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2023년 고교학점제의 단계적 적용을 앞두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확대하여 그들의 진로, 적성, 흥미에 부합하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학생 선택권의 확대가 오히려 학생들 간의 학습격차를 확대하고 교육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배경이 다른 두 학생의 과목선택 경험을 심층 탐구하였다.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두 학생이 각각 어떤 과목을 어떻게 선택하는지 조사하였고 학생들의 과목선택 경험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계층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 간에 과목 선택에 있어 큰 차이가 나타났고, 학생들의 과목 선택은 교육과정의 수직적 서열화를 가져왔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확대하는 정책적 노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제안하였다. 특히, 선택지를 늘리는 것보다 선택을 잘 할 수 있도록 지도 지원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이 기울여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has led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as a result, failed to meet students’ diverse learning needs.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initiat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gives students more curricular choice. However, many educators have raised concerns over this new policy arguing that students’ curricular choice would deepen educational inequalit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udents of different socioeconomic backgrounds made their curricular choic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tudent from a high socioeconomic background strategically chose the courses crucial for college entrance exams with support from teachers, parents, and private tutors. In contrast, the student from a low socioeconomic background chose the lower level and less academically oriented courses with little guida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curricular choice leads to curriculum tracking which exacerbates educational inequality. Based on the findings, the issue of student choice and curriculum inequality was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370-000055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