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오늘날 미술 자체에 대한 사고의 전환과 더불어 사회 전반에 걸쳐 확산되고 있는 공공성의 화두가 맞물리면서, 공공미술에 대한 보다 확장된 이해가 요청되는 시점에 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의 공공성에 착안하여 미술 그 자체에 내재한 본질적인 특성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우선 ‘공공성’에 관한 이론을 재검토하고 작품과 감상자의 관계를 이론화함으로써 ‘미술의 공공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미술의 변용과 일상 공간에 전개되는 현대 미술의 현상, 나아가 작가와 작품, 그리고 감상자 사이에 내재하는 관계성 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미술이 사회 일상에 전개될 때 어떤 형태로 작용하는지, 또한 사회문화적으로 실현 가능한 미술의 기능은 무엇인지, 미술 본래의 특성으로서의 ‘공공성’을 들어 미술과 사회의 관계를 조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미술문화를 중심으로 한 문화소통교육의 장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는 이론적 단초를 모색하였다. 이로써 미술의 공공성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가치 담론은, 미술의 사회적 존재방식뿐만 아니라 미술교육 및 문화소통교육으로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을 재인식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공공미술을 중심으로 한 문화소통교육은 다변하는 사회현상의 지각과 그에 대한 비판의식 및 실천방법을 익히고, 공동체 간의 의사결정은 물론 그 과정 속에서의 갈등과 대립마저도 포괄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미술, 미술의 공공성, 공공미술, 미술교육, 문화소통교육

참고문헌(18)open

  1. [학술지] 강수미 / 2008 / 공동체를 위한 예술과 공공미술 / 현대미술학 논문집 1 (12) : 7 ~ 52

  2. [학술지] 김성숙 / 2012 / 미적소통을 위한 공공미술 사례연구 - 공공미술의 역할과 미술교육의 방향 - / 문화예술교육연구 7 (3) : 89 ~ 105

  3. [학술지] 김향미 / 2007 / 미술교육에서의 공공미술 활용방안 연구 / 미술교육논총 21 (1) : 289 ~ 306

  4. [학술지] 김형숙 / 2009 / 미술과 지역사회의 파트너쉽 - 지역사회 미술교육의 성립 배경을 통해 본 실태 연구 - / 미술교육논총 23 (1) : 93 ~ 124

  5. [단행본] 박삼철 / 2006 / 왜 공공미술인가 / 학고재

  6. [단행본] 성완경 / 1999 / 민중미술 모더니즘 시각문화-새로운 현대를 위한 성찰, 성완경의 미술비평 / 열화당

  7. [학술지] 안인기 / 2011 / 미술의 사회 참여 : 공동체미술교육의 실천과 의미 / 기초조형학연구 12 (5) : 281 ~ 292

  8. [학술지] 안현정 / 2010 / 공공미술의 공공성 이해와 문화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 미술교육논총 24 (2) : 371 ~ 396

  9. [학술지] 안혜리 / 2008 / 공공미술 프로젝트 학습 모형과 프로세스 폴리오(process-folio) 실행을 통한 시각문화교육 - 초등교사 교육에의 적용 - / 조형교육 (32) : 243 ~ 273

  10. [단행본] 위르겐 하버마스 / 2007 / 공론장의 구조변동 / 나남

  11. [학술지] 임성훈 / 2008 / 미술과 공공성: 공공미술에 대한 미학적 고찰 / 현대미술학 논문집 1 (12) : 107 ~ 134

  12. [단행본] 피터 뷔르거 / 1986 / 아방가르드 예술이론 / 동환출판사

  13. [단행본] 한나 아렌트 / 2008 / 인간의 조건 / 한길사

  14. [단행본] Heiner Stachelhaus / 1994 / 評傳ヨーゼフ・ボイス / 美術出版社

  15. [단행본] Jurgen Habermas / 1985 / コミュニケーション的行為の理論 / 未来社

  16. [단행본] Klaus Jurgen / 1972 / 現代藝術の擴張 / 社會思想社

  17. [단행본] Umberto Eco / 1992 / 芸術の交通論 / 岩波書店

  18. [단행본] Umberto Eco / 1984 / 開かれた作品 / 青土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