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공중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하여 헬스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개인의 건강 관련 요소들이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규명하기 위해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미세먼지 관여도, 건강관심도, 헬스리터러시를 스마트폰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의 선행변인으로 도입하였다. 이번 분석을 위해 전국의 스마트폰 이용자 7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세먼지 관여도와 헬스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스마트폰의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관심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스마트폰 사용용이성이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사용용이성과 유용성이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 맥락에서 개인의 건강 관련 변인의 확장을 통해 기술수용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갖는다. 또 복잡하고 전문적인 기능보다는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용이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실무적 함의를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what factors influencing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by using the smartphone with respect to particulate matter that threatens personal health and creates social anxiety. Based on the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I), we analyzed the model by including personal health related factors such as involvement, health concern, and health literacy as preceding variables of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For data collection, a nation-wid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700 smartphone users. Findings showed that respondents who were greater involvement and health literacy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However,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lso showed that perceived ease of use significantly increased usefulness and these two variabl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implication in that we empirically explored the TAM II through the expansion of personal health-related variables in the context of using smart phones about particulate matter. Findings als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sability to use the smartphon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than the complicated and expertise funct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