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달을 주제로한 천문교육 연구동향 분석

A Review of Astronomy Education Researches Related The Moon :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National Science Curriculums

현장과학교육
약어 : -
2018 vol.12, no.4, pp.453 - 466
DOI : 10.15737/ssj.12.4.201812.453
발행기관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9 회 열람

본 연구에서는 1990년부터 현재까지의 달에 대한 국내 천문교육 학술지 논문 54편과 7차 교육과정에서 2015개정 교육과정에의 변화 동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초등,중등,초·중등), 연구 주제(달의 운동, 위상 변화, 기타), 연구 내용(개념, 교수학습활동, 정의적, 기타)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고, 학술지 논문과 교육과정의 관련성을 확인했다. 전반적으로 초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내용측면에서 개념과 교수학습 활동 영역이 대부분이었고 근래에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었다. 연구 방법적으로는 시기에 따라 다양화된 경향이 보였다. 하지만 초·중등의 교육을 종적으로 다룬 연구는 거의 없었다. 앞으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개념에 대한 종적 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 교육과정과의 상호 보완이 이루어질 필요성을 확인했다.

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 trends of 54 article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the changes in past national curriculums to 2015 revised curriculum related astronomical education for the Moon from the 1990 to the present. It was categorized into research subjects (elementary, middle, elementary and secondary), research topics (moon movement, phase change, etc.), Research contents (concep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n checked the correlation between journal articles and national curriculums. In general, the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was mainly conducted. In the content of the research, concept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areas were mostly existed. The study method was varied according to the time.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dealing with the secondary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ake mutual supplement with the curriculum by more actively studying various subjects and research subjects.

천문교육, 연구동향, 달, 교육과정
Astronomy Education, Review, The Moon, National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