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진로 결정을 예측하고, 주요 예측변수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8년에 처음 조사가 시작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조사 2018 1차년도 자료(중학교 1학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 결정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우수한 머신러닝 기법을 선택하기 위해 6가지 머신러닝기법(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s), Adaptive LASSO(adaptive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그래디언트 부스팅(gradient boosting), 심층신경망 모형(deep neural network))을 적용하여 각 머신러닝 기법의 예측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진로 결정을 예측하는 데 6가지 머신러닝 기법 중 상대적으로 가장 예측정확도가 높은 기법은 그래디언트 부스팅으로 나타났다. 그래디언트 부스팅 기법을 통해 진로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한 결과, ‘장래가 희망적이지 않은 것 같다’는 우울과 관련된 문항의 중요도 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도 학업 열의, 여가시간(운동 및 신체활동 시간),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교내 공식 동아리 참여 만족도, 관심이 다양한 창의적 성격, SNS 이용, 학업 무기력이 진로 결정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의 주요 예측변수로 도출된 상위 10개 중 여가시간(운동 및 신체활동 시간), SNS 이용, 창의적 성격은 새롭게 도출된 변수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중학생의 진로 결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ariables affecting career deci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1th wave of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data. To do this, this study was to apply six machine learning approaches (Decision Tree, Random Forests, Adaptive LASSO, Support Vector Machine, Gradient Boosting, Deep Neural Network) to select best machine learning approach that predict career deci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results, first, gradient boosting performed better than other approaches. Second. gradient boosting result revealed that the variable related to depression, ‘I don’t think the future is hopeful’, had the highest importance index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s. In addition, academic engagement, leisure time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time), self-regulated learning hours,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school clubs, and creative personality with various interests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while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and academic helpless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newly explored variable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deciding career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ggested.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