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가르침과 배움에서 영성형성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

A Pedagogical Study on Meaning and Methods of Spirituality Form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교육철학연구
약어 : 교육철학연구
2011 vol.33, no.3, pp.1 - 23
DOI : 10.15754/jkpe.2011.33.3.001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철학학회
149 회 열람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기독교의 특수개념으로 간주되어 온 영성의 의미를 교육인간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인식하고, 영성형성 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탐구함으로써 현대 지성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모티브는 오늘날 우리 교육이 실패한 지성교육의 대안으로서 영성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인식관심에서 시작하였다. 우리가 영성을 기독교의 특수개념 혹은 실체적 특성으로만 이해하는 편협성은 그것을 교육인간학적 관점에서 그 의미를 탐색하고 조직화하는데 한계로 작용한다. 현대 지성교육의 왜곡과 문제 극복의 절박성과 새로운 인간 교육의 길을 모색하는 교육학자들의 '열린 마음'이 전제되지 않는 한 영성형성의 교육인간학적 의미 탐색은 의미가 없다. 이 글에서는 영성과 교육의 의미연관 구조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하여 제시한 그룸(Groome)과 팔머(Palmer)의 논의를 중심으로 영성형성의 교육인간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은 약동하고 활기 있는 삶의 전체적인 방식을 요청한다. 교육 상황에서 가르치는 자는 매우 긍정적이고 생명을 주는 영성을 가지도록 배우는 자를 인도할 책무가 있다. 그러므로 가르치는 자가 먼저 자신의 영혼을 세심하게 보살펴야 한다. 즉, 인간화 교육 혹은 전인적 교육이란 가르치는 사람이 우선적으로 영적 비전을 형성한 후 가르침을 실천함으로써 가능하다. 한마디로 가르치는 사람의 영성형성의 선위성(先位性)이 대단히 중요하다. 둘째, 영성형성 교육의 핵심은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의 영성훈련을 통해 상실된 공동체주의 및 공동체적 진리를 회복하고, 과학주의 및 객관주의 신화에 젖어 있는 학교교육을 해체하며, 가르치고 배우는 자 및 앎과 삶의 온전한 관계 맺기를 새롭게 형성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영성형성 교육론은 우리의 인식론, 가치론, 존재론을 재(再)형성하는 일종의 개혁교육학적 속성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영성형성 교육론은 이념, 내용, 방법, 교사론의 준거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화될 수 있음도 자명해졌다.

This paper aims to study on meaning and methods of spirituality form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anthropological-pedagogical research method. In general, the term of spirituality is regarded as specific conceptual word of christian world. Really, there are concrete limitation in study or examine on importance of spirituality in education and this fact makes difficult in extension of educational concern or knowledge formation. Our open mind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originality of spirituality and relation on educational idea and it's form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ew trial or trends in researching academic attitudes for revised educational philosophy. In this article, the author analyses recently released book on spirituality of man, especially T. H. Groome and P. J. Palmer's articles and books. They focussed on the anthropological meaning and teaching methods for spirituality formation. The results of studying on this theme are as followings. First, the originality of spirituality is energy for vitalized each person as well all man, Especially in the all educational situation, this scheme(圖式) of understanding for spirituality is most meaningfully functioned. In other words, teachers have a accountability for leading all learners on the possibility of each spirituality for their whole(holistic) development and not de-humanization but humanization in the educational situation. Second, the essence of spirituality formation in education is wholeness of whole man and holism of each person. The meaning of wholeness and holism of it's used by education are all contents of connection or context, interpersonal mutuality, hope, love, care, emotional space, meditation, tolerance, humility, belief, kindness, openness, safety, etc.. Third, it is holistic practice in learning and teaching through the education for spirituality formation that recover missing community's spirit, destructing school system, connecting knowledge and lives of all man's life. In Conclusion, internal relationship formation on spirituality and education is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for reforming present public education which make dehumanizing all people and each person. Now we organized anthropological-pedagogical theory on spirituality formation education not only systematical organ but institutionalized form in educational policy.

지성, 영성, 영적 비전, 영성형성, 영성형성 교육, 관계 맺기, 온전성, 전인교육.
spirituality, spirituality formation education, learning and teaching in spiritual vision, education for whole man, holism, wholeness

  • 1. [학위논문] 곽승희 / 2006 / 성격유형에 따른 영성훈련 방안연구
  • 2. [학위논문] 김 수 / 1999 / 기독교 영성과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 3. [학위논문] 김경호 / 2001 / 기독교 영성교육과 그 실제에 관한 연구
  • 4. [학위논문] 김규석 / 1992 / 영성교육을 통한 인간성 회복에 관한 연구
  • 5. [학위논문] 김상겸 / 2007 /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 영성 교육 연구
  • 6. [학위논문] 김성은 / 2003 / 생태학적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 7. [학위논문] 김연희 / 2010 / 자아초월을 위한 영성교육 탐구 : 동사섭을 중심으로
  • 8. [학위논문] 김용언 / 2002 / 통전적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 9. [학술지] 김장호 / 2003 / 현대판 만다라와 사이버 구도자들. 정신세계사 / 정신세계 / 25 : 56 ~
  • 10. [학위논문] 류종상 / 1991 /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 11. [학위논문] 박영홍 / 2002 / 영적 성장을 위한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 12. [학위논문] 박은혁 / 2004 / 성격이론과 기독교 영성교육 : 기도교육을 중심으로
  • 13. [학위논문] 배정웅 / 1986 / 기독교 영성교육의 한 방법으로서의 내면훈련
  • 14. [학위논문] 서세훈 / 2011 / 기독교영성전통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고찰 : 교회현장의 소통을 위하여
  • 15. [학위논문] 신대호 / 2003 / 기독교 대안학교학생들의 영성 생활연구
  • 16. [학위논문] 신동윤 / 1987 / 기독교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 Thomas Merton을 中心으로
  • 17. [학위논문] 안광덕 / 2005 / ‘예수기도’의 한국식 영성교육과 호흡기도 모형 : 몸과 영을 일치시키는 호흡기도 방법
  • 18. [학위논문] 양미령 / 2009 / 파커 팔머의 공간사상을 활용한 기독교 영성교육의 모델
  • 19. [학위논문] 오양록 / 2000 / 기독교 영성 교육론 연구 : 예배 교육을 중심으로
  • 20. [단행본] 오인탁 / 1986 / 기독교교육 / 종로서적
  • 21. [학위논문] 옥인준 / 2004 / 영성교육이론과 대상관계이론과의 접목에 관한 연구
  • 22. [학위논문] 우성민 / 2011 / 기독교 영성교육과 이냐시오의 영신수련 연구
  • 23. [학위논문] 윤재덕 / 1996 / 기독교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 24. [학위논문] 이대희 / 1996 /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 Iris V. Cully를 중심으로
  • 25. [단행본] 이명권 / 2004 / 비움과 나눔의 영성 / 열린 서원
  • 26. [학술지] 이상수 / 2001 / 영성이 이 땅에 현현할 때 새로운 세계가 열리리라 / 정신세계사 / 18 : 85 ~
  • 27. [학위논문] 이상옥 / 2000 / 청소년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 28. [학위논문] 이선형 / 2005 / 청소년 영성교육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연구
  • 29. [단행본] 이어령 / 2010 / 지성에서 영성으로 / 열림원
  • 30. [학위논문] 이은미 / 2011 / 파커 J. 팔머의 영성과 기독교적 가르침
  • 31. [학위논문] 이은정 / 2007 / 영적성숙을 위한 영성 교육방법의 모색 : 다중지능이론을 중심으로
  • 32. [학위논문] 이정욱 / 1989 / 영성교육에 관한 한 소고
  • 33. [학술지] 이종승 / 2001 / 21세기 새로운 공모, 영성교육 / 정신세계사 / 18 : 22 ~
  • 34. [학위논문] 이창옥 / 2003 / 영성교육의 연구 동향과 과제
  • 35. [학술지] 이철국 / 2001 / 교실에서 꽃피는 아이들-아이의 영성과 교사의 영성이 만나는 기쁨 / 정신세계 / 18 : 30 ~
  • 36. [단행본] 이환기 / 1996 / Herbart 통각과 교수이론 / 교육과학사
  • 37. [학위논문] 임명주 / 1998 / 총체적 영성교육 : 대안적 기독교 교육으로서의 영성교육
  • 38. [학위논문] 임일국 / 2001 / 기독교학교에서의 영성교육
  • 39. [단행본] 전가화 / 1988 / 진정한 영성 / 믿음의 집 출판부
  • 40. [학술지] 정재걸 / 2001 / 아이들은 종이 한 장에서 만물을 본다-동양 전통사상을 통해 본 영성교육의 의미 / 정신세계 / 18 : 94 ~
  • 41. [학위논문] 조은하 / 2001 / 통전적 영성교육 연구 : 일상생활 영성(everyday life spirituality)을 중심으로
  • 42. [단행본] 조은하 / 2004 / 통전적 영성과 기독교교육 / 한들출판사
  • 43. [학위논문] 차재환 / 2004 / 영적성장을 위한 기독교 교육에 관한 연구
  • 44. [학위논문] 하세례 / 2003 / 영성형성으로서의 기독교교육에 관한 한 소고
  • 45. [단행본] 한혜정 / 1993 / Ignatius 영신수련과 교육 / 교육과학사
  • 46. [학위논문] 함영옥 / 2007 / 영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47. [단행본] 삼색기 도-영성, 감성, 지성 기도 / 2006 / 삼색기 도-영성,감성,지성 기도 / 두란노
  • 48. [단행본] 日本holistic敎育硏究會 / 2000 / 홀리스틱 교육의 이 해 / 도서출판 책사랑
  • 49. [단행본] Comenius, J. A / 세계최초의 그림교과서 / 씨앗을 뿌리는 사람
  • 50. [단행본] Comenius, J. A / 1992 / 분석교수학 / 교육과학사
  • 51. [단행본] Comenius, J. A / 1993 / 대교수학 / 교육과학사
  • 52. [단행본] Comenius,J.A / 1960 / Pampaedia / Quelle & Meyer
  • 53. [단행본] Foster, R. J / 2001 / 영적 훈련과 성장 / 생명의 말씀사
  • 54. [단행본] Groome,T.H / 2001 / 생명을 위한 교육 / 한국장로교 출판사
  • 55. [단행본] Miller, J. P / 2000 / 홀리스틱 교육과정 / 도서출판 책사랑
  • 56. [단행본] Palmer, P. J / 2008 /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 IVP
  • 57. [단행본] Peterson, E. H / 2006 / 현실,하나님의 세계 / IVP
  • 58. [단행본] Sealey,J / 1985 / Religious Education : Philosophical Perspectives / George Allen & Unwin
  • 59. [단행본] Steiner, R / 1999 / 초감각적 세계 인식 / 물병자리
  • 60. [단행본] Steiner, R / 2002 / 교육의 기초로서의 일반교육학 / 물병자리
  • 61. [단행본] Steiner, R / 2001 / 신지학-초감각적 세계의 인식과 인간 본 질에 대한 고찰 / 물병자리
  • 62. [단행본] White,E.G / 1952 / Education / Pacific Press Publishing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