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국어 교수 화법의 유형적 특성에 관한 분석적 고찰 - 국어교사의 평가/피드백 발화를 중심으로

Analytical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structional Communication

새국어교육
약어 : KOED
2010 no.86, pp.125 - 156
DOI : 10.15734/koed..86.201012.125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국어교육학회
254 회 열람

이 연구는 국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 화법의 유형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가 외적 형식과 기능을 살펴보는 데 집중하고 선언적인 방향 제시에 그쳤던 한계를 극복하고자 실제 국어 수업 대화를 분석하여 현장 국어 수업에 대한 입체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교수 화법의 바람직한 전형을 찾아 범주화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그 수업을 이끄는 교사의 화법과 어떻게 관련되어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살피는 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수 국어 수업 영상 17편(788분 분량)을 수집한 후 모두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대화를 분석할 때에는 교사가 의도했던 반응이 나올 때까지의 대화 연속체를 기본적인 분석 단위로 하여 I-R-E/F가 연쇄되는 대화 양상을 분석하였고, 특히 평가 및 피드백 발화에 초점을 두었다. 영상 자료 분석과 더불어 현장 교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된 교사 화법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반응을 유도해 낼 수 있는 질문이 제시되지 못하는 문제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고, 다양한 교사의 평가/피드백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 대화를 교실 맥락 속에서 분석하여 ①교사의 평가/피드백 발화를 평가할 때에는 해당 발화가 포함된 IRE/F의 연쇄가 수업의 어느 단계에서 전개되고 있는지를 먼저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 ②닫힌 질문, 빈칸 메우기식 질문도 수업 대화를 효율적으로 이끌고 학습자의 사고를 순차적으로 유도하는 교육적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는 점, ③‘교사 개시 발화-학생의 반응-교사의 평가/피드백’ 발화로 구조화되는 수업 대화를 분석할 때에는, 교사-학생-교사 간에 주고받는 대화가 이른바 ‘집단 대화’의 형태를 취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주장하였다. 이와 더불어 심층 면담을 통해, 교사 화법 양상의 실제적인 기능과 의미를 함께 언급하였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structional communication. 17 Korean language lessons captured on video as the selected cases of 'good teaching,' were carefully analyzed, and then three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epth regarding the results. In the classroom discourse of I-R-E/F (Initiation-Response-Evaluation/Feedback) structure, speech of teaching plays a very important role to lead interactive classroom conversa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s a result, the problematic features that the question to induce the students' response was not presented revealed. In the analysis of Korean classroom data, We suggest that 1) When the speech of teacher is evaluated, the phase of the class should be considered first. 2) Closed questions, and filling in the blank questions are able to lead the classroom conversation effectively in order to encourage students' thinking 3) When the speech structure of 'teacher start-student response-teacher evaluation/feedback' is analyzed, the dialogue would be the form of 'collective dialogue'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se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discussed.

교수 화법, 개시-반응-평가/피드백, 단순 발화 교환, 빈칸 메우기식 반응, 일방향적 의사소통, 노련한 수업, 살아남은 수업, 지배당하는 교사와 학생
speech of teaching, I-R-E/F(Initiation-Response-Evaluation/Feedback), simple turn-taking patterns, filling in the blanks, one-way communication, expert class, survivor class, dominated teachers and students

  • 1. [학술지] 고창규 / 2001 / 초등학교 수업의 바로잡기(repair) 유형 및 계열 연구 / 교육사회학연구 / 11 (3) : 1 ~ 3
  • 2. [학술지] 고창규 / 2006 / 수업대화 분석틀의 비교 연구-Mehan, Sinclair와 Coulthard, Lemke의 연구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6 (1) : 113 ~ 1 kci
  • 3. [학술지] 고창규 / 2006 / 초등학교 '좋은' 수업의 특성 연구 -담화행위(act), 유도행위, 교수행동요소, 바로잡기(repair)를 중심으로- / 열린교육연구 / 14 (1) : 25 ~ 1 kci
  • 4. [학술지] 권순희 / 2005 /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질문, 피드백 양상과 개선 방안 / 국어교육 (118) : 65 ~ 118 kci
  • 5. [학술지] 김기영 / 1998 / 질문을 활용한 상호작용적 언어교수 / 영어교육연구 / 18 : 19 ~
  • 6. [학술지] 김은성 / 2009 / 문법 교수․학습 방법 구체화를 위한 수업 의사소통 양상 연구-교사의 문법적 지식 설명하기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연구 (36) : 287 ~ 36 kci
  • 7. [학술지] 김재봉 / 2004 / ‘교사 질문-학생 대답-평가’ 대화연속체에서 교사 질문 전략 연구 / 한국초등국어교육 (25) : 37 ~ 25 kci
  • 8. [학술지] 노철 / 2008 / 문학 수업에서 교사화법과 감상능력의 상관성 고찰 / 문학교육학 (25) : 185 ~ 25 kci
  • 9. [단행본] 민현식 / 2004 / 〈교수화법론〉,《국어화법과 담화전략》 / (한국화법학회) 역락
  • 10. [단행본] 박용익 / 2001 / 대화분석론 / 역락
  • 11. [단행본] 박용익 / 2003 / 수업대화의 분석과 말하기 교육 / 역락
  • 12. [학술지] 박정진 / 2006 / 수업 담화에서의 질문활동 구조 / 한국어학 / 32 : 145 ~ kci
  • 13. [단행본] 박정진 / 2008 / 국어 수업의 질문활동 연구 / 한국문화사
  • 14. [학술지] 박태호 / 2004 / 좋은 국어수업 전개를 위한 수업대화분석요소:수업대화 전략과 수준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교육 / 13 : 71 ~
  • 15. [학술지] 박태호 / 2008 / 개선해야 할 초등 국어 수업 문화와 교사 대응 / 청람어문교육 (38) : 7 ~ 38 kci
  • 16. [학술지] 양미경 / 1999 / 교사의 질문 특성 및 역할에 대한 비판적 이해 / 중원인문논총 / 20 : 61 ~
  • 17. [학술지] 이수진 / 2004 / 수업평가를 위한 교수대화 분석 방법 연구 / 국어교과교육연구 / 7 : 243 ~
  • 18. [학술지] 이정우 / 2004 /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 대화의 교사 시작 대화 이동 연구 / 국어교과교육연구 / 8 : 161 ~
  • 19. [학술지] 이주행 / 2003 / 교사의 질문과 응답 화법 / 화법연구 / 5 : 245 ~
  • 20. [단행본] 이주행 / 2003 / 교사 화법의 이론과 실제 / 역락
  • 21. [단행본] 이창덕 / 2002 / 〈수업대화분석 연구의 필요성과 그 과제〉《국어교육학의 새로운 지평》 / 문음사
  • 22. [단행본] 임칠성 / 2003 / 〈수업대화〉,《교사의 화법》 / (한국화법학회) 역락
  • 23. [단행본] 임칠성 / 2004 / 교사화법 교육 / 집문당
  • 24. [학위논문] 정한별 / 2007 / The Study of Third Turns in EFL Writing Tutorial Discourse
  • 25. [학술지] 정혜승 / 2006 / 교실 소통의 양상과 문제 / 화법연구 / 9 : 69 ~
  • 26. [단행본] 조영달 / 1999 / 《한국교실수업의 이해》 / 집문당
  • 27. [학술지] 진영은 / 2000 / 고등학교 교사들의 수업 중의 질문법에 관한 분석 / 인문과학 / 30 : 81 ~
  • 28. [학위논문] 최진희 / 1997 / 수업담화 분석을 통한 교사와 학습자 발화 특성에 관한 연구
  • 29. [학술지] 허경철 / 1987 / 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교사 변인 탐색 연구 / 한국교육 / 14 (2) : 205 ~ 2
  • 30. [학술지] Culican,S.J / 2007 / Troubling Teacher Talk: The Challenge of changing Classroom Discourse Patterns / The Australian Educational Researcher / 34 (2) : 7 ~ 2
  • 31. [단행본] Edwards, A. D / 1994 / Investigating Classroom Talk / Routledge Falmer
  • 32. [단행본] Hardman, F / 2008 / Teachers' Use of Feedback in Whole-class and Group-based Talk, in 2008. Exploring Talk in School / SAGE : 131 ~
  • 33. [학술지] Kim,Jeong-yeon / 2009 / Third-turn Self-repair: What Contingencies Does it Deal With? / English Language Education / 38 : 7 ~
  • 34. [학술지] Kim,Kyu-hyun / 1999 / Organization of classroom discourse: 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 사회언어학 / 7 (2) : 159 ~ 2
  • 35. [학술지] Lee,Yo-An / 2007 / Third turn position in teacher talk: Contingency and the work of teaching / Journal of Pragmatics / 39 : 1204 ~
  • 36. [단행본] Lee,Yo-An / 2008 / Yes-No Questions in the Third-turn Position: Pedagogical Discourse Processes / Routledge : 237 ~
  • 37. [학술지] Macbeth,Douglas / 2004 / The relevance of repair for classroom correction / Language in Society / 33 : 703 ~
  • 38. [학술지] Nakamura,I / 2008 / Understanding how teacher and student talk with each other: An exploration of how 'repair' displays the co-management of talk-in-interaction / Language Teaching Research / 12 (2) : 265 ~ 2
  • 39. [학술지] 성귀복 / 2006 / Teacher Talk Revisited: Issues,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 영어학 / 6 (1) : 63 ~ 1 kci
  • 40. [단행본] Sinclair, J. M / 1982 / Teacher Talk / Oxford University Press