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 김민승 (한양대학교)
  • 류웅재 (한양대학교)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최근 음식과 관련한 콘텐츠가 인기를 얻고 있는 시점에서 연관된 리얼리티 TV 프로그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중 평범한 일상에서 음식의 소비에 관한 세밀한 재현을 통해 대중들에게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나 혼자 산다>(MBC)와 <전지적 참견 시점>(MBC) 두 관찰형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선정해 분석하였다. 두 문화 생산물은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피로와 소진을 상시적으로 경험하는 대중들에게 음식을 통한 힐링과 휴식이라는 유토피아적 감정을 매개하고 있었다. 동시에 음식과 관련된 문화 실천은 또 다른 형태의 노동과 경쟁, 혹은 타인과의 비교로 인한 불안이라는 양가적 감정구조를 재생산하고 있었다. 분석을 위해 이 연구는 레이먼드 윌리엄즈의 ‘감정구조’ 개념과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공간을 비판적으로 논의한 데이비드 하비의 공간과 관련한 관점을 활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내 등장인물들의 대화와 행동, 자막, 촬영구도, 효과음 등의 요소를 기반으로 면밀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 구성원들의 맛집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 실천과 이들이 해당 공간에 부여하는 의미에 대한 비판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Korean reality TV programs related to food, in which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ontents are produced globally. For this, two observational reality programs were selected. Those are (MBC) and (MBC), that were popular among the public through the reproduction of food consumption in everyday life. The two cultural products are reproduced utopian feelings of healing and rest for the public, who routinely experience fatigue and exhaustion in a post-capitalist society. However, cultural practices related to food were constantly reproducing other forms of labor, competition, and also anxiety due to the constant comparison with others. For this, we utilized Raymond Williams’ ‘structure of feelings’ and David Harvey’s perspective, which critically discussed the social space of post-capitalism. In particular, textu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ome elements such as dialogue and behavior of characters, subtitles, filming composition, and sound effects. In addition, we tried to interpret the various forms of practice by people and the meaning they give to the space. Therefore,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combining the daily life and emotional structure of the public.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4. 일상으로부터의 해방, 혹은 힐링 이데올로기
5. 능동적 실천으로서의 맛집 탐방의 함의: 힐링의 공간? 혹은 상징욕구의 공간?
6. 나가며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