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 최초 여성 기독교교육학자, 주선애의 공적 기독교교육 사상과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st Woman Scholar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Chou Sun-Ae’s Idea and Practice of Public Christian Education

장신논단
약어 : 장신논단
2015 vol.47, no.4, pp.279 - 309
DOI : 10.15757/kpjt.2015.47.4.011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연구분야 : 기독교신학
Copyright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82 회 열람

이 논문은 한국 최초 여성 기독교교육학자 주선애의 ‘공적(public) 기독교교육사상 및 실천’에 관한 논문이다. 주선애는 한국 최초로 대학에 기독교교육과를 설립하였고, 한국 기독교교육의 이론과 실천의 측면에서 다양한 기초를 놓았으며, 더 나아가 한국 기독교교육학회 창단 맴버 중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따라서 한국기독교교육학의 뿌리를 찾으려는 사람은 결코 비켜갈 수 없는 인물이다. 그러나 주선애는 단순히 한국 기독교교육의 뿌리로서만이 아니라, ‘사회적신뢰의 상실’, ‘공교회성 상실’과 같은 문제로 위기 가운데에 있는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통찰을 주는바, 그녀의 기독교교육 이론과 실천은 철저히‘공적(public)’ 기독교교육 이론이자 실천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그녀의생애와 기독교교육 이론 그리고 실천을 ‘공적 기독교교육’이라고 하는 차원에서재구성하였다. 그녀의 생애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본고는 그녀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과 그의도전, 그에 대한 그녀의 섬김의 영성을 바탕으로 한 응답이 그녀의 기독교교육을‘공적’이 되게 하였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녀의 기독교교육 이론에 나타난‘사회 변화를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기독교교육’, ‘학교식 패러다임을 넘어 사회적운동으로서의 기독교교육’, ‘상황성을 바탕으로 한 기독교교육 이론’, ‘실천적 기독교교육학하기’ 들이야말로 그녀의 기독교교육을 ‘공적 기독교교육’이 되게 하였으며, 더 나아가 공적 신학을 실제적으로 구현하는 통로가 됨을 살펴보았다. 그런 의미에서 주선애의 기독교교육 사상과 실천은 한국 기독교교육학의 뿌리에 대한 통찰을 줄 뿐만 아니라 그와 나란히, 위기 가운데 있는 오늘의 한국 교회기독교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통찰을 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Public Christian Educational Idea and Practices of Chou Sun-Ae, who is the “first woman scholar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She established the first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at a Korean University and laid various groundwork in terms of theory and practice for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Furthermore, she is one of the founding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makes her a significant subject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She is not only one of the major roots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but also gives valuable insights to Korean Churches that are suffering from crisis resulting from the problems of ‘the loss of social trust’ and ‘the loss of the characteristic of Publicness of Church?’ This is possible because her theory and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has concentrated on “Publicness.” Accordingly, this thesis intends to reconstruct her life 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in light of “Public Christian Education.” First, through the study of her life, this thesis finds that her response to the time period in which lived and its challenges made her ‘Public’ Christian Education. Second, through her theory of Christian Education, this thesis discovers that ‘Christian Education with view to changing the society’. ‘Christian Education as a social movement beyond schooling paradigm’,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contextuality’, ‘her doing Christian Education as a praxis’ etc. made her public Christian Education. These elements became part of her path to actualizing public theology with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n that sense, it is appropriate to say that Chou Sun-Ae’s ideas and practices give insight into the direction that Korean churches walking in the middle of a grave crisis should go today, as well as giving insight into the roots and history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주선애, 공적 기독교교육, 사회변화, 기독교교육 운동, 상황성
Chou Sun-Ae, Public Christian Education, Social Transformation, Christian Education Movement, Contextuality

  • 1. [학술지] 주선애 / 1993 / 초기 한국교회와 교회교육이 사회에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와 계승방안 (1) / 교육교회 / 206 : 52 ~
  • 2. [학술지] 주선애 / 1993 / 초기 한국교회와 교회교육이 사회에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와 계승방안 (2) / 교육교회 / 207 : 44 ~
  • 3. [학술지] 주선애 / 1980 / 초기한국교회 여성운동에 관한 연구 / 교회와 신학 / 12 : 62 ~
  • 4. [단행본] 주선애 / 1970 / 어린이 성장의 이해 / Departmen of Education Human Resources Presbyterian Church
  • 5. [학술지] 주선애 / 2004 / 교육을 통한나라사랑-나라사랑 교육 / 교육교회 / 325 : 13 ~
  • 6. [학술지] 주선애 / 1967 / 한국 기독교 중 고등학교의 교육목적에 관한 연구 / 숭실대 인문사회과학 논문집 / 1 : 262 ~
  • 7. [학술지] 주선애 / 1984 / 한국 기독교 여성운동 백년의 회고 / 기독교 사상 / 318 : 53 ~
  • 8. [학술지] 주선애 / 1975 / 한국교회 교육과정 목적설정에 관한 연구 / 교회와 신학 / 4 : 74 ~
  • 9. [학술지] 주선애 / 1975 / 한국교회 여교역자 양성에 대한 연구 / 교회와 신학 / 7 : 170 ~
  • 10. [학술지] 주선애 / 1981 / 한국주일학교 교육이념의 전통과 혁신 / 교회와 신학 / 13 : 19 ~
  • 11. [단행본] 주선애 / 1984 / 성숙한 교회와 교육선교-한국교회 100주년기념 교육대회 강연집 / Edupck : 363 ~
  • 12. [단행본] 주선애 / 1978 / 장로교 여성사 / Organization for Women Evangelism of Korean Presbyterian Church
  • 13. [단행본] 주선애 / 2011 / 주님과 한평생 / Durano
  • 14. [학술지] 주선애 / 1999 / 민족성 개조를 위해 헌신한 교육자들 / 교육교회 / 269 : 46 ~
  • 15. [학술지] 주선애 / 1999 / 나라 살리는 교육 / 교육교회 / 265 : 40 ~
  • 16. [학술지] 주선애 / 2000 / 살아있는 교회학교 만들기(1) / 교육교회 / 279 : 42 ~
  • 17. [학술지] 주선애 / 2000 / 살아있는 교회학교 만들기(2) / 교육교회 / 281 : 44 ~
  • 18. [학술지] 주선애 / 1997 / 성서조선으로 건국교육을 펴가던 김교신 선생 / 교육교회 / 271 : 40 ~
  • 19. [기타] 주선애 / 1973 / 성서와 생활–교육과정 지침 / Department of Education Human Resources Presbyterian Church
  • 20. [학술지] 주선애 / 1980 / 미래를 위한 교육과 한국의 미래를 위한 교육의 한 시도 / 교회와 신학 / 12 : 46 ~
  • 21. [단행본] 장신근 / 공적신학과 공적교회 / Kingdom books : 27 ~
  • 22. [학술지] 김영동 / 2014 / 공적선교신학 형성의 모색과 방향 / 장신논단 / 46 (2) : 297 ~ 2 kci
  • 23. [학술대회] 이원규 / 2014 / 한국교회 절망과 희망 / 한국교회 오늘과 내일 심포지엄-공교회성 및 정체성 회복
  • 24. [단행본] Miller, J. / 1998 / Writing Educational Biography / Kogan Page Led : 41 ~
  • 25. [단행본] Moltmann, J. / 1999 / Erfahrungen theologischen Denkens Wege und Formen Christlicher Theologie / Geutersloher Verlag
  • 26. [학술지] 오인탁 / 1998 / 주선애의 생애와 사상 / 기독교교육논총 / 3 : 219 ~
  • 27. [단행본] Robertson, Pat / 1972 / Shout It from the Housetops (The Autobiography of Pat Robertson) / Bridge Pub
  • 28. [단행본] Westerhoff III, John H. / 2008 / 교회의 신앙교육 / Korea Council of Christia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