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기업가형 대학(Entrepreneurial University)을 위한 대학의 창업 성과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t the University Level for Becoming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벤처창업연구
약어 : APJBVE
2020 vol.15, no.2, pp.19 - 32
DOI : 10.16972/apjbve.15.2.202004.19
발행기관 : 한국벤처창업학회
연구분야 : 경영학
Copyright © 한국벤처창업학회
13 회 열람

이 연구는 기업가형 대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대학생과 전임교원의 창업 성과를 중심으로 대학 차원의 영향 요인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대학알리미 공시자료를 바탕으로 최소 2개년도 대학생 및 전임교원 창업자 수에 대한 자료가 확보되어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패널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154개 대학의 4개년도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대학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자료의 종단적 성격과 분포를 고려하여 패널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Hausman test를 통해 확률효과를 중심으로 결과를 해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대학의 창업성과와 변화 추이에 대한 분석 결과, 최근 4년간 대학의 창업 성과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대학생 창업자 수의 증가폭이 더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서 경제적, 교육적 접근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대학생의 창업을 촉진하는 대학 차원의 요인은 학생 1인당 장학금, 창업 지원금, 창업 강의, 창업 동아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교의 개방성 및 지역적 특성이 대학생의 창업을 촉진할 수 있다. 넷째, 전임교원에 대한 연구 환경 조성 및 창업 지원이 이들의 창업 성과를 높일 수 있다. 전임교원의 창업을 촉진하는 대학 차원의 요인은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창업 지원인력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의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형 대학으로 발전하기 위한 국내 대학 전반의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기업가형 대학으로 변화하기 위해 창업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기업가형 대학으로서, 지역, 규모에 따른 대학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대학의 연구 성과를 창업으로 연계할 수 있는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전임교원의 창업에 대한 분위기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university level centering on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full-time faculties in the situation of increasing interest in entrepreneurial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panel data was established from 2015 to 2018 on the basis of the university notification data. The panel data included universities with data on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and full-time faculty founders for at least two years. Through this, four year data from 154 universities were used for analysis. As an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ince then, panel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ongitudinal features and distribution of the data. Also, based on the Hausman test result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based on random effect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nd the change trend of the domestic university from 2015 to 2018,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the last four year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 entrepreneur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full-time faculties. Second, economic and educational approaches need to be combined to promote university students' start-ups. The university factors that promote the start-up of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be scholarships, start-up grants, startup lectures, and startup clubs. Third, the opennes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isty can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university students. Fourth, the establishment of a research environment and support for start-ups for full-time faculty members can enhance their start-up performance. The university factors that promote the start-up of full-time faculty were research funds and staffes who support start-up.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into an entrepreneurial university. Second, in order to change into an entrepreneurial university, direct support for entrepreneurship is needed. Third, as an entrepreneurial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bridge the gap by university according to region and size. Fourth,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support for linking the research results of universities to start-ups. Fif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tmosphere for full-time faculty members to be entrepreneur.

기업가형 대학, 창업 성과, 창업, 패널 음이항 회귀분석, 대학알리미
Entrepreneurial University, Entrepreneurial Outcomes, Start-up, Panel Negative Binomonal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