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신을 여성주의자 또는 여성주의상담자로 명명하는 상담자들이 상담 장면에서 더 많은 여성주의상담행동(Feminist Therapy* Behavior)을 하는지, 그리고 자기명명을 한 상담자와 그렇지 않은 상담자 간의 차이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수정된 여성주의상담행동 척도(FTB-R)를 번역하고, 133명의 상담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요인분석을 통해 여성주의상담행동 척도의 하위 요인을 확인하였다. 그 후 상담자 자기명명과 여성주의상담행동 수행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상담자의 자기명명과 여성주의상담행동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인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 ‘권력강화’, ‘자율성/주장성’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고 그 중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인 것이다’ 요인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상담자가 자신을 더 높은 수준의 여성주의상담자로 명명할수록 여성주의상담행동을 상담장면에서 더 많이 수행하였다. 이는 상담자의 자기명명이 상담자가 실천하는 상담행동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Korean counselors label themselves as feminist or feminist counselors practice feminist therapy behaviors more during the counseling sessions than those who do not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abeling themselves as feminist or feminist counselors and feminist therapy behaviors. We translated the Feminist Therapy Behavior-Revised Scale, surveyed 133 Korean counselors using the scale, and confirmed the scale"s subfactors using factor analysis. We then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minist therapy behaviors and self-labeling by counselors as feminists, feminist counselors, or counselors practicing feminist therapy. We found that the self-labeling of counselors and all the subfactors of feminist therapy behaviors (‘Personal is political.’, ‘Empowerment.’, ‘Assertiveness/Autonomy.’) were positively related,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Personal is political.’ factor Furthermor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labeling by counselors was (feminist, feminist counselor, counselor who practice feminist counseling), the more feminist therapy behaviors were practiced. This suggests that the self-labeling of counselors has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therapy behaviors of counselors.

목차

1. 서론
2. 방법
3. 결과
4. 논의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88305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