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예비교사는 사범대학을 다니면서 무엇을 경험하고 어떠한 변화를 겪는가?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삶의 모습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사범대학 졸업생 및 재학생이 내러티브를 통한 반성적 글쓰기를 하였고, 연구자는 이들과 피드백을 제공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삶을 분류하고 기술하는 틀을 개발하였다. 예비교사의 삶을 직접 경험과 간접 경험으로 크게 분류하고, 직접 경험은 다시 공식적 경험과 비공식적 경험으로 구분하였다. 공식적 경험에는 대학 강의, 학과 행사, 임용시험이 포함되며, 비공식적 경험에는 스터디, 봉사활동, 동아리 활동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간접 경험은 대인 경험과 대물 경험으로 구분하였다. 분류틀에 따라 예비교사의 삶을 기술한 후, 학생으로부터 교사로 변해가는 정체성 형성 과정을 논의하였다. 사범대학은 예비교사의 교직에의 동기화를 지원해 주고 ‘어떤’ 교사가 될 것인지 반성해 보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사범대학 예비교사 교육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이야기하였다.

키워드

삶, 정체성, 예비교사, 내러티브 글쓰기, 사범대학

참고문헌(31)open

  1. [학술지] 강경희 / 2009 /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5) : 580 ~ 592

  2. [학술지] 강창숙 / 2009 / 교육실습생의 실천적 지식 구성에 대한 관찰 - 지리 수업조직을 사례로 - / 대한지리학회지 44 (4) : 577 ~ 603

  3. [학술지] 고미숙 / 2003 / 정체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서사적 정체성 교육 / 한국교육 30 (1) : 5 ~ 32

  4. [단행본] 곽영순 / 2009 / 질적 연구 실천 방법 / 교육과학사

  5. [학술지] 김병찬 / 2003 / 사범대생들의 사범대학 진학동기와 적응과정 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20 (1) : 57 ~ 83

  6. [학술지] 류태호 / 2000 / 체육교사 임용준비생의 생활과 정체성 : 노량진 학원생을 중심으로 /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7 (1) : 111 ~ 123

  7. [단행본] 오욱환 / 2005 / 교사 전문성,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 교육과학사

  8. [학위논문] 유은정 / 2009 / 전공의 벽을 넘어온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정

  9. [학술지] 윤혜경 / 1997 / 물리 교육 전공 학생들의 교육 실습 과정 사례 연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 (3) : 289 ~ 299

  10. [학술지] 이새암 / 2010 / 사범대학 학생들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교육인류학연구 13 (1) : 95 ~ 129

  11. [단행본] 이칭찬 / 1996 / 교사론 / 동문사

  12. [학술지] 정애란 / 2007 /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9) : 893 ~ 906

  13. [단행본] 조벽 / 2004 / 나는 대한민국의 교사다 / 해냄출판사

  14. [단행본] 최영란 / 2009 / 내가 교사가 돼도 되나?-자유글 쓰기로 만드는 행복한 교육학 수업 이야기 / 이매진

  15. [학술지] 최연주 / 2011 / 예비교사교육에서의 자서전적 방법 적용 연구 / 교육인류학연구 14 (3) : 69 ~ 101

  16. [학술지] 한재영 / 2005 / 코티칭(coteaching): 새로운 교육실습 / 교육연구논총 26 (3) : 49 ~ 69

  17. [학술대회] 한재영 / 2010 / 사범대학 재학생과 졸업생의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살펴본 예비 화학 교사 교육의 장점과 개선점 / 대한화학회 제106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18. [학술지] 한혜정 / 2006 / 교육과정연구의 질적 연구에서 '자서전적 방법'이 가지는 의의 / 교육과정연구 24 (2) : 71 ~ 86

  19. [단행본] Alsup, J. / 2006 / Teacher identity discourse: Negotiat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spaces / NJL Lawrence Erlbaum

  20. [학위논문] Armstrong, L. J. / 2004 / Identity, community of practice, and learning in a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 candidates explored and exposed

  21. [단행본] Clandinin, D. J. / 2000 /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 Jossey-Bass Publication

  22. [학술지] Cory T. Forbes / 2008 /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urricular role identity for science teaching / Science Education 92 (5) : 909 ~ 940

  23. [학술지] Hoffman, D. M. / 1998 / A therapeutic moment? Identity, self, and culture in the anthropology of education / Anthropology and Education Quarterly 29 (3) : 324 ~ 346

  24. [학술지] Katz, P. / 2011 /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of teacher candidates participating in an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ternship: A focus on drawings as evidence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 (9) : 1169 ~ 1197

  25. [단행본] Lave, J. / 1991 / Situated learning: Peripheral participa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단행본] Lincoln, Y. / 1985 / Naturalistic inquiry / Sage Publication

  27. [학술지] Luehmann, A. L. / 2007 / Identity development as a lens to science teacher preparation / Science Education 91 (5) : 822 ~ 839

  28. [단행본] Giddens, A. / 1997 / 현대성과 자아 정체성 / 새물결

  29. [단행본] Ponte, P. / 2007 / The quality of practitioner research: Reflections on the position of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ed / Sense Publishers

  30. [단행본] Roth, W. -M. / 2007 / Science, learning, identity: Sociocultural and cultural- historical perspectives / Sense Publishers

  31. [학술지] Varelas, M. / 2005 / Beginning teachers immersed into science: Scientist and science teacher identities / Science Education 89 (3) : 492 ~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