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 정선기 (충남대학교)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Bourdieu의 장 이론은 고도로 분화된 사회의 부분영역들이 구축한 상부구조의 상대적 자율성의 문제를 해명할 수 있는 설득력 있는 분석 모델이다. 그것은 흔히 제기되는 ‘토대반영론’이나 ‘경제환원론’과는 거리가 멀며, 또한 다양한 행위자의 일상적 실천의 문제를 포괄하여 다루지 못한다는 지적도 정당한 비판이 될 수 없다. 장 이론은 ‘사회적 불평등’과 ‘전도된 의식’에 대한 고전적인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해서 ‘상징 차원의 불평등’과 ‘가치의 제도화’에 대해 주목했던 Weber 사회학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다. 그것은 다양하게 분화된 사회의 부분 영역에서 벌어지는 상징적 가치를 둘러싼 경쟁과 투쟁의 작동방식 뿐만아니라 개별 장들의 자율성이 어떻게 강화되고, 그것이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기제로 작동하는가를 설명해 준다. 그것은 장 내의 구조적 특성 뿐만 아니라 장들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의 가능성을 열어줌으로써 (1) 분화된 사회의 부분영역에서 나타나는 ‘상대적’ 자율성에 대한 해명을 제공하고, (2) 계급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여 분화된 사회의 불평등 문제를 분석하는데 기여하며, (3) 사회의 부분 영역에서 작동하는 불평등의 재생산 동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Bourdieu’s field theory is a persuasive analytical model that can elucidate the problem of the relative autonomy of a superstructure built by sub-sectors of a highly differentiated society. It is far from the commonly raised ‘base reflection theory’ or ‘economic reduction theory’, and the point that it does not comprehensively deal with the problems from the daily practice of various actors cannot be a fair criticism. Field theory starts from the classic problem-raising of ‘social inequality’ and ‘inverted consciousness’, and continues the tradition of Weber’s sociology, which focuses on ‘inequality at the symbolic level’ and ‘institutionalization of values’. It explains not only how competition and struggle over symbolic values in various differentiated areas of society operate, but also how the autonomy of individual fields is strengthened and how it operates as a mechanism for reproducing social inequality. By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not onl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in fields but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fields, it (1) provides an explanation of the ‘relative’ autonomy that appears in sub-fields of a differentiated society, and (2) by redefining the concept of class, it contributes to analyzing the problem of inequality in society, and (3) helps in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reproduction of inequality operating in certain areas of society.

목차

1. 서론
2. 관계적 사고와 구성적 구조주의
3. 장의 구조와 동학
4. 일루지오와 상징투쟁
5. 사회적 분화와 자본의 기능
6.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