기활성화를 위한 과제
  • 30. [학술지] 이후빈 / 2018 / 클러스터의 진화와 토지소유의 모순: 대구 남산동 인쇄골목을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지 / 53 (3) : 347 ~ 3 kci
  • 31. [보고서] 임덕순 / 2008 / 광교테크노밸리 운영전략 및 과제
  • 32. [학술지] 임규건 / 2017 / SW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속가능성과 개방형 관점에서의 산업클러스터 사례 비교 분석 / 경영과학 / 34 (2) : 85 ~ 2 kci
  • 33. [학위논문] 임종빈 / 2013 / 혁신 클러스터가 기업의 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혁신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 34. [학술지] 임종빈 / 2016 /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혁신클러스터 정책에 관한 연구: ‘판교 창조경제밸리’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8 (4) : 109 ~ 4 kci
  • 35. [학술지] 전지혜 / 2018 / 클러스터 진화에 있어서 회복력의 의의와 과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24 (1) : 66 ~ 1 kci
  • 36. [학술지] 정기덕 / 2017 / 혁신클러스터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판교테크노밸리 사례를 중심으로 / 기술혁신학회지 / 20 (4) : 970 ~ 4 kci
  • 37. [단행본] 정선양 / 2010 / 전략적 기술경영 / 박영사
  • 38. [단행본] 정선양 / 2012 / 기술과 경영 / 경문사
  • 39. [학술지] 정선양 / 2016 / 혁신클러스터의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판교테크노밸리 사례를 중심으로 / 기술혁신학회지 / 19 (4) : 848 ~ 4 kci
  • 40. [학술지] 정준호 / 2008 / 공간문제에 대한 신경제지리학의 해석 - 그 논의와 비판적 이해 / 공간과 사회 (30) : 5 ~ 30 kci
  • 41. [학술지] 채윤식 / 2016 / 클러스터 생애주기 변화와 기업의 동적역량 / 과학기술정책 / 26 (10) : 22 ~ 10
  • 42. [학술지] 최준영 / 2010 / 수도권 소프트웨어 기업의 입지이전 결정요인 분석 / 국토계획 / 45 (6) : 161 ~ 6 kci
  • 43. [학술지] 최준영 / 2012 /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지역간 이동 패턴 및 요인 분석 / 국토계획 / 47 (7) : 5 ~ 7 kci
  • 44. [학위논문] 최지영 / 2008 / 결혼과정을 통해서 본 모-자녀 관계변화에 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 45. [학술지] 최창호 / 2010 / 산업별 창업기업의 입지결정요인 분석 / 국토계획 / 45 (2) : 193 ~ 2 kci
  • 46. [인터넷자료]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 판교 혁신기업 CEO 네트워크 프로그램 초대(1/29)
  • 47. [보고서] 한웅용 / 2010 / 산업단지혁신클러스터사업 심층평가보고서
  • 48. [보고서] 홍성범 / 2003 / 중국의 혁신클러스터 특성 및 유형 분석: 한국 사례와의 비교
  • 49. [학술지] 홍영기 / 2011 / 교육과정 재구성 및 개발과정에서의 근거이론 접근 / 통합교육과정연구 / 5 (2) : 1 ~ 2 kci
  • 50. [학술지] 황규준 / 2011 / 국내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입지요인 분석 / 아시아연구 / 14 (3) : 151 ~ 3 kci
  • 51. [학술지] 황혜란 / 2007 / 글로벌 분업구조의 재편과 혁신클러스터 육성전략 / 과학기술정책 (162) : 32 ~ 162
  • 52. [보고서] Bok, D. G. / 2003 / Cluster: Survival Strategy Cluster of Korean Industry and Region
  • 53. [학술지] Chae, Y. S. / 2016 / Cluster Life Cycle Changes and Enterprise Dynamic Capabilities / SCIENCE & TECHNOLOGY POLICY / 26 (10) : 22 ~ 10
  • 54. [학위논문] 최지영 / 2008 / 결혼과정을 통해서 본 모-자녀 관계변화에 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 55. [단행본] Chung, S. Y. / 2010 /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y / PAKYOUNGSA
  • 56. [단행본] Chung, S. Y. / 2012 / Technology and Management / SIDAEGACHI
  • 57. [단행본] Cooke, P. / 2002 / Knowledge Economies: Clusters, Learning and Coopreative Advantage / Routledge
  • 58. [학술지] Cooke, P. / 2008 /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lean Technology & Jacobian Cluster-Platform Policies / Regional Science Policy & Practice / 1 (1) : 23 ~ 1
  • 59. [학술지] Dyllick, T. / 2002 / Beyond the business case for corporate sustainability /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 11 (2) : 130 ~ 2
  • 60. [학술지] Eisenhardt, K. M. / 1989 / Building theories from case study research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14 : 532 ~
  • 61. [학술지] Eisingerich, A. B. / 2010 / How can Clusters Sustain Performance? The Role of Network Strength, Network Openness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 Research Policy / 39 (2) : 239 ~ 2
  • 62. [단행본] Fu, X. / 2014 / Innovation in low income countries: A survey report
  • 63. [학술지] Gagne, M. / 2010 / Technology Cluster Evaluation and Growth Factors : Literature Review / Research Evaluation / 19 (2) : 82 ~ 2
  • 64. [인터넷자료] Gyeonggido Business&Science Accelerator / Pangyo Techno Valley Company's List
  • 65. [인터넷자료] Gyeonggi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 Pangyo Innovative CEO Network Program Invitation
  • 66. [학술지] Hagedoorn, J. / 1994 / The Effect of Strategic Technology Alliances on Company Performance /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 15 : 291 ~
  • 67. [보고서] Han, U. Y. / 2010 / In-depth report on industrial complex innovation cluster project
  • 68. [보고서] Hong, S. B. / 2003 /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Chinese Innovation Clusters in Comparison with Korean Cases
  • 69. [학술지] Hwang, H. R. / 2007 / Reorganization of global division of labor and innovation cluster development strategy / Science & Technology Policy (162) : 32 ~ 162
  • 70. [보고서] Im, D. S. / 2008 / The Policy Issues of Gwanggyo Techno-Valley and Its Operational Strategy
  • 71. [학위논문] 임종빈 / 2013 / 혁신 클러스터가 기업의 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혁신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 72. [보고서] Inoue Tatsuhiko / 2015 / ブラックスワンの經營學 通說をくつがえした世界最優秀ケ-ススタディ
  • 73. [기타] Kearney, A. K. / 2010 / Next Generation Economic Clusters / WQ Analyst
  • 74. [보고서]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Economics & Trade / 2016 /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Transfer Factors of Local Capital Companies
  • 75. [보고서] Kim, S. W. / 2014 / Innovation Cluster Success Factors and Developing Country Cluster Support Cases(2014-737)
  • 76. [보고서] Lee, S. H. / 2014 / Success and Implications of Pangyo Techno Valley
  • 77. [단행본] Lee, S. W. / 2018 / Map of South Korea Apartment Wealth / HanbitBiz
  • 78. [학술지] Lee, S. W. / 2014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A Craetive Ecosystem in Pan-gyo Technovalley / Community Development Review / 39 (1) : 11 ~ 1
  • 79. [보고서] Lee, W. I. / 2011 / Current Status of Pangyo Techno Valley and Challenges for Early Activation
  • 80. [단행본] Lee, W. Y. / 2008 / Economics of Innovation / Saengneung Publisher
  • 81. [학술지] Lyon, T. P. / 2011 / Creating a Plug-In Electric Vehicle Industry Cluster in Michigan: Prospects and Policy Options / Mich. Telecomm & Tech. L. Rev. / 18 : 303
  • 82. [학술지] Martin, R. / 2015 / On the notion of regional economic resilience : conceptualization and explanation /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 15 (1) : 1 ~ 1
  • 83. [인터넷자료]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Science, ICT Policy and Technology Trends
  • 84. [보고서]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2017 / New Government's Industrial Policy Direction
  • 85. [인터넷자료]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 Sustainability
  • 86. [인터넷자료] Naver Korean Dictionary / Sustainability
  • 87. [단행본] OECD / 1999 /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 88. [단행본] Porter, M. E. / 1993 /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 Harvard Business School Management Programs : 73 ~
  • 89. [단행본] Porter, M. E. / 1998 / On Competition /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 90. [학술지] Potter, A. / 2010 / Evolutionary agglomeration theory : increasing returns, diminishing returns, and the industry life cycle /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 11 (3) : 417 ~ 3
  • 91. [인터넷자료] Seol, S. I. / Industry-academic research and development system such as Silicon Valley / Economy Chosun
  • 92. [보고서] Seong, Y. J. / 2018 / Pangyo Techno Valley Spreads as a Policy Export Product
  • 93. [보고서] So, J. G. / 2015 / Pangyo Techno Valley Growth Engine Analysis
  • 94. [단행본] Strauss, A. / 1998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s and Techniqu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 SAGE
  • 95. [학술지] The Brookings Institute / 2018 / Clusters and innovation districts: Lessons from the United States experience / Economic Studies at Brookings
  • 96. [단행본] WCED / 1987 / Our common future / Oxford University Press : 43
  • 97. [보고서] Wisepost / 2018 / Pangyo Techno Valley Development Evaluation and Development Plan Service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