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8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 돌봄 노인의 돌봄 부담감과 만족감 수준을 살펴보고 돌봄 대상자의 경제적, 도구적, 정서적 기여 요인이 돌봄 부담감과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증의 만성질환을 가진 배우자나 신체적, 정신적 장애가 있는 성인자녀를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 17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1.0을 이용한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족 돌봄 노인의 돌봄 부담감은 중간값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고, 돌봄 만족감은 중간값에 못 미치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돌봄 대상자의 정서적 기여 요인은 가족 돌봄 노인의 낮은 돌봄 부담감의 유의미한 예측요인으로, 정서적 기여 요인과 경제적 기여 요인은 높은 돌봄 만족감의 유의미한 예측 요인으로 밝혀졌다. 셋째, 통제변수 중에서는 돌봄시간, 돌봄 대상자의 인지기능 손상, 가족 돌봄 노인의 연령이 돌봄 부담감의 유의미한 관련 요인으로, 공식적인 지지는 돌봄 만족감의 유의미한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 돌봄 노인의 돌봄 부담감 완화에 초점을 둔 심리정서적 지지 프로그램과 상담 제공, 돌봄 대상자의 기여와 관련된 인식의 전환 등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aregiving burden and satisfaction of elderly family caregiver and analyse the effects of care recipient’s economic, instrumental, and emotional helpfulness to caregiver on caregiving burden and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76 caregivers aged 60+ who were caring for spouse with severe chronic illness and adult child with physical and/or mental disability. SPSS 21.0 software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1) elderly family caregivers reported fairly high caregiving burden and low caregiving satisfaction; (2) care recipient’s emotional helpfulness to caregiver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low caregiving burden while care recipient’s emotional and economic helpfulness to caregive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high caregiving satisfaction; (3) out of the control variables, the number of caregiving hours, care recipient’s cognitive impairment, caregiver’s 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lderly family caregiver’s caregiving burden while the size of formal support networ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egiving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to address elderly family caregiver’s caregiving burden and satisfaction were discussed.

목차

초록
1. 문제 제기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0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051-001418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